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편셈

간편셈

[ expedient computation , 簡便─ ]

요약 수의 계산에서 가급적 복잡한 계산 절차를 피하고 간단한 수단으로 결과를 구하는 방법이다. 덧셈과 곱셈에서는 10의 거듭제곱을 포함하는 형태로 바꾸어 간편셈을 한다.

곱셈, 나눗셈에서의 간편셈을 각각 간승법, 간제법이라 한다. 이를테면, 어떤 수를 5배 하는 대신에 10배 하여 2로 나누면, 864×5=864×10÷2=4320과 같이 간단히 답을 얻을 수 있다.

같은 식으로 25배 하는 대신에 100배 하여 4로 나누거나, 125배 하는 대신에 1,000배 하여 8로 나누는 방법도 있다. 또, 위의 계산을 반대로 하여 5, 25 또는 125로 나눌 때의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100단위, 1000단위 등에 약간 모자라는 수를 더하거나 빼거나 곱할 때에도, 346+299=346+300-1=645, 684-398=684-400+2=286, 424×999=424×(1000-1) = 42400-424=423576과 같이 계산할 수도 있다. 특수한 예로는 합과 차의 곱의 곱셈공식을 써서, 403×397=(400+3)(400-3) = 4002-32=160000-9 =159991로 계산할 수도 있다.

참조항목

어림셈

역참조항목

계산, 곱셈, 곱셈공식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