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동성

내동성

[ freezing resistance , 耐凍性 ]

요약 추위를 잘 견디어내는 식물의 성질을 내동성이라 한다. 내한성과 같은 뜻이다.

내한성(耐寒性)이라고도 한다. 생장 중인 잎이나 가는 가지 등에서 일어나는 상해(霜害)에 대한 저항성을 포함하는 경우와, 휴면 중인 가지나 엄동기 상록수의 잎 따위에서 일어나는 한해(寒害)에 대한 저항성의 의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으며, 두 가지를 포함하여 내동성이라고도 한다. 더욱이 겨울의 추위와 이에 수반하는 건조나 한풍(寒風)에 대한 저항성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수종(樹種)이나 품종에 따라 다른 유전적 능력의 차 외에 계절이나 생육조건에 따라서도 변화한다. 내동성은 가을에서 겨울 동안은 커지고, 봄에는 작아진다. 수목의 영양상태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질소과다는 일반적으로 내동성을 약화시키는 경향이 있다. 또 발육상태에도 관계하며, 휴면 중에는 내동성이 크다.

참조항목

상해

역참조항목

식물, 한해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