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여학교

고등여학교

[ 高等女學校 ]

요약 한말과 일제강점기에 설립된 여성중등교육기관.

1908년(융희 2) 4월 ‘고등여학교령’이 공포됨에 따라 그 해 최초의 관립 여자중등교육기관으로 한성고등여학교가 설립되고, 1909년에는 1906년에 설립된 명신(明新)여학교가 사립 숙명고등여학교로 재발족하였다. ‘고등여학교령’및 그 시행령에 따르면, 고등여학교는 여자에게 필요한 고등보통교육과 기예(技藝)를 교육함을 목적으로 설립하며, 관립 ·공립 ·사립으로 구분하였다.

수업연한은 3년제 본과(지방에 따라 4년), 2년제 예과, 2년 이상의 기예전수과(技藝專修科) 등이 있었다. 예과는 보통학교 2년 수료 이상의 학력자로 10세 이상의 여자를 수용하고, 기예전수과는 15세 이상의 여자를 수용하여 가사 ·실과 교육을 시켰다. 본과의 교과목은 수신 ·국어 ·일본어 ·역사 ·지리 ·산술 ·외국어 등이었다.

그러나 1911년에는 일본인의 고등여학교와 차등을 두어 한국인의 여학교는 3년제의 ‘여자고등보통학교’로 개칭하였으며, 여기에 3년제의 기예과와 1년제의 사범과를 병설하였다. 또 1938년에는 제3차 ‘조선교육령’이 공포되어 여자고등보통학교는 다시 고등여학교로 되고, 여기에 수업연한 2~3년의 고등과와 전공과, 2년의 보습과(補習科)를 두어 1945년 광복 당시까지 존속하였다.

교과목은 수신 ·공민 ·교육 ·일본어 ·역사 ·지리 ·외국어(중국어 ·독일어 ·프랑스어 ·영어) ·수학 ·이과 ·실업 ·도화 ·가사 ·재봉 ·음악 ·체조 등이었다. 1940년 당시 전국의 고등여학교는 44개교에 학생수 1만 161명이었고, 1943년에는 이 밖에 12개의 사립 고등여학교에 6,511명의 학생이 있었다.

역참조항목

고등보통학교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