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구곡가

고산구곡가

[ 高山九曲歌 ]

요약 율곡(栗谷) 이이(李珥)가 지은 연시조(聯時調).

작자가 42세 되던 해에 황해 해주 석담(石潭)에서 제자들의 교육에 힘쓰고 있을 때 그곳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그 풍광을 노래한 것이다. 서곡 1수, 본문 9수로 모두 10수의 연시조인데, 주자(朱子)의 《무이구곡(武夷九曲)》을 본떠 지었다 하나 시상(詩想)에 있어 독창적인 면이 엿보인다.

서곡부터 시작하여 제1곡은 관암(冠巖), 제2곡은 화암(花巖), 제3곡은 취병(翠屛), 제4곡은 송애(松崖), 제5곡은 은병(隱屛), 제6곡은 조협(釣峽), 제7곡은 풍암(楓巖), 제8곡은 금탄(琴灘), 제9곡은 문산(文山) 등으로 나누어 각각 그곳의 경치와 흥취를 읊었다.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과 좋은 대조를 이루는 이 작품의 서곡은 다음과 같다. “고산구곡담(高山九曲潭)을 살고산구곡가 본문 이미지 1이 몰으든이, 주모복거(誅茅卜居)고산구곡가 본문 이미지 2니 벗님네 다 오신다.어즙어 무이(武夷)를 상상고산구곡가 본문 이미지 3고, 학주자(學朱子)를 고산구곡가 본문 이미지 4리라.”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