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수

고산수

[ 枯山水 ]

요약 동양의 정원 구성양식의 하나로, 식물과 물이 없이 이루어진 정원.

이것은 자연숭배사상의 표현으로 해석되며, ‘없어도 만족한다’는 자연관과 인생관에서 유래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정원을 만들 때 오직 바위나 자갈 등을 사용하며, 폭포는 청석으로, 계곡과 바다는 자갈로, 갈매기는 경석(景石)으로, 다리는 디딤돌로 표현하는 수법을 이용한다. 어떤 의미에서는 추상적이라고 할 수 있는 정원의 구성양식이다.

일반적으로 면적이 좁은 공간에 만들어 일정한 장소에서 조망되도록 한다. 좁은 공간에 여러 형태의 바윗돌을 1∼3개씩 모아 놓음으로써 그 한 덩어리가 산 ·계곡 ·수목 ·해조(海鳥)를 상징하고, 바닥에는 작은 자갈을 깔아서 그 무늬가 파도와 같은 곡선을 이루어 바다와 강처럼 보이게 한다. 이렇듯 하나의 자연경관을 상징하게 함으로써 소재를 통하여 자연을 찬미할 수 있게 표현한다. 이러한 양식은 사실적인 자연의 소재를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자연경관의 미를 재현시키는 일반 정원의 수법에 비하여 극히 제한된 것인데도 그 형태나 느낌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데서 새로운 평가를 받고 있다.

참조항목

경석, 정원

역참조항목

디딤돌, 조경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