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무청

경무청

[ 警務廳 ]

요약 갑오개혁으로 설치되어, 한성부의 경찰 ·감옥업무를 총괄한 관청.

1894년(고종 31) 종래의 포도청을 폐지하고 내무아문(內務衙門) 산하에 일본식 경찰제도를 본뜬 경무청을 설치하여 5개의 경무지서(警務支署:후에 경무서로 개칭)와 50개의 순검번소(巡檢番所)를 관장하였다. 이와 함께 종래의 전옥서(典獄署)를 폐지하고 감옥서를 설치하여 경무청 소속 아래 두었다. 설치 당시에는 경무사 ·경무부관(警務副官) 각 1명과 경무관 ·서기 ·총순(總巡) ·순검 각각 약간명씩을 두고 청내에 총무국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1895년 직제를 개편하여 경무사(警務使:勅任官) 1명, 경무관(警務官:奏任官) 12명 이내, 주사(主事:判任官) 8명 이내, 감옥서장(판임관) 1명, 총순(판임관) 30명 이내, 감옥서기(판임관) 2명 이내, 간수장(판임관) 2명 이내를 두었다.

이 당시의 경무청 업무는 경찰 ·감옥업무 외에도 출판물 판매허가, 호구조사, 시장, 전염병예방, 종두(種痘), 변소구조와 분뇨수거, 음료수, 매장(埋葬), 광견(狂犬) 단속 등 오늘날의 보건 업무도 겸하였다.

1900년 경부(警部)로 승격되면서 경무청의 관할지역은 한성부에서 전국으로 확대되었다. 1907년 경시청으로 개칭되어 본격적으로 일본경찰화하였다.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