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항

김수항

[ 金壽恒 ]

요약 조선 중기의 문신. 효종 ·현종 때 여러 관직을 지내고, 제2차 예송이 일어나 남인이 주장한 기년설이 채택되자 벼슬을 내놓았다. 그 후 숙종 때 영의정이 되었으나, 1689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재집권하게 되자 진도에 유배되었다가 사사되었다.
김수항 초상

김수항 초상

출생-사망 1629 ~ 1689
본관 안동
구지
문곡
시호 문충
활동분야 정치, 행정
주요저서 《문곡집》

본관 안동(安東). 자 구지(久之). 호 문곡(文谷). 시호 문충(文忠). 1646년(인조 24) 사마시(司馬試)를 거쳐 1651년에 알성문과(謁聖文科)에 응시하여 장원(壯元)으로 급제하였다. 1656년(효종 7) 문과중시(文科重試)에 을과(乙科)로 급제하고 정언(正言) ·교리(校理) 등 청환직(淸宦職)을 거쳐 이조정랑(吏曹正郞) ·대사간(大司諫)에 올랐다. 1659년(현종 즉위) 승지(承旨)가 되었고, 1661년(현종 2) 이조참판(吏曹參判)이 되었으며, 이듬해 대제학(大提學)에 특진하였다. 1674년 효종비 인선왕후(仁宣王后)가 죽었을 때 자의대비(慈懿大妃:인조의 계비)의 복상문제로 제2차 예송(禮訟)이 일어나자, 김수흥(金壽興)과 함께 대공설(大功說:9개월)을 주장했으나, 남인이 주장한 기년설(朞年說:1년)이 채택되자 벼슬을 내놓았다.

1675년(숙종 1)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윤휴(尹鑴) ·허적(許積) ·허목(許穆) 등의 공격으로 관직이 삭탈되고, 원주(原州)에 부처(付處)되었다. 이듬해 풀려나왔다가 다시 영암(靈岩)에 부처되었다. 1680년 영의정이 되고, 1681년 《현종실록(顯宗實錄)》 편찬 총재관(摠裁官)을 지냈으며, 1689년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남인이 재집권하게 되자 진도(珍島)에 유배된 후 사사(賜死)되었다. 전서(篆書)를 잘 썼으며, 현종 묘정(廟庭)에 배향되었다. 영평(永平)의 옥병서원(玉屛書院), 진도(珍島)의 봉암사(鳳巖祠)와 영암(靈岩)의 녹동서원(鹿洞書院)에도 배향(配享)되었다. 문집에 《문곡집(文谷集)》, 편서에 《송강행장(松江行狀)》이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