내륙수로

내륙수로

[ inland waterway , 內陸水路 ]

요약 선박이 이동할 수 있는 교통로 역할을 하는 하천·호수·운하 등 육지 내부의 수로.
센강의 유람선

센강의 유람선

'육지 내부의 수로'라는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수운(水運)이 발달한 큰 하천을 가리키지만, 때로는 호수나 운하(運河)도 포함될 수 있다.

내륙수로를 통한 수운은 근대적인 육상 교통수단인 철도와 자동차가 출현하기 이전, 동서양을 막론하고 내륙의 교통수단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다. 당시에는 대량의 화물을 운송할 수 있는 다른 교통수단이 마땅히 없었기 때문이다. 자연 하천뿐만 아니라, 토목 기술의 발달로 일찍부터 내륙수운을 위한 운하가 건설되기도 하였으며, 중국의 베이징에서 남쪽의 저장성(浙江省)으로 이어지는 약 2,000km 이상의 대운하(大運河)가 유명하다.

세계적으로 내륙수로가 본격적으로 개발·발전된 계기로 산업혁명을 꼽을 수 있다. 산업혁명의 발상지인 영국과 산업혁명이 전파된 유럽 대륙에서는 18~19세기 이후 내륙수로가 활성화되었는데, 이는 산업혁명의 핵심 자원인 석탄과 철광석 등의 대규모 이동에 크게 기여하였기 때문이다. 이 시기 철도교통이 발달하기 시작하였지만, 당시에 보다 보편적으로 이용되던 교통수단은 내륙수운이었다. 특히 유럽의 경우 기후적으로 강수량이 적절하고 강수의 계절적 차이가 적어 하상계수가 작은 하천들이 많아 내륙수운 발달에 좋은 조건을 지니고 있었다. 거기에 더해 인공적인 운하 건설도 내륙수로의 역할을 더욱 증대시켰다. 이후 미국에서도 산업이 발달한 북동부 지역을 중심으로 내륙수로가 다수 이용되었는데, 오대호와 대서양을 잇는 내륙수로와 오대호와 미시시피강을 잇는 내륙수로 등이 산업 발달에 크게 기여하였다.

현대에 들어와 철도 및 자동차 등의 육상교통과 항공교통의 발달로 내륙수로의 역할은 이전에 비해 감소하였다. 그러나 대규모의 화물을 운반하는 데 있어서는 다른 교통수단에 비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어, 유럽의 라인강, 다뉴브강, 볼가강 등의 큰 강들과 미국의 내륙수로들은 오늘날까지도 중요한 교통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역사적으로 한강, 대동강, 낙동강, 금강 등 큰 하천들을 이용한 내륙수로가 내륙의 교통로로서 역할을 해왔으나, 20세기 이후 철도와 자동차 교통이 발달하면서 내륙수운이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1960년대 본격적인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큰 하천들에 대규모 다목적댐들을 건설하면서 과거와 같은 장거리 내륙수운은 거의 사라지게 되었고, 큰 하천들의 하류를 중심으로 부분적으로 남아있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