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총

군총

[ 群叢 ]

요약 피도(被度)와 출현횟수로 결정된 1종 또는 2종의 우점종에따라 식물 군락을 구분한 것으로, 기후적으로 안정된 개개의 단위이다.

F.E.클레멘츠의 천이설(遷移說)에 기초를 둔 군락구분으로, 극상(極相)인 군계를 구성하고 있는 단위이며, 군계에 대응한 대기후에 대해 지역적인 기후의 차이에 의해서 형성된 기후적으로 안정된 개개의 단위이다. 예를 들면, 극상으로서의 너도밤나무숲은 냉온대 낙엽수림군계의 군총이다. 군총도 야외에서 보통 해안의 곰솔숲이라든가, 산지의 참나무숲과 같이 직관적으로 파악된다. 우점종에 의한 군락구분은, 특히 북방의 식물군락 구성종의 수가 적은 스칸디나비아반도의 연구자들이 제기하여 현재까지 널리 사용하고 있다. 조사법은 균질한 식생에 대해서 작은 면적의 방형구(quadrat)를 다수 취하고, 양적측도(量的測度)로서의 피도(被度)와 출현횟수로서의 빈도를 측정하여 평균피도와 빈도로 우점종을 결정한다. 스웨덴의 G.E.뒤리에는 우점종에 의한 군락단위를 기군총(基群叢)이라 명명하였다. 예를 들면, 갈대-물억새 기군총이 있다. 기군총은 다시 군총으로 묶여진다.

참조항목

군계, 우점종

역참조항목

극상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