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랑

낙랑

[ 樂浪 ]

요약 경상북도 경주시 일대의 옛 지명.

고려 성종 때 경주를 동경(東京)이라 칭하고 유수사(留守使)를 두었다가, 1008년(목종 11) 낙랑군(樂浪郡)으로 강등하였다.

경주는 경상북도 남동부에 위치한 곳으로 기원전 57년 이곳에 6촌(村)이 연합하여 고대국가를 형성하였다. 국호를 서라벌(徐羅伐)·사로(斯盧)·사라(斯羅)로 하고 수도명과 국명을 모두 금성(金城)이라고 하였다.

서기 65년(탈해왕 9) 시림(始林)에서 김씨(金氏)의 시조가  탄생하여 국호를 계림(鷄林)으로 정하였다가 307년(기림왕 10)에 최초로 국호를 신라(新羅)로 하였다. 935년(태조 18) 신라 마지막 임금인 경순왕(敬順王) 때 처음으로 경주라는 명칭이 생겼다. 987년(성종 6) 동경으로 개칭하고, 1008년 별칭으로 낙랑군이라 하다가 1030년(현종 21) 삼경(三京)제도가 실시되자 동경을 설치하고 충렬왕 때 계림부(鷄林府)로 개칭하였다. 1413년(태종 13) 계림부를 경주부(慶州府)로 개칭하고, 1895년 경주군이 되었으며, 1955년에는 경주읍과 그 일부 면을 합하여 경주시를 만들고 나머지는 월성군(月城郡)이 되었다.

참조항목

경주시, 신라

역참조항목

경주시의 연혁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