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군

광군

[ 光軍 ]

요약 고려시대에 거란군(契丹軍)의 침입에 대비하여 조직된 특수군단(特殊軍團).

947년(정종 2)에 설치되었으며, 병력은 30만 명이었다. 이에 앞서 후진(後晉)에 유학갔다가 거란에 붙잡혀 그곳에서 벼슬하던 최광윤(崔光胤)이 장차 고려를 침략하려는 거란의 야심을 알아차리고 고려 조정에 상주(上奏)한 일이 있다. 이것을 계기로 광군이라 칭하고 군사를 모집하였으며, 광군사(光軍司)를 설치하여 이를 통할하게 하였다. 광군사는 광군도감(光軍都監)으로 변경되었다가 1011년(현종 2)에 다시 광군사가 되었다.

중앙에서 지방에 관리를 파견한 때는 983년(성종2년) 이후였다. 즉, 성종 대 이전에는 중앙정부에 지방에 대한 통치력이 없었던 때이다. 그러므로 광군은 지방 통치를 맡고 있었던 호족들이 조직한 지방군이라고 파악할 수 있다.

광군은 항상 전투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비군이라기 보다 언제든지 동원이 가능한 예비군과 같았으며 전투 보다 노역을 담당한 부대로 추측된다. 현종 초에는 광군이 예천의 개심사 석탑을 쌓는 일에 동원되기도 하였다.

1012년(현종 3년)에서 1018년 사이에 지방제도의 개편이 이루어지면서 광군은 주현군(州縣軍)으로 개편되었으며 이는 고려 초기 중앙집권화의 과정을 보여주는 사례로 볼 수 있다.

참조항목

광군사, 주현군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