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문화

날문화

[ Culture of Nal ]

요약 파키스탄 발루치스탄 중부에 있는 자라완 지구의 날 ·눈다라 두 강(江) 유역에 분포한 초기 농경촌락(農耕村落)문화.

날 동쪽 약 10 km 지점에 있는 소르(Sohr) 및 담브(Damb)를 대표유적으로 하며, H.하그리브스가 발굴 조사하였다. 암리(Amri) ·날문화라 병칭되는 바와 같이 암리문화와 많은 연관이 있는데, 분포범위와 가지무늬토기[彩文土器]의 양식이 약간 다를 뿐이다.

주거는 모두 발루치스탄에서 보통 볼 수 있는 석적토대(石積土臺)에 햇빛에 말린 벽돌[陽乾煉瓦]을 쌓은 것인데, 초기의 토기는 암리와의 관련이 가장 크다. 이 기층(期層)에서 햇빛에 말린 벽돌을 둘러서 시체를 안치한 매장의 예도 볼 수 있는데, 대부분 2차장(二次葬)을 위한 묘갱(墓坑)이 마련되었으며, 토기 ·동기(銅器) ·장신구(裝身具) 등이 가축의 뼈와 함께 부장(副葬)되었다.

이 문화의 형태는 백색 슬립을 칠한 순황색토기로, 다갈색을 띤 흑색의 채문(彩文)을 하여 본질적으로 2색 채문을 바탕으로 한 암리 토기와는 달리, 때로는 토기를 구워낸 뒤에 적 ·황 ·청 ·녹 등의 색으로 무늬를 넣었다. 그릇의 형태는 배가 불룩한 병과 받침다리가 달린 비커가 많고, 고리무늬[環狀紋]를 연결한 띠무늬[帶狀紋], 바둑판과 같은 패널 등의 기하학 무늬에 오메가[Ω] ·계단 ·물고기 ·흑소 ·염소 ·보리수(菩提樹) 등 암리문화에서는 볼 수 없는 동식물의 무늬가 특징을 이룬다.

도끼 ·끌 ·톱 등 동기(銅器)도 많고, 돌도끼 ·돌절구 등의 석기도 있으나 돌칼은 없다. 이보다 후기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는 유물로는 인더스문명과 쿨리문명과의 관련을 나타내는 것이 있어, 시기적으로는 선기(先期)에서 후기 인더스 문명기(文明期)에 이르는 것이라 짐작된다.

참조항목

인더스 문명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