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인

김수인

[ 金壽仁 ]

요약 조선 중기의 문신 ·서예가. 서예에 뛰어나 전서 ·예서 등을 잘 썼다.
출생-사망 1608 ~ 1660
본관 안동
원보
활동분야 정치, 서예

본관 안동. 자 원보(元甫). 우의정 상용(尙容)의 손자. 1634년(인조 12) 음보로 선공감역(繕工監役)에 기용되어 옥책문(玉册文)을 감조(監造)하고, 이어 전생서주부(典牲署主簿)를 지냈다. 상원현감으로 재직중이던 1636년 병자호란 때 토산(兎山)싸움에서 적은 병력으로 적의 대군과 싸워 공을 세우고 부상당하였다. 그 뒤 증산(甑山) ·의흥 ·창녕 등의 현감을 지냈다. 효종이 무재와 방략(方略)을 알고 특별히 양주목사로 임명하였으며, 얼마 뒤 수원부사로 방어사(防禦使)를 겸임하게 하고, 갑옷을 하사하였다. 병자호란 때의 부상으로 몸이 쇠약해져 관직을 버리고 만년을 보내려 하였으나, 부모의 봉양을 위해 익산군수로 재직하던 중 죽었다. 어려서부터 성격이 엄하여 어른스러웠으며, 서예에도 뛰어나 전서 ·예서 등을 잘 썼다.

참조항목

김상용

역참조항목

구봉문집

카테고리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