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멸구

벼멸구

[ brown plant hopper ]

요약 노린재목 멸구과의 곤충.
벼멸구(Nilaparvata lugens)

벼멸구(Nilaparvata lugens)

학명 Nilaparvata lugens
동물
절지동물
곤충류
노린재목
멸구과
멸종위기등급 미평가(NE : Not Evaluated, 출처 : IUCN)
크기 장시형-4.5∼5mm, 단시형-3.3mm
몸의 빛깔 연한 갈색 또는 어두운 갈색
서식장소
분포지역 동남아시아·오스트레일리아

갈색멸구라고도 한다. 흰등멸구·노랑다리멸구와 함께 벼의 큰 해충이다. 장시형(長翅型)은 머리꼭대기에서 날개끝까지 4.5∼5mm이고, 단시형은 3.3mm 내외로, 온몸이 연한 갈색 또는 어두운 갈색이며, 약간 광택이 있다. 머리의 융기(隆起)는 뚜렷하지 않다.

도톰한 넓적다리마디는 도톰하며 종아리마디는 길고 날씬하다. 그러나 매미충과는 달리 종아리마디에 센털이 줄지어 있지 않으며, 발목마디와 종아리마디 사이에 가동거라는 커다란 돌기가 있다. 뒷다리의 첫째 발목마디에 2∼6개의 가시가 줄지어 있다.

볏대 아랫부분의 즙액을 빨아먹으므로 피해를 입으면 벼가 쉽게 쓰러진다. 피해를 입으면 잘 자라지 않고 심하면 벼가 말라죽는다. 피해시기에 따라 수량이 감소하며, 쌀의 품질도 떨어진다. 조생종보다는 만생종 품종에서 피해가 많고 척박한 토양보다 비옥한 토양에서 피해가 많다. 또 건답보다는 습답에서 피해가 많다.

중국 남부 지역에서 6∼7월 남서풍을 타고 옮겨오는 해충으로, 한국에서는 남서 해안 지역에서 나타나 피해를 많이 일으킨다. 나타나는 시기가 빠른 해에는 6월 하순부터 발생해 3세대를 경과하면서 증식해 피해를 준다. 동남아시아·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벼멸구 본문 이미지 1

참조항목

멸구과, , 해충

역참조항목

에토프로포스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