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복일

김복일

[ 金復一 ]

요약 조선 중기 문신.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학유 · 전적을 역임하였다. 전라도어사로 나가 탐관오리들을 숙청했으며 울산군수, 이어 창원부사가 되어 폐단이 심한 그 곳을 잘 다스렸다. 경주 교수가 되어 도의를 크게 일으켰으며, 성균관의 사예 · 사성 및 풍기군수 등을 지냈다.
출생-사망 1541 ~ 1591
본관 의성
계순
남악

본관 의성. 자 계순(季純). 호 남악(南嶽). 이황(李滉)의 문인. 1564년(명종 19) 사마시를 거쳐, 1570년(선조 3)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학유(學諭) ·전적(典籍)을 역임하였다. 형조 ·호조 ·공조의 낭관(郞官)을 지낸 뒤, 전라도어사로 나가 탐관오리들을 숙청하였다.

1587년 울산군수, 이어 창원부사가 되어 폐단이 심한 그 곳을 잘 다스렸다. 경주교수(敎授)가 되어 도의를 크게 일으켰으며, 성균관사예(司藝) ·사성(司成) 및 풍기군수 등을 지냈다. 성일(誠一) 등의 형제와 함께 안동 사빈서원(泗濱書院)에 배향되었다.

참조항목

김성일, 이황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