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병대

공병대

[ 工兵隊 ]

요약 1895년(고종 32) 제2차 갑오개혁의 일환으로 시행된 군부관제(軍部官制)에 따라 새로 설치한 중앙군대.

1895년 중앙에 신식군대인 훈련대가 조직되는 과정에서 훈련대에 편입되지 못한 구식군대를 중심으로 12개 대대의 신설대(新設隊)가 만들어졌는데, 그 가운데 8개 대대를 편제하여 만든 것이 공병대이다.

주요 업무는 측량·교통·도로에 관한 군무(軍務)를 담당하는 것이었다. 조직체계는 각각 1명의 대대장 아래 약 140명의 장교와 하사관을 두고, 그 아래 병졸 3,200을 나누어 지휘하도록 되어 있었다.

또한 각 대대에는 치중병(輜重兵) 100명씩을 배치하여 주로 군물수송(軍物輸送)을 담당하게 하였다. 1895년 5월 왕권호위를 위한 시위대가 편제되면서 공병 2개 대대가 흡수되었고, 나머지 6개 대대는 서울을 지키는 중앙군인 친위대에 흡수되어 친위연대의 제3·4·5대대로 편성되면서 사실상 해체되었다. 그러다가 1900년 공병을 1개 중대로 편성하여 친위대에 부속시킴으로써 명맥을 유지할 수 있었다.

공병중대는 3개 소대로 나누어졌는데, 중대의 구성은 정위(正尉)인 중대장을 비롯하여 장교 18명과 상등·일등·이등병·나팔수 등 157명의 병졸로 편제되었다. 그러나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제가 조선군대의 감축을 강요하는 과정에서 1905년 친위대마저 해체시키자 공병은 독립된 1개 중대로 남아 있었다. 1907년 한일신협약의 체결로 해체되었다.

참조항목

갑오개혁, 별기군

역참조항목

공병, 시위대, 친위대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