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도

경상도

[ 慶尙道 ]

요약 경상남·북도를 전부 포함하는 지역의 옛 이름.
석굴암 석불

석굴암 석불

본래는 삼한시대(三韓時代)의 진한(辰韓) 땅이었는데 후에 신라가 이 지역을 소유하였으며, 신라가 망한 후에 고려가 이 지역을 영유(領有)하였다. 고려에서는 동남도부서사(東南都部署使)를 두어 다스렸으며, 치소(治所)를 경주(慶州)에 두었다.

995년(성종 14)에 전국을 10도(道)로 나눌 때, 상주소관(尙州所管)은 영남도(嶺南道), 경주·금주(金州) 소관은 영동도(嶺東道), 진주(晉州) 소관은 산남도(山南道)라고 하였다. 1106년(예종 1) 영남·영동·산남 등의 3도를 합하여 경상진주도(慶尙晉州道)라 하였고, 1171년(명종 1) 이를 양분하여 경상주도(慶尙州道)·진합주도(晉陜州道)라고 하였다가 1186년에 이를 합하여 경상주도라 하였다. 1204년(신종 7) 상진안동도(尙晉安東道)로 개명하였다가 후에 경상진안도(慶尙晉安道)로 고쳤다.

1259년(고종 46) 명주도(溟州道)의 화주(和州)·등주(登州)·정주(定州)·장주(長州) 등의 4주가 몽골에 들어갈 때 본도(本道)의 평해(平海)·영덕(盈德)·덕원(德源)·송생(松生) 등을 떼어서 명주도에 속하게 하였다. 1290년(충렬왕 16) 다시 덕원·영덕·송생 등의 3군을 동계(東界)에 예속하게 하였다가 후에 다시 본도로 되돌아오게 하였으며, 1314년(충숙왕 1) 경상도로 이름을 정하고 조선시대에도 그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경상도의 고려시대 행정구역은 1경(京)·3목(牧)·3부(府)·30군(郡)이었다. 1경은 동경(東京), 3목은 경주·진주·상주목이고, 3부는 보성(甫城)·경산(京山)·안동부이다. 30군은 흥해(興海)·장산(章山)·수성(壽城)·영주(永州)·울주(蔚州)·예주(禮州)·영양(英陽)·평해(平海)·영덕(盈德)·금주(金州)·의안(義安)·함안(咸安)·양주(梁州)·밀성(密城)·창녕(昌寧)·청도(淸道)·강성(江城)·하동(河東)·합주(陜州)·문경(聞慶)·용궁(龍宮)·개령(開寧)·보령(報令)·함창(咸昌)·영동(永同)·해평(海平)·고령(高靈)·임하(臨河)·예안(禮安)·의흥이며, 이 밖에 92개의 현이 있었다.

조선시대 경상도의 행정구역은 1부·1대도호부(大都護府)·3목·7도호부·14군·40현이었는데 1부는 경주부, 1대도호부는 안동대도호부, 3목은 상주·성주(星州)·진주목이고, 7도호부는 영해(寧海)·청송(靑松)·대구(大丘)·밀양·선산·김해·창원도호부이다. 이 밖에 울산군 등의 14군과 동래현(東萊縣) 등의 40현이 있었다.

1895년(고종 32) 5월에 8도(道)의 목·부·군·현을 모두 폐하고 그 대신 23부(府)를 설치하였는데 경상도에는 4관찰부(觀察府)를 두고 여러 군을 이에 예속하게 하였다. 진주부(晉州府)에는 진주군 등의 21군, 동래부(東萊府)에는 동래군 등의 10군, 대구부에는 대구군 등의 23군, 안동부에는 안동군 등의 16군이 예속되었다. 그러나 1896년에 23부제를 폐하고 경상도를 남북의 2도로 나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