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정화장치

공기정화장치

요약 공기 속의 먼지나 매연 등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공기여과기나 공기세척기, 원자력 시설의 배기장치 등이 있다. 제거하려는 먼지의 크기와 농도에 따라 선택되며, 보통 여과재에 공기를 통과시켜 먼지를 제거하는데, 장치의 성능은 여과재의 종류에 의존한다.

적당한 위생환경(또는 작업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는 경우와 오염된 공기를 대기 속으로 배출하기 전에 정화하는 경우가 있다. 공기조화장치 속에 포함되는 공기여과기(에어 필터)·공기세척기(에어 와셔) 등은 전자에 속하고, 원자력 시설 등의 배기장치에 설치되는 것은 후자에 속한다. 또 작업장에서 나오는 배기 속의 자원을 회수하기 위해 사용되는 집진장치(예를 들면, 귀금속광산의 배기로부터 귀금속 회수)는 공기정화를 주목적으로 한 것은 아니지만 이 속에 포함되는 경우도 있다.

먼지의 농도가 공기 1m3중 7mg 이상일 경우에는 집진(集塵), 그 이하일 경우에는 공기정화의 범위이나 보통 사용되고 있는 용어는 이것을 명확하게 구별하고 있지 않다. 인간의 폐에 들어가면 해로운 먼지의 크기는 0.5∼5μm이다. 독성이 있는 것은 물론 문제 밖의 일이다. 또한 10μm 이상의 것은 육안으로도 보이므로 기분적으로 대단히 불쾌감을 준다. 따라서 공기정화장치는 이 범위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공기정화장치는 먼지의 크기와 농도에 대한 목표값에 따라 선택된다. 공기여과기는 직물 ·종이 ·유리섬유 등의 여과재(濾過材)에 공기를 통하여 그 속에 들어 있는 먼지를 제거하는 것으로, 여과재의 종류에 따라 성능도 크게 달라진다. 공기세척기는 공기의 흐름 속에 대량의 물을 내뿜어 먼지를 제거하려는 것이며, 동시에 습도를 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섬유공장 등의 공기조화장치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밖에 먼지를 대전(帶電)시킨 다음 고전압을 건 극판(極板)에 부착시켜서 세척하는 전기집진기(電氣集塵器)와 악취가 나는 가스나 연기를 흡착하는 활성탄(活性炭) 등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