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이념

교육이념

[ ideals of education , 敎育理念 ]

요약 교육이 궁극적으로 도달해야 할 이상적인 관념.

① 포괄성 : 교육이념은 크고 작은 여러 개념을 모순없이 포함하는 총괄적인 것이어야 한다. ② 보편성 : 일부분에만 반영 ·실천할 수 있는 것은 교육이념으로서 부적당하다. ③ 기본성 : 모든 교육활동을 정당화하는 근거가 되어야 한다. ④ 일관성 : 모든 교육활동은 이념에 의거한 원리로 운영되기 때문에 그들 사이에 모순이 있어서는 안 되며, 시간과 장소에 따라 변하지 않아야 한다. ⑤ 지속성 : 이성(理性)작용에 의하여 도달된 교육이념은 절대적이지는 않더라도 비교적 장기간 계속된다. ⑥ 긍정성 : 사상이 확고한 기초 위에 놓여지고 항구성을 지니려면 부정적인 것보다 긍정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정범모(鄭範謨)는 이념의 수준을 단계적으로 고려하여, 표언명문(表言明文)한 수준의 이념, 논의수준의 이념, 합의수준의 이념, 토착문화수준의 이념 등으로 설명하였다. 한국은 교육법 제2조에 “교육은 홍익인간의 이념 아래 모든 국민으로 하여금 인격을 완성하고 자주적 생활능력과 공민으로서의 자질을 갖추게 하여 민주국가 발전에 봉사하며, 인류공영의 이상실현에 기여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규정하여 교육이념을 밝히고 있다.

여기서도 명시한 바와 같이 교육이념은 교육목적·교육목표와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교육이념은 교육목적을 포함하고 교육목적은 교육목표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목적을 달성할 수단적 의미로 목표를 고려하는 것이 보통이다. 결국 교육이념·교육목적·교육목표는 질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니고, 실제로 도달해야 할 성과 또는 지향하는 바의 현실화에서 거리적 ·시간적 차이를 두고 있을 따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