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홍

김수홍

[ 金壽弘 ]

요약 조선 중기의 문신. 1636년 성균관 유생으로 후금의 사신 용골대를 참살하고 그 국서(國書)를 소각할 것을 상소하였다. 자의대비 복상문제 때, 같은 서인인 송시열의 주장을 비난하고, 명 ·청 교체기의 중국 연호 사용에서도, 송시열과 다른 주장을 하였다.
출생-사망 1601 ~ 1681
본관 안동

본관 안동. 우의정 상용(尙容)의 손자. 1634년(인조 12) 생원이 되었다. 1636년 성균관 유생으로 후금의 사신 용골대(龍骨大)를 참살하고 그 국서(國書)를 소각할 것을 상소하였다. 음보(蔭補)로 기용되어 승지 ·참판 등을 거쳐, 1681년 돈령부지사에 이르렀다.

1674년(현종 15) 제2차 자의대비(慈懿大妃) 복상문제 때, 1660년의 제1차 자의대비 복상문제 때와 마찬가지로 같은 서인 송시열(宋時烈)의 기년제(朞年制) 주장을 비난하고, 남인의 복제 주장에 동조하여 논란을 일으켰다. 명 ·청 교체기의 중국 연호 사용에서도, 명나라 숭정(崇禎) 연호 사용을 주장하는 송시열에 대하여 청나라 강희(康熙) 연호를 쓰자고 주장하였다.

참조항목

김상용, 송시열, 예송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