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진폭발

탄진폭발

[ coal dust explosion , 炭塵爆發 ]

요약 탄광의 갱내에서 공기 속에 부유하고 있는 석탄의 미립자(탄진)가 점화되어 폭발을 일으키는 일.

탄진은 층을 채굴할 때, 채굴된 석탄을 운반할 때 발생되는 석탄의 미립자로서, 주로 배기에 많이 부유하거나 퇴적되어 있다. 탄진의 크기는 10~30 μm까지이나 대부분이 10 μm 이하의 미세한 미분상태로 속에 부유한다. 이와 같은 부유 또는 퇴적중인 탄진이 결정적인 화염에 닿거나 가스폭발 등의 원인으로 인화될 경우 탄진폭발을 일으킨다. 일반적으로 휘발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회분이 적은 탄진일수록 폭발 위험성이 높다. 폭발원인은 주로 가스폭발에 이은 탄진폭발, 즉 가스 ·탄진폭발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탄진만이 폭발하는 경우도 있다. 한국에서는 탄진폭발이 일어난 기록이 없는데, 이는 탄질 자체가 이므로 휘발분이 적어 쉽게 폭발하지 않기 때문이지만, 외국에서는 가끔 탄진폭발이 발생한다. 탄진폭발의 예방방법은 첫째 탄진이 부유하지 않도록 해야 하고, 둘째로 탄진이 부유해도 탄진폭발을 일으키지 않는 방법을 채택해야 한다. 탄진이 부유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물을 뿌려 탄진의 부유요소를 없애고, 부유 중인 탄진에 대해서는 석회석 분말을 분출하여 탄진을 희석시키는 방법을 채택해야 한다.

참조항목

, , ,

역참조항목

, , , ,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