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성군

곡성군

[ 曲城郡 ]

요약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臨河面) 지방에 있던 통일신라시대의 행정구역.

경상북도 임하면은 '물가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예로부터 물로 인한 피해를 많이 겪어오던 고장이다. 삼한과 고구려시대에 굴화군(屈火郡)이라 하던 것을, 신라 경덕왕 때 곡성군으로 고쳐 명주(溟州:江陵)에 딸리게 하였다. 속현(屬縣)으로 연무현(緣武縣)을 두었다. '임하'라는 이름이 붙은 것은 고려시대부터이다.

안동·의성김씨가 주민의 16%에 달하며, 예천임씨 9%, 안동권씨 9%, 경주이씨 8%, 안동김씨 4% 등으로 집성촌이 많은 것으로 미루어 뿌리를 중시하는 고장임을 짐작할 수 있다.

현재 이 지역은 전체인구의 74%가 농사를 지으며 대마·사과·수박 등 특용작물이 주류를 이룬다. 임하댐으로 인한 높은 습기·안개 등으로 하우스농업이 발달하였다.

참조항목

임하면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