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란드(그린랜드)에 관한 모든것좀 알려주세요

그린란드(그린랜드)에 관한 모든것좀 알려주세요

작성일 2013.10.0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최근에 그린란드(그린랜드)에 관심이 많아져서 질문드립니다.

 

그린란드가 지금은 자치령이라해도 덴마크 땅이잖아요?

 

그래서 그런데 그린랜드의 역사라든지, 흥미로운 이야기, 신화, 전설, 문화, 정치

 

이런 다양한 정보들을 얻고싶습니다.

 

내공100 드립니다. ㅎㅎ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그린란드

 

 

그린란드(그린란드어: Kalaallit Nunaat, 덴마크어: Grønland)는 세계에서 가장 큰 섬으로 덴마크의 자치령이다. 2009년 6월 21일에 독립을 선언해 자치권이 확대되어 제한적인 권한을 행사하고 있다. 다만 국방 및 외교에서는 여전히 덴마크가 최종결정권을 가지므로 실질적으로는 덴마크령이다. 수도는 누크이다. 캐나다와 아이슬란드와 국경을 접한다.

 

국기

 

국장

 

 

역사

 

그린란드에 사람이 살아가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2500년 무렵으로, 에스키모가 정착해 살기 시작했다.

 

이후 서기 986년에는 노르만 족인 에리크에 의해 발견되었는데, 그는 자신이 발견한 땅에 많은 사람들이 이주하기를 바랐고, 이에 따라 자신이 발견한 섬의 이름을 '초록의 땅'이라는 뜻의 '그린란드'라 이름 지었다.

 

이 때부터 그린란드에 노르만 족이 정착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들은 원주민인 이누이트 족과 충돌이 잦았고, 수천 년간 살아오면서 그린란드의 빙설 기후에 완벽히 적응한 이누이트 족과 달리 기후에 적응하지 못했고, 척박한 환경으로 목재, 철 등 자신들의 문화를 보존할 자원의 부족으로 인구 증가에 큰 어려움을 겪어, 숫적, 군사적으로 이누이트 족에 밀릴 수 밖에 없었다.

 

대표적인 예로 1379년 이누이트 족의 습격을 받아 노르만 족 남성 18명이 사망했는데, 당시 노르만 족의 인구는 4000명에 불과했다고 한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도 본토와의 교류를 통해 15세기까지 노르만 족은 그린란드에 거주하였으나, 소빙기로 해안에 유빙이 생겨나면서 본토와의 교류에 문제가 생긴데다, 유럽에서 흑사병이 유행하면서 교류가 완전히 중단되었고, 결국 그린란드의 노르만 족 거주지는 소멸되었다. 이후 18세기 초에 그린란드 거주지가 덴마크에 의해 재개척되면서 덴마크령의 거주지가 되었다.

 

자치권의 회복

 

냉전 시기에 미국은 그린란드 지역에 지정학적 관심을 보여왔으며 1946년 미국은 덴마크에서 그린란드를 1억달러에 구입하겠다고 제안하지만 덴마크는 거절했다. 하지만 1950년 덴마크는 미국의 툴레 공군 기지 건립 제안을 받아들여 1951년 건설을 시작한다. 1953년 완성된 이 기지는 나토의 방어전략의 일환이 된다.

 

그린란드는 1979년 5월 1일부터 덴마크 국회에 의해 자치권을 획득하지만 국가 원수는 덴마크의 여왕이었으며 외교권과 국방도 덴마크가 맡아왔다. 1985년, 그린란드는 ECC의 상업적 어업 규제와 물개 가죽제품의 금지에 반발해 독자적으로 탈퇴하기도 하였다.

 

최근에는 지구 온난화와 맞물려 그린란드의 독립에 새로운 가능성이 생겨나기도 하였다. 그린란드는 2008년 11월 25일에 자치권 확대를 위한 투표를 치렀다. 그리고 이 투표에서 75%가 자치권 확대에 찬성하면서 독립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마침내 2009년 6월 21일에 누크에서 자치권 확대 발효 기념식을 열고 사실상의 독립을 선언하였다. 다만 자치권이 발효되어도 여전히 덴마크가 국방이나 외교적 사안에 대해서는 최종 결정권을 가진다. 이 조치로 덴마크로부터 지원받던 연간 보조금 32억 덴마크 크로네(덴마크의 통화)가 중단되기는 하지만, 지구 온난화로 개발 가능성이 생긴 지하자원을 사용할 수 있는 권리와 사법 및 경찰권을 가지게 되며, 입법권도 가지게 되었다.

 

 

지리

 

지리적-문화적으로는 북아메리카에, 정치적으로는 유럽에 속한다. 남동쪽으로 대서양과 아이슬란드, 동쪽으로 그린란드 해, 북쪽으로 북극해, 서쪽으로 배핀 만과 캐나다의 누나부트 준주가 자리잡고 있다. 섬의 81%가 얼음으로 덮여있다.

 

그린란드의 지도

 

 

환경

 

여름 한 철 나무가 자라고 꿀벌과 모기가 날아다닌다. 그린란드의 여름은 2~3주로 짧은 편이며 여름동안에 그린란드 사람들도 반팔을 입는다.

 

 

경제

 

워낙 춥고 척박해서 경작지는 2%도 채 안되며, 식량은 미국으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한다. 주요 수출품은 새우잡이를 통해 보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여행산업 등과 함께 루비 등 광물자원을 통한 수출이 늘고 있다.

 

 

정치

 

이 나라는 덴마크의 여왕을 모시며 자치 총리가 있다. 그 이전에는 총독을 두었다.

 

 

군사

 

이 나라는 국군이 없다. 그리고 덴마크가 방위권을 행사한다.

 

 

주민

 

그린란드인이 85-90%를 차지한다. 덴마크인, 미국인, 기타 원주민도 거주한다. 대부분의 주민들은 비교적 온난한 기후를 보이는 주도의 남서쪽에 거주한다.

 

 

언어

 

예전엔 그린란드어와 덴마크어가 공용어였지만, 2009년 6월부터는 그린란드어만이 유일한 공식어가 되었으며, 덴마크어는 고등교육의 언어로 남았다. 그린란드어는 이누이트어와 같은 언어라고해도 무방하다. 교육받은 이들은 대부분 영어를 불편함 없이 구사한다.

 

 

종교

 

대부분이 루터교를 믿는다. 일부는 로마 가톨릭이나 토착 종교도 믿는다.

 

 

스포츠

 

축구협회와 국가대표팀이 있기는 하지만, FIFA의 정식 회원국이 아니다. 연중 낮은 기온때문에 경기장에 잔디가 자라지 않기 때문이다. 대신 NF-보드의 회원국이다.

 

2007년에는 독일에서 열린 남자핸드볼선수권대회에 참가하였다. 그린란드는 Island Games과 Arctic Winter Games에 참가하고 있다.

 

 

사건

 

1968년 1월 21일에 툴레 공군기지 인근에 핵폭탄 4발을 적재한 B-52 폭격기가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그린랜드)에 관한 모든것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근에 그린란드(그린랜드)에 관심이 많아져서 질문드립니다. 그린란드가 지금은 자치령이라해도 덴마크 땅이잖아요? 그래서 그런데 그린랜드의 역사라든지...

캐나다 찍고 그린랜드로 여행을 가려는데

... 그린랜드로 들어가는 교통편좀 알려주세요 되도록이면... 물론 여행 자체의 즐거움으로 모든것이 상쇄가... 배 이동에 관한 멀미나 두려움을 상쇄할만한 크기이므로...

사막화 의 의미좀 자세하게 알려주세요

... 자세하게좀 알려주세요 ㅣ 내공 50 요... 현재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에서 인정한 견해는... 2000년 7월 NASA는 지구온난화로 그린란드의 빙하가 녹아내려 지난...

인천의 겨울기온좀 알려주세요

... 에 대해서도 좀 알려주세요ㅠ 지리,;;;에 관한... 2000년 7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지구온난화로 그린란드... 다른 모든 기상요소의 변화 정도를 추측하게 한다. 지금까지...

이거의 방지책좀 알려주세요 내공

... 문장으로좀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1) 지구... 셋째, 그린랜드에는 지구상의 8%에 달하는 얼음이 있는데... 세계 모든 국가가 공통 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2 역사 알려주세요

... 원했고, 모든 무역 거래의 8분의 1을 자신의 지분으로... 아이슬란드와 그린란드를 넘어 북대서양을 가로질러... 전혀 알려지지 않았던 그들만의 ‘신세계’를 소개했기...

세계사 역사인물 좀 알려주세요.

... 업적은 물론이고 한분한분 자세하게 알려주시면... 창설, 모든 산업을 석권하는 기업합동운동의 선구자가... 1888년 사상 처음으로 그린란드 횡단에 성공, 그린란드...

대하여 자세하게좀 알려 주세요

... 같은데 알려 주세요... 먼저 "신의 봉인"을 읽으라고 부탁드리고 싶습니다. 흔히들 고대문명에 관한 설화에... 가령 구석기 시대는 모든곳에서 동시에 일어났다는 , 또는...

원리 ,기초기능 ,응용동작을 알려 주세요

... 꼭좀 알려 주세요~ *^.^* 스키의 역사 ,과학적 원리... 그린랜드 횡단에 성공하여 그 기행문에 "스키는 모든... 높은 산에 들어가는 것은 겨울 산에 관한 지식이 필요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