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남산신성

경주 남산신성

[ Namsansinseong Fortress, Gyeongju , 慶州 南山新城 ]

요약 경상북도 경주시 남산(南山)에 있는 신라 왕도의 요새이던 산성. 1963년 1월 21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남산신성

남산신성

지정종목 사적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소장 경주시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산56번지 외 10필
시대 신라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크기 면적 약 7.08㎢

1963년 1월 21일 사적으로 지정되었으며, 면적은 약 7.08㎢이다. 591년(진평왕 13)에 축조되었고, 663년(문무왕 3)에는 성 안의 세 곳에 장창(長倉)을 설치하여 무기와 군량미를 저장하였다. 장창터에는 당시의 초석들이 남아 있고 땅 속에서는 숯으로 변한 쌀알이 출토되었다. 679년(문무왕 19)에 크게 증축하였으며, 현재의 성터는 그 당시의 것으로 추정된다.

성의 규모는 약 3,750m가 되므로 《삼국유사》나 《동국여지승람》의 기록보다 《삼국사기》 본기(本紀)에 기록된 2,854보(步)가 옳은 것 같다. 거의 대부분의 성벽이 무너지고 돌도 유실되었으나, 몇몇 곳에는 아직도 옛 모습이 남아 있어 그것으로 미루어 보아 세로 20cm, 가로 50cm 정도의 가공석(加工石)으로 축조하고, 높이가 약 2m 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진평왕 때는 고구려와 백제의 급박한 침입에 대처하고, 문무왕 때는 당(唐)나라와의 싸움에서 도성을 수비하기 위한 요새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2011년 7월 28일자 국가유산청 고시에 따라 '경주남산성'에서 '경주 남산신성'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