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정도

결정도

[ crystallinity , 結晶度 ]

요약 일반적으로 물질이 결정(結晶)되어 있는 정도를 말한다. 화성암의 경우에는 암석에 포함되어 있는 결정의 비율을 뜻한다.

화성암 속에 포함되는 결정의 비율을 말하며, 고분자에 포함되는 결정질의 비율은 결정화도(結晶化度)라고 한다. 현미경밖에 없었던 시대에는 물질을 현미경으로 보아 비정질(非晶質) ·현정질(顯晶質) ·잠정질(潛晶質) ·현미경적 등으로 나누었다. 잠정질은 현미경으로 보아도 비정질인가 결정인가 분명하지 않을 정도의 것을 말하며, 일부가 결정을 이루고 있으나 개개의 광물을 판별할 수 없는 것도 포함된다. 현미경으로 보아 가까스로 판별할 수 있는 정도의 결정을 현미경적이라고 한다. 현정질은 육안으로 결정을 이루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정도의 것을 말하며, 현미경적인 것도 포함된다.

X선이 발달한 뒤부터는 분말법(粉末法)에 의하여 X선 사진을 찍어서 그 영상을 보고 비정질과 잠정질을 뚜렷이 구별할 수 있게 되었다. 분말법을 사용하면 전혀 결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비정질뿐인 경우 영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잠정질로서 교질(膠質)인 경우는 굵고 명료하지 않은 선이 나타난다. 결정질인 경우는 결정의 각 망면(網面)이 X선을 반사하므로 각 결정구조에 따라 특유의 선이 나타난다.

참조항목

결정, 결정면

역참조항목

결정축, 결정화도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