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재해

광산재해

[ mine accident , 鑛山災害 ]

요약 광산에서 발생하는 사상자, 시설기재의 파손, 광물자원의 손실을 수반하는 사고.

광산은 작업장이 지하에 있고, 자연에 대한 도전(挑戰)을 항상 계속하게 되므로, 광산의 갱내외에는 다른 산업에 비하여 많은 재해요인이 산재한다. 따라서 이에 대한 충분한 보안책이 수립되지 않으면 재해가 일어날 위험성이 항상 있다. 한국의 산업별 재해 현황을 보면, 광산이 다른 산업에 비하여 재해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석탄광산이 금속광산에 비하여 보안상 위험이 더 많은 것이 사실이다.

광산재해는 합리적인 보안책을 수립, 시행함으로써 방지해야 하나, 면밀한 대책을 수립해도 자연조건의 위험을 완전히 없앨 수 없다. 한국의 탄광은 석탄이 급경사로 매장되어 있고 상·하반(上下盤)이 연약하며, 채굴의 기계화가 곤란하여 인력에 의존하는 채탄작업을 수행하는 등 자연조건이 불합리하므로 다른 나라에 비하여 재해율이 높다. 광산재해에 있어서 큰 문제가 되는 것은 대형재해와 발생빈도가 높은 재해이다.

역참조항목

은성탄광, 재해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