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제호

광제호

[ 光濟號 ]

요약 무선전신시설을 처음으로 갖춘 한말의 근대식 군함.

이 군함이 건조된 것은 1904년(광무 8) 11월, 무선전신시설이 장치된 것은 1910년 9월이다. 원래 근대식 군함을 도입하려고 추진한 것은 1881년(고종 18) 군비강화책의 일환으로 공채를 모집하면서부터였다.

1902년 말 해군을 창설하면서 화물선을 급히 개조한 양무호라는 군함을 도입하였으나 운영비가 많이 들어, 다시 일본의 가와사키[川崎] 조선소에서 이 군함을 건조하였다. 전장 220척, 너비 30척, 선심 21척에 화물적재량 540톤, 총 톤수 1,056톤으로, 주기관은 3연성 레시프로기관 2대로서 출력은 2,483마력, 최대속도는 14.77노트를 기록한 당시의 조선술로서는 최신의 기선이었다. 여기에 3인치 포를 장치하여 해안경비, 등대 순시와 세관 감시 등 여러 목적에 사용되었다.

광제호를 도입하면서 지금까지 육군편제로만 구성된 15군부를 개편하여, 근대식 해군편제를 마련하는 등 입법조치를 강화하였다. 그러나 1905년 11월 을사늑약의 체결을 계기로 해군군함으로서의 사명을 끝내고, 인천항을 모항으로 하는 탁지부 관세국 소속의 연안세관 감시선이 되었다. 그러다가 1910년 9월 15일 처음으로 무선전신시설을 설치하였다.

무선전신시설을 갖춘 한국 최초의 감시선박(監視船舶)이라는 근대적 의미에도 불구하고, 무선전신시설을 장치한다는 계획이 국권피탈을 전후한 시기에 이루어진 점, 일본정부의 권고로 일본인 기술자를 초빙한 점, 그리고 일제가 대륙진출의 군사·경제적 근거지로 삼은 다롄항[大連港]의 항로와 연결한 점 들을 고려해 볼 때, 일제가 제국주의 침략의 주요 수단이 되는 선박의 항해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참조항목

군함

역참조항목

통신의 역사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