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요법

내과요법

[ internal therapy , 內科療法 ]

요약 식물체의 내부로 약제를 주입 또는 흡수시켜서 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외과요법에 대응하는 말이다.

식물의 영양결핍증에는 매우 효과가 있으나 전염성 병해에 대해서는 실용화된 것이 적다. 줄기에 구멍을 뚫어서 약제를 주입하거나 그 구멍에 고형(固形)의 약을 다져 넣는 방법, 잎에 약제를 뿌려서 잎으로부터 흡수하게 하는 방법, 흙에 뿌리거나 모종, 특히 뿌리 부분에 약물을 스며들게 하여 뿌리로부터 흡수하게 하는 방법 등이 있다.

감귤의 아연 결핍으로 인한 줄무늬병에는 아연석회를 잎에 뿌려 주며, 마그네슘결핍증에는 산화마그네슘석회 등을, 그리고 맥류(麥類)의 망가니즈결핍증인 갈색선오갈병에는 황산망가니즈를 흙에 주면 효과가 있다. 감자의 둘레썩음병 방제를 위해서는 모종을 스트렙토마이신액(液)에 담그며, 토마토의 궤양병 방제를 위해서는 모종을 노보비오신액에 담그거나 연속적으로 주사하여 치료한다. 미국에서는 느릅나무마름병 치료에 병원균의 독소를 중화시키는 약제를 주입하는 방법도 쓰고 있다.

참조항목

식물병리학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