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니

기니

[ Guinea ]

요약 서아프리카의 대서양에 면한 나라로, 1849년 프랑스 보호령이 되어 지배를 받다가 1890년 세네갈에서 분리돼 프랑스 식민지에 편입되었고 1958년 10월에 독립하였다. 독립 후 오랜 기간 독재체제의 지배를 받았으며, 독재가 종식된 이후에도 군사 쿠데타 등으로 인해 정치가 불안했다.
기니 국기

기니 국기

위치 서아프리카, 북대서양 연안, 기니비사우와 시에라리온 사이
경위도 서경 10° 00', 북위 11° 00'
면적(㎢) 245,857
해안선(km) 320
시간대 UTC +0
수도 코나크리
종족구성 풀라니족(33.4%), 말린케족(29.4%), 수수족(21.2%), 게르제족(7.8%), 키시족(6.2%)(2018년)
공용어 프랑스어
종교 이슬람(89.1%), 기독교(6.8%), 애니미즘(1.6%), 기타(0.1%) 무신론(2.4%)(2014년)
건국일 1958년 10월 2일 (프랑스로부터 독립)
국가원수/국무총리 마마디 둠부야 대통령
국제전화 +224
정체 대통령제 공화국
통화 기니프랑(Guinean Franc, GF)
인터넷도메인 .gn
홈페이지 http://www.guinee.gov.gn
ISO 3166-1 324
ISO 3166-1 Alpha-3 GIN
인구(명) 14,190,612(2023년)
평균수명(세) 49.80(2008년)
1인당 명목 GDP($) 1,542(2023년)
수출규모(억$) 102.66(2021년)
수입규모(억$) 53.53(2021년)
인구밀도(명/㎢) 40.90(2023년)
1인당 구매력평가기준 GDP(PPP)($) 3,241(2023년)
소리듣기
서아프리카의 대서양에 면한 나라. 정식명칭은 기니 공화국(Republic of Guinea)이다.

서아프리카의 해안에 위치한 나라로 공식 명칭은 기니 공화국(République de Guinée)이다. 기니는 대서양 기니 만을 따라 있는 기니 지역의 이름을 땄다. 숲이 우거진 열대 지역을 통해 북쪽으로 뻗어 있으며 사헬 지역에서 끝이 난다. 기니라는 명칭은 15세기 중반에 일반적으로 기니우스라고 불렸던 세네갈강 남쪽의 아프리카 흑인이 거주하는 땅을 지칭하기 위해 등장한 포르투갈어 단어 ‘기네(Guiné)’에서 유래했다. 1978년에 공식 명칭은 기니 인민혁명공화국으로 명명되었다. 1984년 초대 대통령 아흐메드 세쿠 투레가 사망한 후 기니 공화국으로 개칭되었다.

기니는 서쪽으로 대서양, 북서쪽으로 기니비사우, 북쪽으로 세네갈, 북동쪽으로 말리, 남동쪽으로 코트디부아르, 남쪽으로 시에라리온라이베리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 서아프리카의 3대 주요 강인 감비아강, 니제르강, 세네갈강이 기니에서 발원한다. 기니비사우와 적도 기니처럼 시조가 동일한 여타 나라와 구별하기 위해 수도 코나크리(Conakry)의 이름을 따서 ‘기니-코나크리(Guinea-Conakry)’라고도 불린다. 2023년 현재 기니의 인구는 14,190,612명이고 면적은 245,857㎢다.

기니는 1958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했다. 아흐메드 세쿠 투레(Ahmed Sékou Touré)가 독립 이후 초대 대통령이 되었다. 세쿠 투레는 독재체제를 구축했고 1984년 사망할 때까지 기니를 지배했다. 그 이후 란사나 콩테 장군이 쿠데타로 정부를 장악했다. 콩테도 2008년 사망할 때까지 권위주의 체제를 확립하고 대통령 선거를 조작했다. 수십 년 동안의 권위주의 통치 끝에 2010년과 2013년에 각각 최초로 자유롭고 공정한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선거가 실시되었다. 알파 콩데(Alpha Conde)가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했다. 다당제 선거가 실시되는 와중에도 종족갈등, 부패, 군대와 경찰의 인권침해 문제가 계속되었다. 2021년 마마디 둠부야가 이끄는 군사 파벌이 알파 콩데 행정부를 전복하고 의회를 해산시키며 헌법을 정지시켰다.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보크사이트 생산국이며, 다량의 다이아몬드와 금이 기니에 매장되어 있다. 2014년 에볼라 바이러스 발병의 핵심 지역이 되기도 했다.


기니 본문 이미지 1 

은제레코레마센타구에케두라베시기리캉칸키시두구킨디아키파야말리보케캄사르보파프리아코나크리기니

주요도시

코나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