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후

김윤후

[ 金允侯 ]

요약 13세기 고려 고종조의 무반 장군.
출생-사망 ? ~ ?

원래 경기도 평택 지역에 소재하는 백현원(白峴院)의 승려였으나 1232년(고종 19) 몽고군이 침입하자 인근 처인부곡(용인시 남사읍)의 처인성(處仁城)으로 몸을 피하여 입보민들을 지휘하였다. 적장 살리타가 1232년의 12월 16일에 피살되었고, 이로 인하여 몽고군은 더 이상 남하하지 못하고 철군하고 말았다. 강화도로 천도한 고려 정부는 그를 살리타를 사살한 장본인으로 지목하고 그의 공을 포상하여 상장군을 제수하였으나 자기 혼자만의 공이 아니라고 하여 이를 사양하였다. 그러나 섭랑장(攝朗將)의 무반직을 받았고 처인부곡은 처인현으로 승격하였다.

이후 무반으로 입신하여 1253년(고종 40) 충주산성의 방호별감(防護別監)에 임명되었으며 이때 몽고의 5차 침략군은 예쿠(也窟)의 지휘 하에 10월 충주성을 포위하였으며 치열한 공방전을 벌였다. 김윤후는 충주성에 입보한 충주의 관민(官民)을 지휘하여 70여 일을 저항하였다. 항전이 장기화하자 성안의 식량이 바닥나고 민심도 동요하자 노비문서를 불태우며 공을 세운 자는 신분의 귀천을 가리지 않고 포상할 것을 약속함으로써 위기를 극복하였다. 충주성 함락에 실패한 몽고 주력군이 결국 포위를 풀고 고려에서 철군하였기 때문이다.

이 공으로 김윤후는 감문위(監門衛)의 섭상장군(攝上將軍)으로 크게 승진하였으며 충주는 국원경(國原京)으로 승격되었다. 고종 말년에 동북면 병마사(東北面兵馬使)에 임명되고, 원종조에 추밀원 부사(樞密院副使)를 거쳐 수사공 우복야(守司空右僕射)로 퇴임하였다.

참조항목

살리타, 처인성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