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릴레오 계획

갈릴레오 계획

[ Galileo project ]

요약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목성탐사 계획.

목성의 제1~4위성 발견자인 G.갈릴레이를 기념하여 명명하였다. 이 계획은 갈릴레오호(號)가 1989년 12월 18일 케네디우주센터에서 우주왕복선 아틀란티스호에 실려 6년에 걸친 목성 탐사여행에 나섬으로써 실천에 옮겨졌다.

길이 9 m, 지름 4.8 m, 무게 약 2,670 kg인 갈릴레오호는 목성의 대기권과 위성의 화학성분 및 물리적 상태, 목성의 자기권(磁氣圈)의 구조와 물리역학적 상태 등을 조사하게 된다. 목성은 가스로 이루어진 행성으로, 태양계가 형성될 무렵의 성분을 간직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데, 이를 알아내는 것은 태양계의 기원을 밝히는 데 중요하다.

갈릴레오호는 지구를 출발한 후 태양 주위를 크게 2번 돌고, 그 사이에 금성을 1회, 지구를 2회 근접 통과하여 궤도를 변경, 목성으로 향한다. 1995년 목성에 도달, 대기돌입 탐사용 로켓과 고성능 카메라로 관측하게 된다. 탐사용 로켓은 1시간 이상 대기의 온도 ·밀도 ·화학조성 등을 계측한다. 본체는 목성의 인공위성으로서 목성과 그 위성(이오 ·가니메데 ·에우로파 등)을 2년간 관측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