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촬요

고사촬요

[ 攷事撮要 ]

요약 조선시대의 사대교린(事大交隣)과 일상생활에 필요한 사항을 엮은 유서(類書).

《고사촬요(攷事撮要)》는 어숙권(魚叔權) 등이 1554년(명종 9) 왕명을 받아 《제왕역년기(帝王曆年記)》 및 《요집(要集)》 등을 참조하여 편찬한 책으로, 사대교린(事大交隣)과 일상생활에 필요한 여러 가지 사항들을 모아 상,중,하 3권과 부록으로 엮은 것이다.
  이후 1771년(영조 47) 서명응(徐命膺)이 《고사신서(攷事新書)》로 대폭 개정하고 증보할 때까지 12차례에 걸쳐 간행되었다. 현존하는 최고본(最古本)은 1568년(선조 1)에 발간한 을해자본(乙亥字本)이다. 1576년(선조 9)에 간행된 을해자본 복각본은 방각본(坊刻本) 중 가장 오래 된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1585년(선조 18)에 간행된 목판본은 허봉(許篷)이 필요한 부분을 증보 수정하여 간행했으나, 임진왜란으로 판본이 모두 없어져 1613년(광해군 5)에 박희현(朴希賢)이 보충하여 《속고사촬요(續攷事撮要》를 간행했다. 1636년(인조 14)에는 최명길(崔鳴吉)이 다시 증보하여 《續編攷事撮要》를 편찬했다.
  이 책은 3권3책본, 5권5책본 등 이판본(異板本)들이 있으나, 구성은 모두 서문, 본문, 발문의 순서로 되어 있다. 서문은 1554년에 어숙권이 쓴 것이 그대로 실려 있다. 규장각과 장서각 그리고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된 3권3책 활자본의 상권에는 대명기년(大明紀年), 중권에는 중조(中朝=명)와 본조(本朝=조선)의 기신(忌辰), 탄일(誕日), 진공방물수목(進貢方物數目;중국에 보내는 품목과 수량), 마색(馬色), 중원진공로정(中原進貢路程), 대명관제(大明官制) 등이, 하권에는 접대왜인사례(接待倭人事例), 을유년신정약조(乙酉年新定約條), 왜인조경도로(倭人朝京道路), 접대야인사례(接待野人事例)와 우리 나라의 동서반산계(東西班散階), 육조낭관소장(六曹郎官所掌), 반록(頒綠) 등 관제(官制)와 품계(品階)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어 절서(節序), 복제식(服制式), 의친식(議親式), 혼서식(婚書式), 생약가(生藥價)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여러 가지 서식, 약방, 상식 등이 실려 있다. 부록에는 조선의 역대 기신(忌辰)과 8도 관직의 총수 등 53항목의 잡기(雜記)가 실려 있다.

역참조항목

지봉유설, 백하주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