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반

김반

[ 金泮 ]

요약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성균관주부, 좌헌납, 대사성, 중추원첨지사, 행대사성을 지냈다. 성균관에서 김구 ·김말과 함께 성균관에서 가르치며 많은 인재를 길러내어 ‘경학삼김(經學三金)’이라 불렸다.
출생-사망 ? ~ ?
사원
송정

강서김씨(江西金氏) 시조. 자 사원(詞源). 호 송정(松亭). 권근(權近)의 문인. 1399년(정종 1)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고, 1405년(태종 5) 권근의 《예기천견록(禮記淺見錄)》을 선사(繕寫)하고 성균관주부(主簿)가 되었다. 1423년(세종 5) 예조의 추천으로 효자의 정문이 세워지고, 이듬해 좌헌납에 올랐으나, 뇌물을 받은 혐의로 면직되었다. 1428년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가서 시가 4편을 지어 선종의 은혜에 사례하였는데, 이후로 중국에도 그의 글이 알려졌다.

1441년 대사성, 이듬해 중추원첨지사, 1446년 행대사성에 제수되었다. 1448년 윤상(尹祥) ·김말(金末)과 더불어 경서(經書)에 대한 논쟁 중 꾸짖고 욕하다가 파직되었다. 강서에 돌아가 곤궁하게 여생을 보내다 굶어 죽었다. 김구(金鉤) ·김말과 함께 성균관에서 교수하여 많은 인재를 길러냈으므로, ‘경학삼김(經學三金)’이라 불렸다. 강서 학동서원(鶴洞書院)에 제향되었다.

참조항목

권근, 김구, 김말, 윤상

역참조항목

강릉김씨

카테고리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