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사기리 탱자나무

강화 사기리 탱자나무

[ Trifoliate Orange of Sagi-ri, Ganghwa , 江華 砂器里 탱자나무 ]

요약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사기리에 있는 탱자나무. 1962년 12월 7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강화 사기리 탱자나무

강화 사기리 탱자나무

지정종목 천연기념물
지정일 1962년 12월 7일
소장 강화군
관리단체 강화군
소재지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사기리 135-10번지
종류/분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생물과학기념물 / 분포학
크기 면적 13.2㎡, 높이 3.8m, 뿌리목 지름 53cm

1962년 12월 7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강화군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수령 400년 정도의 노거수로 높이는 3.8m이다. 땅 위 28cm 되는 곳에서 3갈래로 갈라지며, 다시 여러 개의 가지로 갈라져 있다. 뿌리목의 지름은 53cm, 가지 길이는 동쪽 4.1m, 서쪽 3.2m, 남쪽 2.7m, 북쪽 3.9m이며 나무가 차지하는 면적은 13.2㎡이다.

사기리의 길가에 서 있는데, 꽃이 피고 열매를 맺는다. 줄기목 부분이 많이 상하였고 군데군데 가지가 말라 죽었다. 줄기가 옆으로 처지기 때문에 철제 지주로 지탱하고 있다. 갑곶리의 성 밖에 탱자나무를 심던 무렵에 심은 것으로 추정된다. 수령을 500년으로 보기도 한다.

역참조항목

강화도, 화도면

카테고리

  • > > >
  • > > >

관련동영상

강화 사기리 탱자나무 강화도는 고려 고종이 몽고의 침입을 피해 있었던 곳이며, 조선 인조도 정묘호란(1627) 때 난을 피했던 장소이다. 당시 방어를 위해 성을 쌓고, 성 바깥쪽에 탱자나무를 심었는데 이 탱자나무는 그 때 심은 것으로 추측된다. 사기리 탱자나무의 수령은 400~500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는 3.8m이다. 땅 위 28cm 되는 곳에서 3갈래로 갈라지며, 다시 여러 개의 가지로 갈라져 있다. 세월이 지나면서 탱자나무의 일부 가지가 말라죽고 동쪽으로 뻗어난 가지만 살아 있다. 강화도는 탱자나무가 자랄 수 있는 북쪽 한계선 지역이며 강화도의 역사를 지니고 있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