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신

김석신

[ 金碩臣 ]

요약 조선 후기의 화가. 산수화를 잘 그렸으며 정선(鄭敾)의 진경산수화의 전통을 계승했고, 김홍도(金弘道)의 화풍을 따른 흔적도 엿보인다. 그러나 두 선배에 비해 소박하고 섬약한 느낌을 주며, 짙고 흐린 먹으로 이루어진 굵은 필선과 필치의 조화는 그만의 개성으로 간주되고 있다.
출생-사망 1758 ~ ?
본관 개성
군익
초원
활동분야 미술
주요작품 《도봉도》 《담담장락도》

본관 개성. 군익(君翼). 초원(蕉園). 득신(得臣)의 동생, 양신(良臣)의 형. 벼슬도화서 화원으로 사과(司果)를 지냈다. 산수화를 잘 그렸으며 특히 정선(鄭敾)이 이룩한 진경산수화의 전통을 계승, 한양 근교의 실경을 주로 그렸는데 그의 대표작의 하나인 《도봉도(道峯圖)》를 보면 정선의 화풍을 많이 따르고 있으나, 《가고중류도(笳鼓中流圖)》에는 김홍도(金弘道)의 화풍을 따른 흔적도 엿보인다. 그러나 화풍이 전반적으로 정선이나 김홍도에 비해 소박하고 섬약한 느낌을 주며, 또 짙고 흐린 으로 이루어진 굵은 필선과 필치의 조화는 그만의 개성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 밖의 유작으로는 《담담장락도(澹澹張樂圖)》 《좌수도해도(坐睡渡海圖)》 등이 전한다.

참조항목

김득신, 도봉첩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