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우회

근우회

[ 槿友會 ]

요약 1927년 5월에 조직된 항일여성운동 단체.
구분 항일여성운동단체
설립일 1927년
설립목적 여성의 대동단결 도모, 효율적인 항일 및 여성운동 전개
주요활동/업무 여성문제 토론회와 강연회 개최, 야학 실시, 문맹 퇴치
규모 70여 개의 지회, 회원 2,900명(1929)

1927년에 창립하고 1931년에 해산된 여성 항일구국운동 및 여성 지위향상운동 단체이다. 1927년 신간회(新幹會)가 조직된 직후, 자매단체의 성격을 띠고 그 해 5월 민족주의 여성운동계의 김활란(金活蘭)·유영준(劉英俊)·유각경(兪珏卿)·최은희(崔恩喜)·현신덕(玄信德) 등과 사회주의 여성운동계의 박원민(朴元玟)·정종명(鄭鍾鳴)·주세죽(朱世竹) 등이 주동이 되어 한국 여성의 대동단결을 꾀하고 모든 운동을 효율화하여 새로운 여성운동을 전개하려는 취지로 창립하였다.

강령은 여성의 공고한 단결과 지위향상이었으며, 운동 목표는 봉건적 굴레와 일제침략으로부터의 해방을 제시하였다. 서울에 본부를 두고, 전국 각지와 일본 및 만주에 지부를 두었다. 본부에는 재무부, 서무부, 선전조직부, 교양부, 정치연구부, 조사부를 두었다. 회원은 만 18세 이상의 여성으로, 2명 이상의 회원의 추천이 있어야 가입할 수 있었으며, 회비를 내어야 했다.

1929∼1930년에는 지회의 수가 70여 개로 크게 늘었으며, 회원도 1929년 5월 2,900여 명이었다. 도쿄[東京]·간도(間島)·창춘[長春] 등 국외에까지 조직을 확장하였다.

주요 활동은 여성문제 토론회와 강연회 개최, 야학 실시, 문맹 퇴치, 여공파업의 진상 조사, 광주학생운동 및 각종 항일학생운동 지도와 지원 등이다. 그러나 사회주의 계열의 여성운동자들인 정종명·정칠성(丁七星)·이현경(李賢卿) 등이 점차 그들의 사상을 노골적으로 드러내기 시작함으로써 민족주의 계열의 여성운동자들과 사상적 차이가 벌어지기 시작하였고, 1931년 신간회의 해체를 전후하여 해산되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