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모로코에 관해 몇 가지 질문을 드리고 싶습다

안녕하세요 모로코에 관해 몇 가지 질문을 드리고 싶습다

작성일 2024.04.15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최근 아프리카 모로코에 관심이 생긴 사람입니다
모로코에 관해 검색하던 중, Great King Tiger 님이 지식in에 정성스레 달아주신 답변글들이 인상깊어 이렇게 질문드리게 되었습니다

혹 번거롭지 않으시다면 질문을 몇 가지 드리고 싶습니다

1. 24년 현재에도 모로코에 한국 식품을 취급하는 식품점 혹은 잡화점이 있을까요?

2. 모로코에도 K-Culture가 활성화 중인 것으로 여러 기사를 본 적이 있는데, 실제 현지인의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도가 어느정도 인가요?

3. 모로코에 한국 문화를 수출?한다는 가정하에, 현지인의 신뢰성 등을 파악하기 위해 어떤 요소를 중점으로 판단하면 좋을까요? 


아프리카는 생소하기도 하고, 특히 모로코는 남겨주신 답변을 보다보니 여러 의문점이 생겨 이렇게 자문을 구해봅니다

답변 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에서 중동, 이슬람, 아랍어 관련 답변을 주로 달고 있는 swastika3입니다.

참고로 전 중동 지역학/아랍어 전공자이며 전공을 살려 중동/아랍 20개국에서 24년 이상

공관/대기업/개인 사업 경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모로코에서 1년 이상 근무한 바 있습니다.

질문자님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모로코에 관해 몇 가지 질문을 드리고 싶습다

안녕하세요

최근 아프리카 모로코에 관심이 생긴 사람입니다

모로코에 관해 검색하던 중, Great King Tiger 님이 지식in에 정성스레 달아주신 답변글들이 인상깊어 이렇게 질문드리게 되었습니다

혹 번거롭지 않으시다면 질문을 몇 가지 드리고 싶습니다

1. 24년 현재에도 모로코에 한국 식품을 취급하는 식품점 혹은 잡화점이 있을까요?

-> 정식으로는 없습니다. 그 이유는 대기업 같은 경우 현대 그린 푸드를 활용하여 식자재를

조달할 수 있지만 여기는 한국 식자재를 개인 업자가 통관시키기에는 비용이

상당히 많이 들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한식당도 거의 가뭄에 콩나듯이고

실제 중국 식재료품점에 일부 한식품들이 들어오는 것들은 있으나

대개 유럽으로 넘어가서 그 쪽 한식 재료를 가져오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2. 모로코에도 K-Culture가 활성화 중인 것으로 여러 기사를 본 적이 있는데, 실제 현지인의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도가 어느정도 인가요?

-> 이건 국뽕 기자들이 지나치게 부풀린 겁니다. 한류는 모로코에서 관심있는 여성들 일부만 관심

있는 거지 한국이 어딘지 모르는 모로코인들도 많습니다.

그리고 한류가 퍼져도 정식적으로 한국 정부에서 문화원을 갖춘 중동 국가들도 5개 이하

입니다.

또한 모로코에서는 한국 정부가 세운 한국 문화원은 없습니다.

일부 대학에서 한국어 학과는 있지만 한류가 그렇게 대단한 것도 아니고

언젠가 쇠퇴할 문화 사조들 중 하나기에 지나치게 기대하시는 건 좋지 않습니다.

관심은 관심있는 사람들이나 관심있고 한류 자체가 모로코 인들의 사고방식이나

생활양식을 바꿀 수준의 힘이 없습니다.

오히려 부정적인 측면이 더 많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한류 드라마에서는 선남선녀만 나오고 꿈같은 이야기만 하는데 이를 보고 모로코 인들이

3D 업종에 주로 한국에 취업하려 옵니다.

그런데 무슬림 국가라 해서 차별받고 돈 떼먹히고 귀국 하는 경우도 요새 많아져서

'한국이라면 이를 득득 갈며 귀국하는 케이스'도 많아집니다.

(우리나라 언론들이 '기레기'인게 저널리즘의 기본을 잊고 한류의 어두운 실상을

제대로 밝히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3. 모로코에 한국 문화를 수출?한다는 가정하에, 현지인의 신뢰성 등을 파악하기 위해 어떤 요소를 중점으로 판단하면 좋을까요?

-> 그 개념 자체가 애매합니다. 한국 문화를 수출한다는 말 자차게 광범위하고 구체성이 없습니다.

현지인의 신뢰성은 한류 드라마의 허상(웃기지도 않는 신데렐라 스토리)을 보고 그릇된 환상을 품는 것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식문화적으로도 우리나라랑 완전히 상이합니다.

여기는 우리나라가 건강이나 헬스를 중시하는 것과 달리

음식 자체가 달고 짜고 이런 것을 정규 식사, 후식 가리지 않고 먹어 대기에 국민병이 당뇨병입니다.

그래서 이 쪽으로 디저트는 한국 수준으로 달달해도 여기서는 워낙 달기에(한국인이 이 쪽 할와 디저트를

먹으면 너무 달아 바로 입에서 뱉어낼 수준으로 단 것들도 많습니다.)

한국식으로 상정해서 접근하시면 통하지도 않습니다.

참고로 사업을 해외에서 한다는 것은 국내보다 더 어렵고 에기치 못한 돌발상황에 자주 처하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때문에 일단 한국 문화 수출이라 애매하게 말씀하셨는데 구체적인 품목을 정하시고

모로코에도 우리나라 공기업이면서 개인 사업자 및 중견, 중소 기업 수준의 한국 기업들을 로컬 파트너랑

이어주는 '코트라' 지부가 있습니다.(나 구글 치시면 쉽게 나옵니다.)

거기서 모로코 현지 출장 계획 잡으시고 연락 미리하셔서 약속 잡으시고 시장 조사 및 로컬 파트너 후보

리스트, 시장 정보 등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건 질문자님이 모로코에서 사업 아이템을 '무엇으로 정하느냐'에 따라 달라지기에

기본적으로 구체적인 아이템을 저에게 언급해 주셔야 합니다.

@. 아프리카는 생소하기도 하고, 특히 모로코는 남겨주신 답변을 보다보니 여러 의문점이 생겨 이렇게 자문을 구해봅니다

답변 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 답변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답변확정 부탁드립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현재 모로코에서는 카사블랑카, 라바트, 탕헤르 등 도시에서 한국 음식점이 많이 생기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한국 식료품을 판매하는 한국 마트도 생겼습니다.

2. 전세계 사람들이 한류 문화 드리마, 음악을 좋아하는 것 만큼이라고 생각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한 예로 올해 모로코 수도 라바트에서 진행하는 국제적인 음악 축제 (마와진) 을 진행하는데 그 무대에 한국 KPOP 그룹도 참여를 합니다. 이 정도면 한국 문화가 먼 아프리카 까지 알려져 있는지 알 수 있을겁니다.

3. 어려운 점이긴 합니다. 단순히 제품을 판매하는 것도 쉽지 않은 시장입니다.

유럽과 가까워 유럽 문화에 많이 노출되어 높은 수준의 제품을 요하면서도 국민 소득이 높지 않아 대중적인 제품은 가격 영향을 많이 받는 곳입니다. 거기에 문화를 수출한다는 것은 결국 그 문화를 직접 받아들이고 현지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지는지 테스트를 많이 해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신뢰성 등은 사업을 준비하신다면 현지에 방문하셔서 위에 언급한 한국분들이 어떤 사업을 하고 그에 대한 피드백은 현지에서 어떻게 받고 있는지를 먼저 알아보시는게 가장 빠르지 않을까 합니다.

참고하세요.

https://kimbapandtagine.com/%eb%aa%a8%eb%a1%9c%ec%bd%94-%ec%97%ac%ed%96%89-%ed%95%9c%ea%b5%ad-%ec%8b%9d%eb%8b%b9-%eb%b0%a9%eb%ac%b8/

사업자등록에 관해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스마트스토어를 비롯한 통신판매업을 위해 사업자를 등록하고자 합니다. 몇 가지 궁금한 점이 있어서... 이외궁금한건 답변채택후 1:1질문 주세요. 제답변이 도움...

바리스타에 관해 몇가지 질문을 하려고...

안녕하세요 바리스타에대해 몇가지 궁금한점이 있어... 알고싶습니다. 저는 지금까지 로브버드에서 파트타임으로... 부탁 드리고 싶은 말은요 커피를 사랑하는 진정한...

글쓰기에 관해 몇가지 질문하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글쓰기에 대해 몇가지 질문하고자 합니다. 1. 글쓰는데 있어, 수동태... 제가 여기서하고싶은말은 주어가 사람이 아닌경우 수동태로 쓰인다는 걸 말씀드리고싶었습...

도움을 받고자 질문 드리고 싶습니다

... 몇가지 질문 드리고 싶네요^^ 제가 구매하려고 하는... 늘 안전운전하시구요^^ 안녕하세요 안전한 이륜차 문화... 들어주고싶습니다. 티니의 경우 오토쵸크교환하여...

관하여 몇가지 질문 드리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지금 진로 고민중인 예비고3입니다. 그래서 제 진로에 관해 몇가지 질문 드리고 싶습니다. 1. 제가 꿈이 IT관련 직종에서 일하는 것인데요, (특히 네트워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