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막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사막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작성일 2012.03.0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진짜 한 10년 사막에서 살면 경험할수 있는 모든 것

모든 환경

모든풍경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동식물들도 물론이고요

 

예를 들자면 모래바람은 얼마나 자주 불어오는지

모래바람이 온다는 것은 어떻게 알 수 있는지

어떤 동물들이 사는지

그들은 사람에 대한 적대심이 강한지

어디서 볼수 있는지 어디에 사는지

정말 희귀한 것도 상관없으니까 말해주세요

식물도 선인장이 산다고만 하지말고

어디어디에는 어떤 선인장이 어디에는 어떤 선인장이 어떻게 살아가는지

어디에서 물을 얻을수 있고 어디에서 먹을거리를 구할 수 있는지

사막에 사는 사람들은 어떻게 사는지 상세히 설명해 주세요

앞에 몇명이 답변했든 상광없이 가장 상세히 설명해 주신 분을 채택해 드릴꺼니까 많이 답변해 주세요

내공 100겁니다 사진도 첨부하면 좋고 가능한 상세히 설명해 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답변을 하기전에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사막에서 10년정도 살으실건가요?

 

답변1)사막에서 사는 동물

미어캣(Meerkat)

분류 : 척삭동물문 > 포유강 >  식육목 > 몽구스과
식성 : 육식성
번식방법 : 태생
활동시간 : 낮
먹이 : 곤충, 뱀, 도마뱀 등 소형 파충류, 전갈
분포지역 : 보츠와나, 짐바브웨, 모잠비크

특징 : 무리생활을 한다. 앞발은 갈고리 모양의 큰 발톱을 지니고 있으며 암컷은 6개의 유두를 지니고 있다. 독에 면역이 있어 전갈이나 뱀을 먹어도 중독되지 않는다. 건조하고 탁 트인 장소를 좋아하기 때문에, 산림이나 산지에서는 잘 서식하지 않는다. 포식자, 날씨로부터 피해를 막기 위해 직경이 5m에 달하는 굴을 만들어 은신처로 사용하기도 한다.

항문샘의 분비물이 한곳에 저장되어 엉덩이 주변에 주머니 모양 구조물을 형성한다. 눈 주위의 검은색 반점은 눈부심을 막아주는 효과를 낸다. 수컷과 암컷은 몸무게에 차이가 있다. 수컷은 626~797g, 암컷은 620~969g 정도이다.

하루일과: 일어난 직후에는 밤 동안 떨어진 체온을 올리기 위해 굴 밖으로 나와 햇볕을 쬔다. 낮 동안에는 굴 밖으로 나와 섭식 활동을 하며 중간에 더위가 심해지면 휴식을 취하기도 한다. 해가 지기 전에 활동을 끝내고 굴 속으로 들어간다.

무리생활: 무리생활을 한다. 10~40마리가 모여 무리를 이루며 각각의 무리는 1~3마리의 암컷과 4마리 이상의 수컷, 그리고 새끼들로 구성된다. 암수 모든 개체가 번식에 참여하지만 우두머리 수컷이 다른 수컷의 번식을 방해하기도 한다. 암수 모두 각각의 무리 내 서열을 가지는데 이는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서 점차 증가한다.

도움도 체계적으로: 무리 내 체계적인 협동 생활이 이루어진다. 상처를 입은 개체는 안전하게 굴속으로 들어갈 수 있게끔 호위를 받으며 자립이 가능해질 때까지 먹이를 공급받는다. 각 개체들이 돌아가면서 보초를 서기도 하는데, 나이든 수컷이 가장 오랜 시간을 맡으며 그 다음이 나이든 암컷, 우두머리, 젊은 암수 개체의 순이다. 어린 개체들은 보초를 서지 않는다. 서열이 낮은 암컷은 무리 내 새끼들을 돌보는 역할을 맡는다.

위협동작: 자신들의 영역을 방어해야 할 때는 전체 무리가 한데 모여 꼬리를 위로 올리고 등을 구부린 채로 큰 소리를 낸다.

 

미어켓의 사진

 

 

사막여우 [Fennec Fox]

 

분류 : 척색동물문 >포유강 >식육목>개과

식성 : 잡식성
번식방법 : 태생
활동시간 : 밤
먹이 : 작은 설치류, 식물, 새, 새알, 도마뱀, 메뚜기, 곤충
분포지역 : 모로코ㆍ니제르ㆍ이집트ㆍ수단 사이의 사막 지역, 시나이 반도, 쿠웨이트, 이라크 남부, 아라비아 반도 남동쪽

특징 : 활동적이다. 서 있는 상태에서 한번에 위로 60~70cm, 앞으로 120cm 가량의 거리를 뛰어 넘을 수 있다. 건조한 지역을 좋아한다. 길이가 수 미터에 달하는 굴을 만들어 그 안에서 서식한다

물 웅덩이를 중심으로 그 흔적이 자주 보이지만 물 없는 사막에서도 자취를 확인 할 수 있다. 물 없이도 오랜 시간 살아갈 수 있다고 한다. 발바닥의 털로 인해 사막에서도 모래에 빠지지 않고 걸어다닐 수 있다.

무리의 지도자: 10마리 정도가 한 무리를 이룬다. 번식기 혹은 새끼가 태어난 직후에는 예민해지고 공격적으로 변한다. 수컷은 생후 4년 정도가 지나면 완전히 성숙해 무리의 지도자 자리에 오른다. 드물기는 하지만 지도자가 되고서 이전 지도자였던 자신의 아버지를 죽이는 경우도 있다.
모래 속으로 가라앉는다: 건조한 지역에서 모래 굴을 만들어 생활한다. 수 미터 가량의 굴을 빠른 속도로 파내 '모래 속으로 가라앉는다' 는 명성을 얻기도 했다.

 

활동적이다. 서 있는 상태에서 한번에 위로 60~70cm, 앞으로 120cm 가량의 거리를 뛰어 넘을 수 있다. 건조한 지역을 좋아한다. 길이가 수 미터에 달하는 굴을 만들어 그 안에서 서식한다

물 웅덩이를 중심으로 그 흔적이 자주 보이지만 물 없는 사막에서도 자취를 확인 할 수 있다. 물 없이도 오랜 시간 살아갈 수 있다고 한다. 발바닥의 털로 인해 사막에서도 모래에 빠지지 않고 걸어다닐 수 있다.

무리의 지도자: 10마리 정도가 한 무리를 이룬다. 번식기 혹은 새끼가 태어난 직후에는 예민해지고 공격적으로 변한다. 수컷은 생후 4년 정도가 지나면 완전히 성숙해 무리의 지도자 자리에 오른다. 드물기는 하지만 지도자가 되고서 이전 지도자였던 자신의 아버지를 죽이는 경우도 있다.
모래 속으로 가라앉는다: 건조한 지역에서 모래 굴을 만들어 생활한다. 수 미터 가량의 굴을 빠른 속도로 파내 '모래 속으로 가라앉는다' 는 명성을 얻기도 했다.

 

사막여우의 사진

 

 

방울뱀[ Rattlesnake ]   

 

분류 : 척삭동물문 > 파충강 > 유린목 > 살모사과 > 방울뱀속

식성 : 육식성
번식방법 : 난태생
활동시간 : 밤
먹이 : 쥐, 새, 작은 포유류
분포지역 : 캐나다, 미국, 멕시코, 에콰도르

특징 : 4월쯤 기온이 높아지면 겨울잠에서 깨어나 굴 입구에 며칠동안 있으며 햇볕을 쬐다 여름이 되면 본격적으로 활동한다. 대개 굴에서 1마일이상 떨어지지 않는다. 여름동안 대부분의 뱀은 밤에 사냥하고 낮에는 먹이를 먹은 후 소화를 돕기 위해 햇볕을 쬔다. 방울뱀은 주로 봄에 굴에서 나오며, 가을에 굴로 들어가면서 관찰된다. 방울뱀은 냉혈동물이기 때문에 외부 온도에 의존한다. 너무 더우면 그늘에 있거나 굴에 들어간다. 너무 추우면 햇볕을 쬔다.

갓 태어난 방울뱀은 꼬리끝이 단추처럼 각질화되어있다. 뱀이 허물을 벗을때마다 이것이 하나씩 늘어난다. 이 부분은 느슨하게 서로 이어져있어 꼬리가 떨릴 때 소리를 낸다. 큰 뱀일수록 소리가 크게 나는데 이는 일년에 한 번이상 허물을 벗어 꼬리에 남는 허물의 수가 더 늘어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으로 나이를 가늠할 수는 없다. 육식성이며 씹지 않고 삼킨다. 숲, 사막지대, 산, 골짜기, 습지 등에 서식한다.

방울뱀의 방울소리는 방울뱀은 못들어요 : 뱀의 귀는 외이가 없으며, 고막이나 중이강이 없어, 이골은 고막이 아니라 턱으로 이어져 있다. 그래서 수년 동안 뱀은 공기를 타고 오는 소리를 못 듣는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전기생리학적으로 검사한 결과 뱀은 낮은 레벨의 150~600Hz의 소리를 들을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하지만 방울뱀이 꼬리에서 내는 소리는 5000~8000Hz로 방울뱀이 들을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에 방울뱀은 자신의 소리를 듣지 못한다.

방울뱀의 꼬리에는 방울이 달린 것이 아니라, 방울같은 변형된 비늘이 소리를 내는 것이다. 일초에 50회 정도 떨리며 한 쪽의 비늘이 다른 쪽의 비늘을 문지르게 되며 소리가 난다. 음의 높이와 소리의 크기는 종과 개체마다 다르다. 큰 뱀은 더 낮고 큰 소리를 낸다. 뱀의 체온은 떨리는 정도에 영향을 준다. 체온이 낮은 뱀의 소리는 더 낮고 작다. 크기와 떨림은 뱀의 체온이 올라갈수록 함께 증가한다. 허물을 벗을 때마다 꼬리끝에 달리는 비늘이 하나씩 늘어난다. 방울뱀 뿐 아니라 다른 뱀들도 위협을 당하면 꼬리를 흔든다. 뱀이 마른 풀이나 나뭇잎 위에 있으면 꼬리를 떠는 소리가 마치 방울뱀의 소리처럼 들린다. 이 소리는 천적을 위협하고 경고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방울뱀의 사진

 

 

 

 

모래고양이 [sand cat]

 

분류 :포유강  > 식육목 >고양이과 

식성 : 육식성
번식방법 : 태생
활동시간 : 밤
먹이 : 새·쥐·토끼·메뚜기·도마뱀 등 작은 파충류나 설치류
분포지역 : 북아프리카·알제리·사하라사막·이집트·이스라엘·이란·파키스탄·러시아남부

특징 : 몸길이 45~57㎝, 꼬리길이 28~35㎝, 어깨높이 26㎝, 몸무게 2~3㎏의 고양이과 동물이다. 야생고양이과 동물 가운데 가장 작은 종류에 속하며, 암컷이 수컷보다 조금 가볍다. 털빛은 황갈색 또는 회갈색으로, 등쪽으로 갈수록 짙고, 배쪽으로 갈수록 엷다. 몸에는 흐릿한 줄무늬가 있고, 네 다리에는 뚜렷한 얼룩무늬가 있다. 발바닥에는 두터운 털이 나 있어 사막 지역의 열기로부터 몸을 보호하고, 달릴 때 발이 모래에 빠지지 않도록 해 준다.

목 앞쪽과 볼은 흰색이며, 다리는 짧다. 머리는 넓고 평평하며, 큰 귀는 아래쪽에 붙어 수평으로 뻗친다. 반사막지대, 모래 언덕, 바위 사막이나 암석으로 이루어진 평원 등에 서식하며, 모래 굴이나 덤불숲·바위틈 등 작은 굴이나 구멍을 휴식처로 삼는다.

사막동물의 특성을 살려 땅에 납작 엎드려 다니는데, 사막에서도 빠르게 달릴 수 있으며, 청각이 매우 발달해 아주 미세한 소리까지도 감지할 수 있다. 야행성으로서 해질녘부터 새벽녘까지 새·쥐·토끼·메뚜기·도마뱀 등 작은 파충류나 설치류를 잡아 먹는다. 사막에는 물이 거의 없기 때문에 수분은 전적으로 사냥감에 의존한다. 겨울에는 낮에 활동하는 경우도 있다.

짝짓기는 3~4월이며, 7~8주의 임신 기간을 거쳐 한 배에 보통 4~5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다 자라려면 10~14개월이 걸린다. 북아프리카,사하라사막·알제리·이집트,이스라엘·이란·파키스탄·러시아남부 등에 분포하며, 총 4아종으로 나뉜다. 성격이 온순해 애완용으로 기르기도 한다. 수명은 약 13년이다.

 

모래고양이 사진 

 

답변2) 사막에사는 식물

 

바오밥 나무 (baobab)

 

분포지역 :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섬 남부 건조지대와 케냐 등 열대 아프리카

특징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섬 남부 건조지대와 케냐 등 열대 아프리카에서도 극히 일부 지역에서만 서식하는 희귀식물로, 수명이 5천년에 달하는 것도 있으며 평균 높이 20m, 줄기 둘레 10m의 크기이다.

바오밥 나무는 나무 윗 부분에 몰려 있는 줄기가 마치 뿌리 모양을 하고 있어 신이 실수로 거꾸로 심어 생겼다는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온다. 
 

 

바오밥나무 사진

 

 

 

천년초

 

분포지역 :  미국, 멕시코, 중남미, 이탈리아



크기와너비 : 크기 30~40cm, 너비 11cm

꽃색깔 : 노란색

식용 : 줄기, 열매

특징 : 다육질의 여러해살이 풀로 줄기는 일반적인 선인장처럼 다육질로서 몇 군데가 마디처럼 잘록하며 이것을 경절(莖節)이라고 한다. 경절은 원통 모양, 공 모양, 타원 모양 등 그 모양이 여러 가지이며, 그 모양에 따라 분류하기도 한다. 이 경절에 헛물관이 있으며 표피 가까이에 관다발이 있다. 새순에 달리는 잎은 바늘처럼 생겼으며 육질로서 완전히 자란 다음에 떨어진다. 떡잎은 바소(한방에서, 곪은 데를 째는 데 쓰는 날이 있는 기구)꼴 또는 삼각형이며 같은 육질로서 화피와 포(변형된 잎)가 서로 다르다. 영하 20℃에서도 월동이 가능하다.줄기의 형태가 손바닥과 비슷하여 손바닥선인장으로도 불리운다.

 

천년초 사진

 

 

  (사진이 흐려서 죄송^^)

 

죠슈아 트리(Joshua Trees)

분포지역 : 미국 유타주, 서부사막

특징 : 성경에 나오는 여호수아를 상기시킨다고 하여 조슈아 Joshua 나무로 불린다.

          유카나방과 공생하는 관계를 이루며 살아가는데, 매년 봄 하얀꽃을 피운다.

 

죠슈아 트리 사진

 

 

 

웰위치아(Welwitschia)
분포지역 : 나미비아 사막

특징 : 천년을 사는 식물로 불리며, 나미비아 사막에서 생육한다고 알려져있다.
생긴건 야자수 폐기한 것 처럼 생긴 것 처럼 너저분하게 생겼다.

 

웰위치아 사진

 

 

유칼립투스(Eucalyptus Macrocarpa)

분포지역 : 호주

특징 : 호주의 사막지방에서 자라는 꽃이 아름다운 식물 이다.

 

유칼립투스 사진

 

 

 

답변3) 사막의 풍경

 

버섯바위 [mushroom rock]

 

특징 : 미암괴() 또는 받침돌이라고도 부르며 일반적인 경우 바람에 의해 사막바닥을 날아다니는 모래와 먼지가 수 천 년에 걸쳐 암석의 아래 부분을 중심으로 더 깎아 윗부분보다 더욱 가늘도록 만드는데 이로 인해 특이한 형태의 암석들이 조각된다. 보통 약 1미터 아래부분이 중심적으로 깎이는데 비슷한 결과가 흐르는 물에 의해 생성되기도 한다. 또한 애초부터 암석의 윗부분이 아랫부분보다 풍화에 강해서 이러한 모양이 생기는 경우도 있고 지표면에 가까울수록 이슬이 많이 맺히는 현상 때문에 비슷한 모양이 나타날 때도 있다. 비슷한 원리에 의해 생기는 암주(Hoodoo)도 차별적인 침식 또는 풍화에 의해 생기는데 원래의 암석이 퇴적암이고 꼭대기에 아래의 암석보다 단단한 암석이 자리잡을 때 주변의 암석이 제거되고 하나의 기괴한 시루떡처럼 생긴 기둥만 남아있는 경우이다
 

버섯바위 사진

 

 

 

삼릉석 [facetted pebble]

 

특징 : 풍릉석(Ventifact)의 일종인데 풍릉석이란 흑요석(Obsidian), 처트(Chert), 규암(Quartzite) 같은 단단한 암석이 계속되어 바람에 날리는 모래에 노출되어 한쪽 면이 깎이고 돌의 위치가 바뀌어 다른 면이 깎이는 등의 과정이 반복되어 1개 이상의 면이 평탄하게 된 암석을 말한다. 이때 3개의 마모된 면이 있는 경우를 삼릉석이라고 부르는데 사막지역에서 잘 형성되고 바람이 강한 해안에서도 볼 수 있다.

바람이 꾸준하게 불어서 모래를 날려주고 바람을 막아줄 식물이 자라지 않도록 건조하며, 충분한 양의 모래가 공급되어야 하지만 암석을 묻어버릴 정도로 모래의 공급이 많아서는 안 되는 조건에서 만들어지는데 그 생김새는 럭비공모양이되 공 표면이 세 개의 능선이 들어가있는 것으로 보면 된다. 마치 브라질너트처럼 생겼다. 암석의 표면에는 모래에 의해 깎인 자국이 줄로 남아있는 경우가 많고, 사면체로 된 경우도 있다.

 

삼릉석 사진

 

 

 

사구 [sand dune]

 
특징 : 반드시 모래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지만 모래입자의 경우 빨리 고화되지 않고 바람의 영향을 받기에 적당한 입자크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가장 적합하고 또 가장 흔하다. 바람에 실려온 모래가 넓은 지역을 차지하고 있는 사막이나 넓은 바닷가, 그리고 호숫가에서도 사구를 관찰할 수 있다.

형성장소에 따라서 사막과 같이 건조한 내륙에서 만들어지는 내륙사구, 해안가의 모래에 의해 만들어지는 해안사구, 거대한 호숫가 또는 강가의 모래에 의해 만들어지는 호반사구와 하반사구가 있으며, 사구의 이동 유무에 따라 고정사구와 이동사구로 나누어진다.

사구는 바람의 세기와 방향에 따라 여러 크기와 형태를 이루면서 서서히 이동한다. 사구의 크기와 규모는 다양하다. 작은 규모의 경우 거의 눈에 띄지 않을 정도로 얕지만 아프리카 알제리의 사하라 사막이나 중국의 고비 사막에 있는 사구의 경우 최하부와 상부의 높이 차이가 450에서 500m에 달하며 모래언덕과 다음 모래언덕의 거리가 3km 정도 되는 것도 있다.

사구의 모양은 모래의 공급량이나 풍속·풍향과 그 변화, 주변 지형 등에 의해서 고립된 단순하고 작은 사구로부터 말발굽형·열상()·파랑상() 등 변화가 다양하다. 모래의 공급량이 적으면 타원형의 순상사구()가 생기고 바람받이[]는 완경사, 바람의지[]는 급경사, 양쪽 끝은 돌출하여 바르한Barkhan)이 된다.

이것이 이동해서 옆으로 이어지면 풍향에 대해서 직각으로 배열되는 횡사구()가 형성된다. 풍속이 크면 바람의지 쪽으로 열려진 V자형이나 포물선형() 사구가 형성되고 이것이 이어지면 풍향과 평행하는 종사구()가 형성된다. 풍향이 계절적으로 변화하는 곳에서는 바르한이 변화된 각뿔상사구[]가 된다. 대규모의 바르한의 바람의지 쪽에는 바람받이 쪽에 급경사, 바람의지 쪽에 완경사하는 비교적 소규모의 만하사구(mankha)가 형성된다.

 

사구의 사진

 

 

답변4) 식량을 구하는 방법

 

물을 얻는법

1.오아시스를 찿는다.

 

2.선인장줄기는 대부분 물로 이루어져있어서

선인장줄기를 먹으면됩니다.(가시는 제거하고요^^)

 

식량을 얻는방법

1.오아시스나 강에서 낚시를 한다.

 

2.사막에사는 동물을 사냥한다.

 

3.사막에 사는 몇 안되는 식용식물을 찾는다.

 

사막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진짜 한 10년 사막에서 살면 경험할수 있는 모든 것 모든 환경 모든풍경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동식물들도 물론이고요 예를 들자면 모래바람은 얼마나 자주 불어오는지...

사막에 대해

사막에 대해 몇가지 질문을 하려고 합니다. 아시는 분 답변좀 해주세요. 사막이 있는 나라의 주거문화를 알고 싶습니다. 또 그 나라의 의복, 산업활동에 대해.. 아시는 분...

초석작업장 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 사항들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빠른답변부탁드려요 월요일까지저녁 8시쯤까지.... 아타카마 사막에 있는 이키케의 동쪽 48km 지점에 위치해 있습니다. 기예르모 웬델 칠산염...

데블스마블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오스트레일리아에 있는 데블스마블에 대해 자세히 알고... 말고 더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아시는 분은 빨리... ㅋ 호주 서부 사막에 있는 관광명소중 하나지요. 저도 호주인...

환경 관련 직업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 사실 사막에서 나무를 심는다거나 그런 식으로 직접 뛰는 봉사활동을 좀 더 하고싶습니다만 그건 결국 봉사활동이라 직업으론 가질 수 없는 모양이더라고요... 그래서...

진화의 관계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 쉽게 누가 좀 A4 한장정도로 요약해주세요 ㅠ 진화에 대해서는 어렴풋이... 하고, 사막에 가까운 지역의 유대류는 햇볕을 피하기 위해 땅으로 파고들어 두더지 처럼...

몬스터의 종류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 샌드 웜 모래 지렁이라고도 불리우는 샌드웜은 사막에 주로 서식한다. 검도 튕겨내는 강도높은 가죽은 왠만한 일격에는 뚫리지않는다. 그러나 내부,입안은 굉장히 연약하기...

rose) 라는 보석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 일반적으로 사막에 피는 장미라고 해서 석화라고 불리우지요. 이것은 보석명은 아니고 아데니움의 색을 띄고 있는 보석을 소설에서 차용해서 올린 것 같습니다. 보석 중에...

1~13챕터 스토리를 알고 싶습니다.

테일즈위버의 1~13챕터 스토리를 알고 싶습니다. 내공 50... 탄생석에 대해 궁굼해하는것 밖에 없습니다 후반가면... 일행은 랑켄의 도움으로 사막에 도착을 하고 카디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