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목

교목

[ 校牧 ]

요약 프로테스탄트계(系)의 각급 학교에 근무하는 목사.

종교개혁 후로 사회에 진출하게 된 프로테스탄트의 각 교파는 교육사업에 힘을 기울였는데, 이때 설립된 각급 학교의 교장은 보통 목사가 겸직을 하였다. 그 후, 행정적 사무부담이 늘자 학교장의 직분을 독립·분리시키고 종교교육과 종교활동을 전담하는 목사가 새로 배치되었다. 이러한 제도는 18세기 유럽에서 시작되었으며, 그후 미국에서 크게 발전하였다.

한국에서는 조선 후기에 프로테스탄트계의 여러 선교단체들이 신(新)교육기관을 개설하였을 때부터 이 제도가 시작되었다. 미션계 학교의 책임자는 모두 선교사였으므로 처음에는 교목이 따로 없었고, 외국인 선교목사를 보조하여 종교과목을 가르치는 성경교사가 있을 뿐이었다. 그러나 8·15광복과 함께 프로테스탄트계의 사학(私學)이 많이 설립되었다. 그 중에는 미션과 관계가 없는 프로테스탄트 교인이 창설한 교육기관도 많았다.

이러한 교육기관에는 종교교육을 담당하고, 종교행사를 주관하며, 학교를 통한 복음전도를 전담하는 교역자(敎役者)가 전속되었으며, 1962년부터 이들을 교목이라고 일컫게 되었다.

참조항목

미션스쿨

역참조항목

일랑일랑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