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생 캐나다 달러 환전

유학생 캐나다 달러 환전

작성일 2008.07.17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몇가지 질문할게 있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환율이 각각 은행마다 다르던데 이유가 뭔지요.

(저는 여지껏 외환은행 기준으로만 보고 있었는데 우리은행 환율이 더 낮더군요)

 

캐나다 현지 도착하여 4개월치 학비와 기숙사 비를 한번에 내야해서 큰 돈을 환전해야 합니다.

거의 900만원정도 되는것 같군요.

 

1. 너무 큰돈이라 들고가기도 부담스럽고,

    이럴땐 여행자수표가 나을까요? 아니면 직불카든가??그게 나을까요?

    직불카드가 낫다면 어떤 카드가 좋은지 구체적으로 알려주세요. 국제 뭐 있던데 잘 모르겠어요.

   (직불카드는 당시 환율이 적용된다고 하던데-_-학비낼때 환율이 너무 높으면...차라리 낮을 때 여행자수표를 사두는게 좋을거같기도하고 ........)

 

2. 한달 생활비 정도는 캐나다달러로 들고가는것이 좋다고 하는데, 그럼 환전을 해야지 않습니까?

   어느은행이 더 환율우대가 좋은지가 궁금합니다. 직접 은행홈페이지에서 검색해보기는 했으나,

   너무 많아서 헷갈리네요.....

   신한같은 경우는 여러가지중 택1 뭐 이런거고 -_-;; 단순한 저에겐 복잡합니다..ㅜㅜ

 

3. 환전을 할 때 뿐만아니라 환전을 하고나면 그에 따른 혜택들이 있잖아요.

    뭐 송금수수료 무료라든지 할인 뭐 이런거요~

    요새는 환전 이벤트도 많다는데 보기좋게 정리해주시면 진짜 ㅜㅜ 감사하겠습니다.

    제가 시간이 많다면 직접 보겟지만 일을 하는중이라 시간이 많지 않아서요.

 

4. 가족카드가 무엇인가요? 가족카드는 아무 은행에서나 만들수 있나요??

    어떤 카드가 현지에서 유용할지 궁금합니다~ 신용카드 같은건 계산할때마다 수수료가 붙는다는 등

    조건이 많던데 ........... ㅠㅠ 정확하게 콕 찝어 얘기해 주실분 찾습니다.

    부탁드려요~~


#유학생 캐나다 #유학생 캐나다 의대 #유학생 캐나다 영주권 #미국 유학생 캐나다 여행 #한국 유학생 캐나다 #캐나다 유학생 현실 #캐나다 유학생 알바 #캐나다 유학생 보험 #캐나다 유학생 유심 #캐나다 유학생 제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너무 큰돈이라 들고가기도 부담스럽고,

    이럴땐 여행자수표가 나을까요? 아니면 직불카든가??그게 나을까요?

    직불카드가 낫다면 어떤 카드가 좋은지 구체적으로 알려주세요. 국제 뭐 있던데 잘 모르겠어요.

   (직불카드는 당시 환율이 적용된다고 하던데-_-학비낼때 환율이 너무 높으면...차라리 낮을 때 여행자수표를 사두는게 좋을거같기도하고 ........)

여행자 수표라는게 바꿀때 수수료내고 쓸때 또 수수료내고 그럽니다.

캐나다 내에서 여행자 수표를 받는 곳이 별로 없어서 은행가서 환전을 또 해야 하는데 이래저래

수수료 떼이고 불편합니다. 아마 학교에서는 여행자 수표, 현금등은 받지 않을 것입니다.

신용카드 또는 머니오더라는 은행에서 직접 발행한 수표만 받습니다.

결국 님은 캐나다에 도착하신 후 은행계좌를 만들어 돈을 예치 시킨다음 통장에 있는 돈을

수표로 만들어 학교에 내는 방법과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내는 방법외에 다른 방법이 없습니다.

따라서 한국에서 돈을 900만원 가지고 들어 올것이 아니라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먼저 본인이 신용카드가 없다면 외국에서 사용할때 유리한 수수료를 적용하는 은행카드를 만드시기 바랍니다.

삼성,엘지 보다는 은행에서 발행한 비자나 마스타 카드가 수수료가 낮습니다.

보통 900만원을 예치하면 어느 은행이든 일주일 안에 신용카드를 만들어 줍니다.

 

그런 후 캐나다에 입국 후 바로 가까운 은행에 가셔서 계좌를 오픈합니다.

유학생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수수료가 낮은 플랜으로 계좌를 오픈할 수 있습니다.

오픈하시면서 한국에서 송금받을때 필요한 계좌번호 일체를 알려달라고 하시기 바랍니다.

그 계좌번호로 한국에서 송금을 하시고, 통장에 돈 들어온 것을 확인 후 은행에서

머니오더를 만들어 달라고 하면 직원이 금액을 묻게되고, 금액을 말하면 은행이름으로

수표를 발행하여 줍니다. 좀 번거롭지만 이 방법이 가장 수수료를 아끼고

안전한 방법입니다. 수표에는 받는 학교이름 또는 기관이름이 들어가기 때문에

타인이 사용할 수 도 없습니다. 반면 여행자 수표는 본인 싸인만 있으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습니다.

분실하면 타인이 유용할수도 있다는 말입니다. 그리고 공부하시는 동안 캐나다 은행의 데빗카드

(직불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이것역시 계좌를 오픈하면 무료로 만들어줍니다.

캐나다는 모든 상점, 식당에서 데빗카드로 결재를 하기 때문에 현금보다 훨씬 안전합니다.

 

2. 한달 생활비 정도는 캐나다달러로 들고가는것이 좋다고 하는데, 그럼 환전을 해야지 않습니까?

   어느은행이 더 환율우대가 좋은지가 궁금합니다. 직접 은행홈페이지에서 검색해보기는 했으나,

   너무 많아서 헷갈리네요.....

   신한같은 경우는 여러가지중 택1 뭐 이런거고 -_-;; 단순한 저에겐 복잡합니다..ㅜㅜ

환율우대는 어느 은행이나 비슷한 수준입니다. 문제는 수수료인데 이게 천차만별입니다.

10,000원에서 1000원까지 고객의 신용등급에 따라 수수료적용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님의 돈으로 유학을 갈것이 아니라면 부모님이 송금을 해 준다는 가정하에

부모님의 주거래 은행에서 거래를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님이 오랫동안 거래한 은행이라 할지라도 환전이나 송금부분이 처음이라면 별로 혜택이 없습니다.

환율이 문제가 아니라 은행에서의 수수료가 문제임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3. 환전을 할 때 뿐만아니라 환전을 하고나면 그에 따른 혜택들이 있잖아요.

    뭐 송금수수료 무료라든지 할인 뭐 이런거요~

    요새는 환전 이벤트도 많다는데 보기좋게 정리해주시면 진짜 ㅜㅜ 감사하겠습니다.

    제가 시간이 많다면 직접 보겟지만 일을 하는중이라 시간이 많지 않아서요.

다시한번 말씀드리지만 환전, 환율등의 시기가 중요한게 아닙니다. 환율등은 매일 변하기는 하지만

큰 변동은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수수료는 다릅니다. 또 좋은 은행일 수록 환전할 시기를 가장 좋은

환율일때 해줍니다. 예를 들어 다음달 초에 송금을 할 예정인데 남은 기간동안 가장 환율이 좋을때

환전을 해달라고 부탁을 하면 직원이 적당한 시기에 환전을 해 줍니다. 환전 이벤트등은 별로 기대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돈이 필요할때 있어야 하는데 그때만 바라보고 살 수 는 없기 때문입니다. 

 

 

 

4. 가족카드가 무엇인가요? 가족카드는 아무 은행에서나 만들수 있나요??

    어떤 카드가 현지에서 유용할지 궁금합니다~ 신용카드 같은건 계산할때마다 수수료가 붙는다는 등

    조건이 많던데 ........... ㅠㅠ 정확하게 콕 찝어 얘기해 주실분 찾습니다.

    부탁드려요~~

외국에서의 신용카드는 반드시 필요한 부분입니다. 가족카드는 결재하는 사람이 한명이라도 카드는 여럿이

함께 발급받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본인은 부담없으나 사용할때마다 가족 누군가는 알게 되어

약간의 불편함이 있습니다. 개인 이름의 카드가 가장 좋습니다. 비자나 마스타 등 보통 2개 정도는

신용카드를 만들어 오는 것이 좋고, 아메리칸 익스프레스는 안 받는 곳이 많으니 피하는게 좋습니다.

미리 말씀드렸지만 카드마다 외국에서 사용할때 도움이 되는 것들이 있습니다.

수수료가 낮다든지 아니면 포인트 적립문제라든지... 개인적으로 하나,삼성,엘지,외환을 가지고 있는데

외환이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한도액도 높고, 수수료도 좋습니다.

외환은행에서 발급한 카드라 할지라도 결재는 타은행으로 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기회가 되면 현지 은행에서 제공하는 신용카드를 발급받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환율이 각각 은행마다 다르던데 이유가 뭔지요.

(저는 여지껏 외환은행 기준으로만 보고 있었는데 우리은행 환율이 더 낮더군요)

 쉽게 생각하시면 은행도 영업을 하는 곳입니다. 여러가지 복합적인 이유가 있지만 우리은행이 달러를 조금

싸게 매입을 했거나 자기들이 마진을 조금 덜 남기고 파는거죠...

 

캐나다 현지 도착하여 4개월치 학비와 기숙사 비를 한번에 내야해서 큰 돈을 환전해야 합니다.

거의 900만원정도 되는것 같군요.

 

1. 너무 큰돈이라 들고가기도 부담스럽고,

    이럴땐 여행자수표가 나을까요? 아니면 직불카든가??그게 나을까요?

    직불카드가 낫다면 어떤 카드가 좋은지 구체적으로 알려주세요. 국제 뭐 있던데 잘 모르겠어요.

   (직불카드는 당시 환율이 적용된다고 하던데-_-학비낼때 환율이 너무 높으면...차라리 낮을 때 여행자수표를 사두는게 좋을거같기도하고 ........)

 

한국직불카드 사용할때마다 수수료 내셔야하고 환율 적용문제도 있습니다. 현지에 도착하시면 현지에서

많이 사용되는 CIBC,TD뱅크 등에 가셔서 은행구좌를 여시고 학생체크 구좌를 개설하세요.. 캐나다은행구좌는

saving 이라는 현금카드만 사용할 수 있는 계좌와, cheque라는 개인수표를 발행 받을 수 있는 구좌가 있는데

현금카드 사용한도는 하루에 500달러입니다.. 학비와 기숙사비를 낼때 귀찮겠죠... cheque 개인수표는

영수증을 대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여러모로 편리합니다..

 

2. 한달 생활비 정도는 캐나다달러로 들고가는것이 좋다고 하는데, 그럼 환전을 해야지 않습니까?

   어느은행이 더 환율우대가 좋은지가 궁금합니다. 직접 은행홈페이지에서 검색해보기는 했으나,

   너무 많아서 헷갈리네요.....

   신한같은 경우는 여러가지중 택1 뭐 이런거고 -_-;; 단순한 저에겐 복잡합니다..ㅜㅜ

 캐나다 달러의 경우 우량고객을 제외하고는 보통 50%가 최대입니다. 미국달러보다 고객이 한정되있어서

부모님이 거래하시는 은행에 가셔서 우대환율 적용 70% 해줄수 있나 문의해보세요... 해주면 좋고 보통 50%까지 해줄겁니다.. 저는 우리은행 거래하는데 70%받거든요...

 

3. 환전을 할 때 뿐만아니라 환전을 하고나면 그에 따른 혜택들이 있잖아요.

    뭐 송금수수료 무료라든지 할인 뭐 이런거요~

    요새는 환전 이벤트도 많다는데 보기좋게 정리해주시면 진짜 ㅜㅜ 감사하겠습니다.

    제가 시간이 많다면 직접 보겟지만 일을 하는중이라 시간이 많지 않아서요.

 캐나다 학교 입학허가서와 여권들고 가셔서 유학생 지정을 하세요.. 1년단위로 갱신되는데 유학생 지정하시고

인터넷뱅킹으로 송금하시면 송금수수료 무료 입니다... 사실 환전 이벤트 빚좋은 개살구 입니다.. 특별하게 혜택 받을 만한게 없습니다...

 

4. 가족카드가 무엇인가요? 가족카드는 아무 은행에서나 만들수 있나요??

    어떤 카드가 현지에서 유용할지 궁금합니다~ 신용카드 같은건 계산할때마다 수수료가 붙는다는 등

    조건이 많던데 ........... ㅠㅠ 정확하게 콕 찝어 얘기해 주실분 찾습니다.

    부탁드려요~~

가족카드는 부모님 명의의 신용카드에 자녀분의 이름을 넣어서 한도를 공유할 수 있도록 만든것입니다..

캐나다에서 한국신용카드 사용하시면 환율적용도 최악이고 건당 1000원의 수수료가 붙습니다.카드회사마다

다르지만 보통 건당 1000원입니다.. 현지 은행에서 구좌 여시고 정식코스 학생이면 학생 신용카드 발급이됩니다. 한도가 500달러,1000달러짜리... 만약 어학연수시면 현지 은행에 돈을 예치해두고 신용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4000달러를 예치하면 그 한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신용카드를 만들어 줍니다..

현지에서 생활하다보면 신용카드 사용할 일이 종종 있습니다... 면허증과 더불어 신분증 대용으로도 사용되구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여행자수표가 나을까요? 아니면 직불카든가??그게 나을까요?

 

여행자수표보다 국제현금카드 형식으로 가져 가시라고 말씀드리고 싶어요.

 

여행자수표도 일련번호를 메모해두면 재발급이 가능하여 안전하지만

 

우선 중복환전이라 수수료가 높고 번거롭으니 비추해요.

 

무엇보다 아무대서나 바꿀수 있는게 아니라 환전하는곳을 찾는데 고생이 많다는 것이 문제점이고요.

 

국제현금카드는 ATM기가 있다면 바로 현지화폐로 인출을 하기때문에 번거롭지않고 간편해요.

 

물론 환전이 수수료부분에선 가장 저렴할수 있어요.

 

근데 수수료 2$로 여행의 총경비를 보호해주는건데 그렇게 나쁘다고 생각되지 않아요,

 

생각보다 수수료가 쎈것도 아니고요 한달에 1~4회정도 뽑으시면 부담이 없을거예요

 

우선 해외에서 사용되는 카드가 크제 비자계열 카드랑 마스터 계열 카드가 있는데

 

비자계열의 플러스카드(카드에 Plus마크) 수수료가 좀 나가는편이고

 

신용카드라 잃어버리면 엄청난대가가 있어요 하지만 강력한 신용카드 기능이 있어요.

 

마스터계열의 씨러스카드(카드에 Cirrus마크)는  국내에서는 체크카드이고 해외에서는

 

국제직불카드라 신용카드처럼 쓸수없고 인출만 가능해요

 

그치만 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수수료를 형성하고 있고 직불가맹점등지에서

 

신용카드처럼 쓸수있어요. 통장에 돈만 있으시다면요.

 

현금카드들은 아시다시피 ATM기만 있으면 인출이 가능하고 주로 공항, 시내, 번화가, 기차역등에서

 

쉽게 찾을수있어요. 둘다 호환성에서는 큰 걱정 안하셔도되요.

 

수수료 기준으로 카드를 추천한다면 국민은행 스타체크카드 신한은행 글로벌직불카드를 추천드려요.

 

어느은행이 더 환율우대가 좋은지가 궁금합니다.

 

주거래 은행이 있으시다면 주거래은행을 이용하시는게 환율대우가 더 좋아요.

 

인터넷환전을 하는것이 가장 좋은 환율우대를 받는방법이고

 

공항등에서 환전하는것은 가장 나쁜 환율대우를 적용받는것이예여.

 

환전 이벤트도 많다는데 보기좋게 정리해주시면

 

은행사별로 다르겠지요 물론 제가 아는부분이 아니어서 넘어가겠습니다..^^;;

 

가족카드가 무엇인가요? 가족카드는 아무 은행에서나 만들수 있나요??

 

가족카드는 가족의 명의로 사용할수 있는 카드예요. 주로 신용카드를 말하는것이지요.

 

왜냐하면 체크카드와 달리 신용카드는 안정된 소득이나 직장이 없거나 미성년자에게는 발급이 안되기 때문에

 

신용카드를 만들수 없는사람이 가족의 명의로 카드를 만들고 사용은 발급권한이 안되는 가족이 사용하는용도로

 

쓰이는 카드를 말해요. 신용카드를 만들수 있다는것은 자신의 경제관념이 깨끗하고 신용이 좋다는 것을 말해주는

 

주민등록증같은 역활을 하기도 하거든요.

유학생 캐나다 달러 환전

... 한달 생활비 정도는 캐나다달러로 들고가는것이 좋다고 하는데, 그럼 환전을 해야지... 유학생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수수료가 낮은 플랜으로 계좌를 오픈할 수 있습니다....

캐나다 달러 원화로 환전

... 있는 유학생입니다. 약 2000~2300불 가량의 돈을 환전하려고... 인천공항에서 환전하면 제가 받을 원화는 얼마 정도 될까요? 캐나다 달러... 7월 11일 11:50 현재 ......

캐나다 환전 최대 금액

... 며칠 뒤 캐나다 유학을 떠나는데 혹시 캐나다 달러 환전해서 입국할 때 금액 제한... 출국전 ( 한국계좌가 있는 은행에서) 유학생 등록 신청을 해놓으시면 ( 지정 거래...

캐나다달러송금할때, 환전을해서...

... 저는 캐나다에 온지 1달반정도되는 초짜 벤쿠버유학생입니다. TD뱅크 계좌를... (여기서 매도, 매입은 은행 기준) 그러므로 같은 100만원이라도 캐나다 달러환전시에...

캐나다 현지에서 한국 현금 환전...

캐나다 밴쿠버에 유학생 신분으로 거주중인데, 올때 한국 현금을 갖고 와서 캐나다 달러환전을 하려고 하는데요, 환전소를 가야하는지, 아니면 근처 한국은행(하나은행...

캐나다 달러환전 하려 하는데, 어느...

원화 2백만원 정도를 캔 달러환전하려면, 어느 은행에서... 받으시려면 유학생들 사이에서 직거래 있습니다, 다음 카페에 '우벤유' 치시면 캐나다 물건들 사고팔고 한국에서...

유학생입니다. 남은 돈 캐나다달러로...

캐나다에서 유학중인 유학생입니다. 다음주면 한국으로 들어갈 것 같은데, 남은 금액을 캐나다 달러로 가져 가는게... 미국달러가 더 비싸군요ㅠ 한국 들어가자마자 환전할...

유학생 캐나다 여행

... 미국 달러캐나다 달러환전 하는게 좋은가요? 아님 크레딧 카드를 사용 하는게 좋은지요? 답변 부탁 드립니다. 유학생이라고 그런 보장서 받아야 되는거 없습니다. 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