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대혼성중합

교대혼성중합

[ alternating copolymerization , 交代混成重合 ]

요약 단위체의 혼합비와 관계없이 생성혼성중합체 속에 함유되는 단위체비가 항상 1:1이고, 또한 두 개의 단위체가 교대로 배열된 생성물을 만드는 혼성중합이다.

교대공중합이라고도 한다. 단위체의 반응성비를 r1, r2로 표현한 경우, r1×r2=0을 만족시켜야 한다. 교대혼성중합체를 만드는 계로서는 ① 단위체 사이에서 전하이동형의 착물을 형성하는 경우, ② 단위체와 촉매(주로 루이스산) 사이에 전하이동형의 착물을 형성하는 경우, ③ 두 개의 단위체가 촉매에 배위하는 경우 등이 알려져 있다.

각각의 예로서는 ① 올레핀-이산화황계, 올레핀-말레산무수물계, ② 올레핀-아크릴로나이트릴-AlEtnCl3-n계, 다이엔-아크릴로나이트릴-AlEtnCl3-1·VO(O-t-Bu)3계, ③ 올레핀-다이엔-VCl4·AlR3·AlR2Cl·아니솔계 등이 있다. 교대혼성중합반응은 빛을 쪼이면 더 촉진된다.

참조항목

중합, 혼성중합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