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유고

고산유고

[ 孤山遺稿 ]

요약 조선 중기 효종 때 남인(南人)의 거두이자 시인(詩人)이었던 고산 윤선도의 시문집.
고산유고

고산유고

구분 목판본
저자 윤선도
시대 1798(정조 22년)

목판본. 6권 6책. 1798년(정조 22) 간행. 이 판본은 1791년(정조 15)에 왕명으로 전라감사 서유린(徐有隣)이 간행한 것을 다시 1798년에 전라감사 서정수(徐鼎修)가 고산의 본가(本家)에 소장된 목판본을 대본으로 하여 와탈(訛脫)된 것을 첨삭하여 고산집(孤山集) 15부를 재차 간행한 것이다. 현재 전하고 있는 것은 이의 재판으로 추정된다.

내용은 권1에 오언(五言) ·칠언고시(七言古詩) 및 율(律) ·절(絶) ·집고(集古) ·회문(回文), 권2에 소(疏), 권3의 상(上)에는 소(疏) 및 예설(禮說), 하(下)에는 서(書), 권4에는 서단(書單), 권5 상(上)에는 서(書), 하(下)에는 제문(祭文) ·회문(回文) ·축문 ·조약(條約) ·서(序) ·기(記) ·설(說) ·비명(碑銘) ·잡저(雜著) ·의(議) ·잡록(雜錄), 권6 상별집(上別集)에 시(詩) ·부(賦) ·논(論) ·책(策) ·표전(表箋), 하별집(下別集)에 가사(歌辭), 부록에 시장(諡狀)이 적혀 있다. 특히 하별집에는 국문학상 귀중한 자료인 고산의 시조 75수가 수록되어 있다.

이 가사편(歌辭篇)은 모두 17장으로 되어 있고, 그 다음에 부록으로 판서 홍우원(洪宇遠)이 쓴 고산의 시장(諡狀) 23장이 붙어 있다. 가사는 산중신곡(山中新曲)부터 시작하여 산중속신곡(山中續新曲) ·고금영(古琴詠) ·증반금(贈伴琴) ·초연곡(初筵曲) ·파연곡(罷宴曲)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어부사여음(漁父詞餘音) ·몽천요(夢天謠) ·견회요(遣懷謠) ·우후요(雨後謠)의 순으로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다른 문집과는 달리 희귀한 국문학 작품을 싣고 있어 한국 시가(詩歌)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경북대학교에서 영인한 바 있다.

참조항목

윤선도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