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농악

경북농악

[ 慶北農樂 ]

요약 경북지방에 전승되어 온 농악.

안동·대구·김천·선산 등지에서 성행하고 있다. 지방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이기는 하나 대개 비슷하며, 서부농악에 속하는 김천농악을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김천에서는 해마다 정초에는 걸립굿을, 여름철 김을 맬 때에는 두레굿을 쳤고, 또 몇 년마다 행하던 별신굿에서도 농악을 쳤다.

이 밖에 단오·추석 등의 명절에도 농악이 있었다. 이 농악대의 편성은 농기(農旗)·대장(大將)·양반·각시·포수(砲手)·꽹과리(상쇠·부쇠·종쇠)·징(2명)·큰북(2~4명)·소고(8명 이상) 등이며, 복색은 경남농악과 비슷하나 대장만이 특이하게 갑옷을 입고 투구를 썼으며 칼을 찼다. 판굿의 구성은 덩덕궁이 4가락, 다드래기 4가락, 판안다드래기 4가락을 친 후 연풍대를 거쳐 진법놀이와 개인놀이를 연출한다.

이 지방의 진법놀이와 개인놀이는 경남농악과 비슷한데, 다른 점은 진법놀이에서 2 개의 진을 치는 각진(各陣) 풀이인 모의 전쟁놀이가 많은 점이다. 김천농악의 쇠가락은 덩덕궁이·다드래기·판안다드래기·굿거리·길군악으로 짜여 있다.

참조항목

농악, 별신제

역참조항목

경남농악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