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조순

김조순

[ 金祖淳 ]

요약 조선 후기의 문신. 정조 때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으며, 순조 2년에 딸이 순조의 비로 책봉되면서, 안동 김씨 세도정치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정조의 신임이 두터웠으며, 정조가 작고하자 어린 순조를 도와 국구로서 30년간이나 보필한 공적이 컸다.
출생-사망 1765 ~ 1832
본관 안동
사원
풍고
시호 충문
주요저서 《풍고집》

본관 안동. 자 사원(士源). 호 풍고(楓皐). 시호 충문(忠文). 초명 낙순(洛淳). 1785년(정조 9)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검열(檢閱) ·규장각대교를 거쳐 1792년(정조 16) 동지 겸 사은사(冬至兼謝恩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서 청(淸)나라에 다녀왔다.

이어 직각(直閣) ·이조참의(吏曹參議) ·승지(承旨) ·총융사(摠戎使) ·양관대제학(兩館大提學) 등을 지냈다. 1802년(순조 2) 딸이 순조(純祖)의 비(妃)로 책봉되자, 돈령부영사(敦寧府領事)가 되고 영안부원군(永安府院君)에 봉해졌다. 그때부터 안동 김씨 세도정치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정조(正祖)의 신임이 두터웠으며, 정조가 작고하자 어린 순조(純祖)를 도와 국구(國舅)로서 30년간이나 보필한 공적이 컸다.

정조의 묘정(廟庭)에 배향(配享)되고, 양주의 석실서원(石室書院), 여주 ·이천의 현암서원(玄巖書院)에 제향되었다. 문집에 《풍고집》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