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에 관한것...

핀란드에 관한것...

작성일 2004.11.2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 초 6인데여 수행평가지 2. 함께살아가는 세계 단원인데요

제가 핀란드를 정해서 조사하거등요

핀란드의 특이한 생활과 환경과 자연환경을 일단 알아봐주시구요

우리나라와 비교한 나라와의 차이점(생활, 종교, 의식주)를 알아봐주시고

핀란드의 문화재, 우리 문화재와 문화적특징을 비교 해서 올려주세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위치 : 북유럽 발트해연안
면적 : 33만 8145㎢
인구 : 518만 5000명(2001)
인구밀도 : 17명/㎢(2000)
수도 : 헬싱키
정체 : 공화제
공용어 : 핀란드어, 스웨덴어
통화 : 마르카(Fmk)
환율 : Fmk 6.53 = 1달러(2001.9)
1인당 국민총생산 : 2만 4730달러(1999)
나라꽃 : 은방울꽃



--------------------------------------------------------------------------------

본문


면적은 33만 8145㎢, 인구는 518만 5000명(2001), 인구밀도는 17명/㎢(2000)이다. 정식명칭은 핀란드 공화국(Republic of Finland)이다. 핀란드어로는 수오멘 타사발타(Suomen Tasavalta), 또는 수오미(Suomi:호수의 나라)라고 한다. 보트니아만(灣)과 핀란드만에 면하고, 옛소련과 스웨덴 사이에 위치한다. 주로 동쪽으로부터 이주해온 피노우그리아계(系)의 언어를 사용하는 핀인(人)과, 나중에 남부로 이주해온 스웨덴인(人)으로 구성되어 있고, 19세기 초까지는 스웨덴의 일부였다.

국기(國旗)에는 흰색 바탕에 청십자(靑十字)가 그려져 있으며, 스칸디나비아 국가들과 강한 유대를 가지고 있다. 스웨덴과 옛소련이라는 2대 강국에 끼여 있어 역사적으로 고난의 길을 걸어왔으며, 종교적으로도 국민의 대다수는 프로테스탄트로 친서구적(親西歐的) 국민감정이 강하다. 그러나 최근에는 러시아의 막강한 압력으로 부득이 협조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1. 자연

발트해를 중심으로 페노스칸디아 순상지의 일부를 차지하는 핀란드는 오랫동안 기반암이 삭박(削剝)되어 낮고 평평한 지형을 이루고 있다. 기반암은 선(先)캄브리아대(代)의 결정암과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4기에는 전국토가 스칸디나비아 빙상(氷床)으로 뒤덮여 빙식(氷蝕)을 받았으며 빙상이 물러간 뒤에는 많은 퇴적물이 남아 있었다. 그 후 짧은 기간 동안 하천의 침식이 있었으나 심하지 않았으므로 퇴적물은 빙상이 물러날 당시의 지형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빙상에 의한 퇴적지형에는 빙상의 이동방향을 나타내는 오스(氷期에 빙하 아래에서 흐르고 있던 강의 지반, 모래와 자갈이 조금 쌓여 있는 높은 지대이며 esker라고도 한다)와 빙상후퇴(氷床後退)의 정체기를 나타내는 단퇴석렬(端堆石列)이 있다.

오스는 북서쪽에서 남동방향의 것이 많고, 남부에는 '살파우셀케(Salpausselk)'라고 불리는 두 줄의 단퇴석렬이 동서 방향으로 이어져 있으며 이곳에 도로나 취락이 생겨났다. 빙상의 후퇴와 육지의 상승에 의한 해안선의 변동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현재는 빙상이 소실됨으로써 아이소스타시(isostasy:地殼平衡說)적인 융기가 계속되어 남해안에서는 연 4mm, 발트해의 깊은 곳에서는 연 12mm 정도 상승을 계속하고 있다. 이로 인해 남해안과 서해안에서는 새로운 해안평야가 생기고, 섬 숫자도 늘어나고 있다. 빙식으로 생긴 요지(凹地)는 물이 가득 채워져 호수가 되었으며, 호수의 면적은 국토 면적의 10%에 이른다. 국토의 최고봉은 북서쪽 국경 부근의 할티아툰투리산(1,324m)이며 200m가 넘는 지역은 북부와 동부 지역뿐이고 평균 높이는 150m이다. 이것은 유럽 전체의 평균높이 330m의 절반 이하이다.

위도상 북위 60∼70°에 위치하여 국토 전체가 세계에서 가장 북쪽에 있는 국가이지만 대서양에 가까운 데다 발트해에 맞닿아 있어 기후는 온난하다. 남부의 2월 평균기온은 -7℃, 7월 평균기온 17℃이고, 북부에서는 2월이 -14℃, 7월이 13℃이다. 연 평균강수량은 500∼600mm이며 그 중 30∼40%는 강설량이다. 발트해는 서해안에서 6개월, 남해안에서 4개월 동안 얼어붙는다. 시베리아 타이가 지역의 연장에 해당하여 삼림은 국토의 75%를 덮고 있으며, 그 가운데 소나무가 절반을 차지한다.

2. 주민

핀인(좁은 뜻의 핀人, 즉 핀란드人)은 우랄·볼가 지역으로부터 이동하여 에스토니아에서 바다를 건너온 것으로 추정된다. 물론 많은 혼혈이 있었지만 피노우그리아 어족(語族)에 속하는 핀란드어를 유지해 온 핀인들이 핀란드에 정주한 것은 8세기의 일이다. 5세기에 처음으로 올란드(아흐베난마)섬에 이주해왔던 스웨덴인들 역시 바다를 건너 들어왔으며, 13세기경에는 해안지역에 꽤 많은 취락이 형성되었다.

핀란드어를 사용하는 국민은 93%, 스웨덴어를 사용하는 국민은 6%, 그밖에 랩인 2,500여 명이 있다. 대부분의 국민들이 영어를 사용할 줄 안다. 핀란드어와 스웨덴어가 국어로서 쓰이고 있으나 스웨덴어를 사용하는 국민은 전체적으로 출생률이 낮아 인구 중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해마다 낮아지고 있으며 언어 때문에 심각한 문제가 일어난 일은 없다. 종교는 국민의 88%가 루터파(派)의 프로테스탄트에 속하며 그리스정교도가 1%이다.

인구는 남쪽 지방에 밀집하여 분포하고 북쪽 지방은 인구가 드물다. 헬싱키를 포함한 우시마 지방에서는 인구밀도가 100인/㎢에 이르지만 랩인들이 사는 라피 지방에서는 2인/㎢에 불과하다. 주요 도시는 헬싱키·탐페레·투르쿠 등 세 도시이고 특히 헬싱키는 눈부시게 성장하고 있다. 1997년 현재 도시인구비율은 64%(320만 명)로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3. 역사
1) 스웨덴령 시대

볼가강(江) 유역의 원주지를 떠나 차차 서쪽으로 진출하여 핀란드에 정착한 핀인들에게 로마 가톨릭교가 전파된 것은 12세기였다. 핀란드는 가톨릭 교세의 확장과 동시에 스웨덴의 영향력이 점차 커지기 시작하여 13세기에는 스웨덴 영토의 일부가 되었다. 스웨덴은 관대한 지배체제를 유지하여 핀인들에게 자치를 허용하였다. 따라서 지주귀족을 중심으로 민족문화가 형성되었으며, 또 종교개혁시대에는 루터파의 프로테스탄트가 전국에 고루 보급되었다. 그 후 17세기 스웨덴의 전성기에는 핀란드 자치의회가 설치된 데 이어 오보(현재의 투르쿠)에 핀란드대학(헬싱키대학교)이 설립되었다.

이와 같이 비교적 자유로운 생활을 누릴 수 있었던 핀란드에 침략의 눈길을 돌린 것은 러시아였다. 여러 차례 병합을 기도하다가 북방 전쟁의 결과 체결된 1721년에 뉘스타트 조약에 따라 러시아는 핀란드 남부의 영토였던 카렐리야 지협(地峽)을 탈취하고 나폴레옹전쟁이 한창이던 1809년에 전국토를 병합하였다. 이에 민족주의 정신이 발현되기 시작하여 1935년에는 민족주의 정신의 구심(求心)으로서 50편의 시가(詩歌), 22,795행으로 이루어진 민족서사시 《칼레발라》가 뢴로트에 의해 복원 편집되기도 하였다. 이는 예로부터 칼레바의 나라(영웅의 나라라는 뜻), 즉 핀란드에 전승되어온 장대한 민족서사시로 핀인(人)과 랩인의 싸움이 그 중심을 이루며 신화적 요소와 영웅적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2) 러시아령 시대

러시아는 엄격한 지배정책을 실행, 1835년에 핀란드 의회의 입법권을 정지시키고, 1902년에는 핀란드군(軍)을 러시아군에 편입시키는 한편 러시아어(語)를 공용어로 정하는 등 러시아화(化) 정책을 추진해 나갔다. 이에 대해 핀인(人)의 민족주의 열기가 끓어오르기 시작했으며, 시벨리우스의 애국교향시 《핀란디아》가 만들어진 것은 민족정신의 발로였다. 《핀란디아》는 조국 핀란드의 신비스러운 자연과 가혹한 운명을 깊이 공감하는 민족의 소리로서, 민중으로 하여금 강렬한 조국애를 불러일으킨다는 이유로 공연이 금지되기까지 하였다. 1904년에는 러시아 총독 보브리코프가 암살되고, 1917년 러시아혁명이 발발하자 독립을 선언, 1918년에는 공화제를 실시하여 처음으로 독립된 통일국가를 이룩하였다. 1920년에는 러시아도 이를 승인하여 핀란드 공화국이 성립하였다.

3) 독립공화국 시대

핀란드가 독립 후 평화를 누린 것은 불과 20년간으로 1939년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자 핀란드는 또다시 소련의 침입이라는 위협에 직면하게 되었다. 소련은 나치스 독일의 침입을 예방한다는 구실로 공격해오자 이에 대항하는 핀란드와 소련 사이에 전쟁(제1차 소련·핀란드 전쟁)이 발발하였다. 핀란드 국민들은 용감하게 싸웠으나, 막대한 희생을 치른 끝에 마침내 굴복, 1940년에는 비푸리(비보르크)를 포함한 남동부 지역과 카렐리야 지협의 항코(항고)반도를 30년 동안 소련에 빌려주기로 하고 휴전조약을 체결하였다. 이 전쟁의 패전은 국민들의 반소(反蘇) 감정을 고조시켰으며, 1941년에는 독일의 대(對)소련전쟁에 호응하여 또다시 소련과 전쟁을 일으켜서 1940년에 잃어버렸던 영토를 일단 회복하였다.

그러나 1944년에는 다시 소련에 항복하여 1940년의 모스크바조약을 인정하고 카렐리야 지방, 페트사모지방, 발트해상의 몇몇의 섬 등을 소련에 할양하고 배상금을 지불하였다. 전후 핀란드의 최대 과제는 대소(對蘇)평화유지, 대소배상의 완제(完濟), 경제부흥의 3가지였으나 이를 모두 완수하여 1952년에는 제15회 올림픽경기대회를 헬싱키에서 개최하는 등 국력을 신장하였다.

4. 정치
1) 외교

핀란드는 약 1,300km에 걸쳐 러시아과 국경을 접하고 있어 외교적 입장이 복잡 미묘하다. 1948년 우호불가침·상호원조 조약을 체결하여 친러 중립정책을 유지하였으며, 1982년 3월 대통령 코이비스토가 소련을 방문, 우호노선 계속을 확약하였다. 구소련 붕괴 후인 1992년 1월에 우호불가침·상호원조 조약을 대신하는 기본조약을 러시아와 체결하였다. 경제적으로는 석유 수입의 2/3를 소련에 의존하기 때문에 소련과의 장기 에너지협정(1976∼1985)을 체결하였다.

기본 외교방침은 스칸디나비아반도의 국가들과 협조하는 평화외교이다. 1955년에 UN(United Nations:국제연합) 및 북유럽이사회에 가맹하였고 1961년에는 EFTA(European Free Trade Association:유럽자유무역연합)에 참가하였다. 한편 1973년 EC(European Community:유럽공동체)와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함과 동시에 COMECON(Council for Mutual Economic Assistance:경제상호원조회의)과도 경계·과학·기술협력원조협정을 체결하였으며 1975년에는 전유럽 안보협력회의를 개최, 헬싱키선언이 이루어졌다. 1995년 EU(European Union:유럽연합) 가입 후 친서방 정책을 펴고 있다.

2) 군사

1947년 파리조약에 의해 육군·해군·함정 총톤수·군용기 총수 등에 제한을 받아 폭격기·핵무기·미사일 등의 보유는 금지되어 있다. 8∼11개월의 징병제도가 실시되고 있으며, 병력은 육군 2만 7300명, 해군 2,500명, 공군 3,000명, 국경경비대 4,000명, 예비역 70만여 명이 있다. 1980년 가을 헬싱키 주변에 소련제 SAM 3 지대공미사일을 배치하였다. 1998년 현재 국방비는 20억 달러이다.

5. 경제
1) 임업

핀란드는 국토의 75%인 약 2,600만ha가 삼림으로 뒤덮여 있어 축적량(蓄積量)이나 성장률 모두 대단히 높다. 게다가 수종(樹種)의 약 80%가 소나무·가문비나무 등의 유용재(有用材)이므로 임산자원은 이 나라 경제를 지탱하는 바탕을 이루고 있다. 임산물 및 그 가공품은 이 나라 수출품의 상위권을 독점하고 있으며, 종이 및 판지, 나무제품 제재목(製材木), 펄프 등이 전체 수출액의 50%를 상회하고 있다.



2) 농업

핀란드의 경지면적은 275만ha로 국토의 8% 정도이며, 그 가운데 반은 목초지로 이용되고 있다. 원래 이 나라는 고위도에 발달한 농업지역으로 중요한 경지는 남부지방에 집중되어 있으며 중부 이북에서는 심한 서리 피해를 자주 받는다. 주요 작물은 목초 이외에 보리·밀·호밀·감자 등이 있다. 이들 식용작물과 함께 버터·치즈 등이 생산되며 제2차 세계대전 후의 황폐기를 제외하고는 거의 식량의 자급자족을 달성하고 있다. 축산물로는 소·젖소·돼지·양 등을 비롯하여 순록도 많이 사육된다. 농가의 평균 경지면적은 작지만, 임업과 목축 등의 겸업으로 전국 26만여 호의 농가는 높은 생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3) 광업

핀란드의 광물자원은 매우 빈약하다. 구리·철·아연 등의 광산이 발견되기는 하였으나 규모가 큰 것은 없고, 화강암 석재와 시멘트 원료로 쓰이는 석회암이 눈에 띌 정도이다. 특히 석탄과 석유 등 동력자원이 빈약하여 공업발달에 큰 장애가 되고 있지만 이를 보충하기 위해 풍부한 수력의 이용에 힘을 기울여 한때는 총발전량 중 62%가 수력이었다. 그러나 1999년에는 화력발전 41.88%, 수력발전16.77% , 원자력발전 28.82%를 나타내었다.

4) 공업

핀란드는 전체적으로 1차산업 의존도가 큰 산업구조의 영향으로 공업도 농·임산물 가공 등 경공업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근대에는 중화학공업의 발달에도 역점을 두고 있다. 펄프·제지·제재 등 직접 임산자원에 의존하는 공업이 특히 중요하였으나 최근에는 기계기구·차량 등 금속기계 공업이 활발하여 제1위의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동유럽 국가를 대상으로 한 고속페리·특수탱커·해중케이블 부설선(敷設船)·쇄빙선(碎氷船) 등의 특수선박 건조를 독점하고 있어 경제적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그밖에 가구, 기타 내구소비재도 중요한 부문이며 식품·피혁·섬유·유리·인쇄 등의 경공업도 활기를 띠고 있다. 현재 전자공학제품, 휴대전화에 관련된 금속엔지니어링산업이 주요산업을 이룬다. 최근 노키아를 중심으로 한 IT산업이 경제성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무선기술의 다양한 응용, 생명공학과 환경산업분야에 연구와 투자를 집중하고 있다.



5) 무역

무역품목 및 수출입액은 핀란드의 산업구조를 잘 반영하고 있다. 2001년 현재 수입액은 399억 달러이며 주요 수입품은 기계·기구·차량·선박·석유·금속·화학제품·섬유 등이다. 수출 총액은 513억 달러로 수출품으로는 휴대전화, 종이제품, 목재 등이다. 최대 수출입국은 독일로서 1999년 현재 전체 수출 규모의 13%와 수입 15%를 차지한다. 지역별로는 EU(European Union:유럽연합)지역과 가장 많은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6) 교통 ·통신

기후와 지형관계로 교통망은 주로 중부 이남에 발달하고 있으며 교통수단 중 내륙수로(內陸水路)의 이용도가 높은 편이며 수로 총연장은 6,675km이다. 러시아연방·스웨덴과는 철도로 연결되어 있으며 1998년 현재 철도 총연장은 5,867km로 대부분 국영이고, 2,192km는 전화(電化)되었다. 도로 총연장은 고속도로 444km를 포함하여 7만 7796km이고 포장률은 64%이다. 주요 국제항구는 헬싱키·투르쿠·항코·코트카 등이다. 그밖에 운하교통도 발달되어 있다. 항공사는 핀에어(Finnair)와 카르에어(Kar-Air)의 2개사(社)가 운항하고 있으며 헬싱키 이외에 159개의 국내선 공항이 있다. 1998년 현재 자동차 보유율은 인구 1000명당 392대이다.

6. 사회

사회보장제도는 복지국가를 자랑하는 다른 북유럽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오래 전부터 발달해왔다. 특히 제2차 세계대전 때 생긴 고아와 미망인의 구제를 계기로 아동수당(16세 이하의 전아동에게 일률지급)·출산수당·빈민수당 등이 지급되고 있다. 그밖에 양로연금(연령 65세)·폐질연금, 건강·재해·실업보험의 여러 제도가 현저하게 향상하였다. 헬싱키에 있는 ‘자녀들의 성’은 아동복지병원으로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1972년에 제정된 ‘국민건강법’에 의하여 정부는 구(區)마다 건강센터를 두어 국민의 건강관리에 노력하고 있으며 1979년부터는 치료비를 폐지하였다. 1일 8시간 노동제는 이미 1917년에 답변확정되었으며, 1970년부터는 주(週) 40시간제가 실시되고, 1970년대에는 28일의 유급휴가제도가 답변확정되었다.

노동조합은 핀란드 노동조합 총연합(SAK:28개 단위조합과 100만 명의 회원)과 총동맹(SAJ)이 있으며, 사회보장제도가 완비된 데다 노동자의 생활수준이 높기 때문에 노사간의 분쟁은 비교적 드물다. 협동조합도 발달되어 있어 농촌에는 중앙연합(SOK), 도시에는 도매조합(OTK)이 뿌리박고 있으며 중앙연합은 SOKOS, 도매조합은 ELANTO라고 하는 호텔 겸 백화점망을 전국에 가지고 있다.

핀란드 국민은 교육열이 높아 문맹률이 아주 낮다. 의무교육기간은 8∼9년으로 진학하지 않는 학생은 6~7년 재학한 뒤에 보습과(補習科)로 간다. 진학희망자는 4년간 재학한 뒤에 시험을 치르고 8∼9년제 중등학교(중학 5∼6년, 고교 3년)에 진학한다. 중학 3∼6년 수료 후 직업전문학교로 옮기거나 5∼6년 수료 후에 고교에 들어간다. 고교 3년 졸업시험에 합격하면 대학입학의 자격을 얻는다. 고등교육기관으로는 1640년에 설립된 헬싱키대학교를 비롯하여 종합대학 7개교, 공과대학 3개교와 단과대학 6개교가 있으며 또 성인교육도 활발하다.

방송은 1923년에 시작되어 오늘날에는 종합라디오협회가 독점하고 있으며 3개의 전국적인 방송채널과 10개의 지역방송채널을 가지고 있다. TV도 1958년부터 방영되고 있고 현재 방송채널은 4개이며, 케이블 방송회사인 PTV가 있다. 신문은 120여 종으로 반은 정당색이 짙고, 중립지인 《헬싱긴 사노마트 Helsingin Sanomat》가 최대 발행부수를 보이고 있다. 스포츠에서는 육상 장거리 선수인 H.콜레바이넨과 P.누르미가 20세기 전반의 국민적 영웅으로 추앙받았으나 20세기 후반부터는 동계경기로 방향을 돌려 여러 차례 스칸디나비안경기를 석권하였다. 스키는 핀란드에서 가장 대중적인 스포츠이다.

이밖에 핀란드에서는 여러 가지 축제가 열린다. 길고 어두운 겨울이 끝나는 4월 30일 밤에는 봄을 맞이하는 전야제(前夜祭)가 벌어져 시민들은 화톳불을 지펴놓고 춤을 추며, 이튿날인 5월 1일의 메이데이에는 하얀 챙이 달린 학생모를 쓴 학생들이 떼를 지어 거리를 행진한다. 또 여름 축제인 하지(夏至)에 가까운 토요일에 벌어지는 요한제(祭) 때는 아름다운 호반(湖畔)의 사우나 오두막을 찾아 하루를 즐긴다. 다시 겨울이 되면 12월 6일 독립을 기념하는 거국적 축제가 벌어지고, 13일의 루시아제(祭)를 마치면 바로 크리스마스를 맞이하게 된다.

핀란드는 국제투명성기구(TI)가 발표한 국제투명지수(CPI)가 세계 1위(2000, 2001년)로서 부패가 없는 나라로 유명하다. 또 국제경쟁력지수, 이동전화·인터넷 보급률이 세계 1위이고 1세 미만 유아사망률이 세계최저이며(0.4%), 여성의 사회진출이 대단히 활발하고 남녀평등이 세계적으로 잘 실현된 나라이기도 하다. 사우나와 산타클로스의 나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7. 문화
1) 문학

핀란드의 농민들은 역사적으로 농노(農奴) 상태를 겪은 일이 없는 데다가 농지는 자작농(自作農)의 소유였기 때문에 예로부터 자유의 전통이 이어져 내려왔다. 농가의 방은 손으로 짠 천이나 손으로 만든 가구로 장식되고 칸텔레(kantele:현악기의 일종) 반주로 불리는 구전(口傳) 가요가 대대로 전해오고 있다. 19세기에 뢴로트는 이 구전 가요를 수집·편찬하여 민족 서사시 《칼레발라 Kalevala》(1835)를 발표하였다. 해마다 그 날이 되면 거국적인 기념축제가 벌어진다. 고전(古典)으로서의 《칼레발라》는 이 나라의 민족주의정신을 일깨우고 근대화를 촉진하여 국민 문화의 기초가 되었다.

또, J.L.루네베리는 국가(國歌) 《찬양하라 조국을》을 작사하였고(1946), Z.토펠리우스는 역사소설과 동화의 아버지로 불리게 되었다. 그러나 진정한 국민문학은 A.키비의 《칠 형제》(1970)로부터 시작되어 낭만주의로 발전해 갔으며 그 뒤를 이어 리얼리즘의 문학사조가 풍미하게 되었다. 20세기에 들어와서는 이 나라 최대의 서정시인 레이노가 시집을 발표한 데 이어 비극시인 코스켄니에미가 활약하였고, 소설 부문에서는 키비에 이어 리난코스키가 세계적으로 알려졌다.

제1차 세계대전 중에 독립선언(1917)이 발표되었으나 그 이듬해 내란이 벌어졌으며, F.E.실란페는 내란을 소재로 농촌 소설 《성빈(聖貧)》(1919) 《소녀 실리아》(1931) 등을 발표하여 1939년에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을 겪은 뒤 M.발타리는 역사소설가로 알려졌는데 그의 《이집트인》(1945)은 여러 나라에서 널리 읽혀졌다. 또 V.리나는 전장(戰場)이라는 한계상황에서 병사의 심리상태를 묘사한 《무명용사》를 내놓아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고 대작(大作) 《북극성(北極星) 아래에서》를 발표하였다.

종전(終戰) 후 핀란드 문단(文壇)·시단(詩壇)에서는 출판활동을 활발히 전개하여 외국 문학의 핀란드어 번역판도 매우 많아 높은 지적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문명과 떨어져 숲에서 살아가는 형제 이야기를 다룬 《일곱 형제 Seven Borthers》의 알레크시스 키비는 핀란드 현대문학의 초석을 다졌고 《무민란트 Moominland》를 쓴 토베 얀손은 국제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2) 미술

화가 A.갈렌칼렐라는 《칼레발라》를 색(色)과 선(線)으로 표현하는 데 성공하였다. 이 나라의 풍토상(風土上) 색채보다 조형(造形)이 유리하기 때문에 조각과 미술이 강세를 유지해왔다. W.알토넨의 《달리는 누루미》 《키비의 좌상(坐像)》, 《시벨리우스의 흉상(胸像)》은 이와 같은 경향을 반영하고 있다. 핀란드 건축가들의 활동이나 새로운 디자인을 구사한 실내장식 및 가구공예품이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핀란드의 디자인은 세계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 디자이너인 마르쿠 피리, 쿠카푸로, 레르피 팜로스 등이 유명하다.

3) 학술

핀란드의 과학 분야에서는 ‘삼림형태론(森林形態論)’을 제창한 A.K.카얀데르, 피노우그리아어(語) 학자 M.A.카스트렌, 몽골어 학자 G.J.람스테트, 결혼에 관한 명저(名著)로 유명한 사회학자 비스타마르크 등이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고 생화학자(生化學者) 아르투리 일마리 비르타넨은 1945년 노벨 화학상, 랑나르 아르투르 그라니트는 1967년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하였다.

8. 과학기술

핀란드는 지난 20년간 연구와 기술개발을 우선 순위를 두는 영역이었다. 또한 연구와 개발(R&D)에 대한 투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세계적 기술협력 분야에서 핀란드의 역할이 점점 커지고 있다. 그래서 현재 핀란드는 과학기술연구의 선두적인 국가로 자리를 잡았다. 핀란드의 기술개발 센터인 테케스(Tekes)는 1983년에 설립되었으며 과학기술 정책을 수행하는 중요한 기구이다. 테케스의 국내적,국제적 연결망은 핀란드 과학기술과 연구에 좋은 채널이 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핀란드에서는 세계화의 물결이 강하게 일고 있다.

과거 핀란드는 다양한 형태의 유럽식 연구와 개발(R&D)에 초점을 맞추어왔으나 지금은 다른 국가들, 즉 전세계적 과학기술 분야의 선두주자인 미국과 일본에 초점을 두고 있다. 테케스는 다양한 첨단 과학기술 분야에서 이러한 국가들과 핀란드의 유대를 강화하기 위해 정책을 수립한다. 이러한 다양한 요구에 빠르게 대처하는 것이 핀란드의 과학기술 정책 수행에서 가장 강조되고 있는 점이다. 핀란드의 연구개발 투자수준은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중 스웨덴, 일본에 이어 3위권이다.

9. 한국과의 관계

핀란드는 남북한 동시수교국이다. 분단국가와는 외교관계를 맺지 않는다는 원칙을 지켜오다가 1973년 남북한을 동시에 승인하였다. 같은 해 남한의 상주공관이 설치되었으며, 사증면제협정(査證免除協定, 1974.3), 이중과세방지협정(1979.2) 등을 체결하였다. 1976년 10월 밀수사건에 관련되어 북한의 대사관원이 추방당하였고, 1983년 4월에는 IPU(International Parliamentary Union:국제의원연맹) 회의 방해에 대한 보복으로 북한대사가 추방되었다. 1999년 북한은 핀란드 주재 북한대사관을 폐쇄하고 스웨덴 북한대사관이 업무를 겸임하고 있다. 1993년 한국과 투자보장협정과 문화협정이 체결되었고, 1996년에는 항공협정이 체결되었다. 1997년 과학기술협력 각서를 교환하였다. 2000년 현재 대(對)한 수출은 4억 1400만 달러, 수입은 5억 9000만 달러이다. 수출품은 기계류, 종이제품 등이며 수입품은 전자제품 및 부품, 직물류 등이다.

핀란드에 관한것...

... 3) 학술 핀란드의 과학 분야에서는 ‘삼림형태론(森林形態論)’을 제창한 A.K.카얀데르, 피노우그리아어(語) 학자 M.A.카스트렌, 몽골어 학자 G.J.람스테트, 결혼에 관한...

핀란드에 관한것

학교에서 핀란드를 조사해 오라고 하더군요 1핀란드 의 환경 2핀란드 의 문화 3핀란드 의 산업 요것만 알려주시면 감사하겟어요 ㅜㅜ 제가 간단한 질문에도 내공을...

핀란드관한것

핀란드에 관한거로 ppt를 만들어야되는데 핀란드의 문화, 전통음식, 전통의상 등 알려주세요 다양할수록 더 좋아요! 핀란드 공화국 (핀란드어: Suomen Tasavalta 수오멘...

핀란드에관한것

핀란드에관한 나라조사을해여 그것점 알려주세여 내공냠냠 쓸데없는거 저도그거찾음이란 답변하면 신고들감 내공100 빨리해주세여 저도 핀란드에 대해 영어학원에서...

핀란드 대학생활에 대한 질문입니다.

핀란드에서는 대학과정을 밟을때 유학생들도 무료로 대학생활을 할 수 있다고 하는데 핀란드에 관한 정보가 생각보다 많지 않아 이렇게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1. 핀란드에서...

덴마크, 미국, 중국, 일본, 핀란드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저 초3인데요 사회숙제로 세계여러나라의 관한것 조사해오기 숙제가 있어요. 덴마크 미국 중국 일본 핀란드에 대해 알려주세요 오늘안에!!! 생활모습, 나라, 하는일...

러시아,핀란드에 ems보낼때

러시아와 핀란드에 EMS를 보내려고 합니다. 그런데, 우체국에 갔더니, 음식물을... Tax,Duty에 관한 확약을 사전에 email로 확약 받아야함. 원산지 명시 혹은 원산지 증명서...

핀란드대표적인 인물좀

... 이같은 영양과 식량자원의 개발에 관한 연구업적으로 1945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하였다. 파보 누르미 [Paavo Johannes Nurmi, 1897.6.13~1973.10.2] 핀란드의 장거리...

핀란드에 관하여

... (그인물에 관한 설명도요.)등 많이 알려주세요 그리고 너무 길게 하지만 말아주세요... 특이한 점은 핀란드에 KFC가 없다는 것. 대신 토종브랜드인 헤스 버거를 먹는다....

핀란드에 대해서[내공최대한!!]

... 3) 학술 핀란드의 과학 분야에서는 ‘삼림형태론(森林形態論)’을 제창한 A.K.카얀데르, 피노우그리아어(語) 학자 M.A.카스트렌, 몽골어 학자 G.J.람스테트, 결혼에 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