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퀘벡에 대해서

캐나다 퀘벡에 대해서

작성일 2014.05.1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캐나다 퀘벡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좀 해주세요

 

특히 위도,경도,기후,그리고 그지역의 행사등을 알려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캐나다 퀘백주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인구 는 약 7,300,000명이며, 현지한국교민수는 2천8백명, 언어는 불어를 가장 많이 사용하며, 영어와 기타 언어를 조금씩 사용합니다. 대표도시로는 퀘백시, 몬트리올, 라발, 퀘벡시티가 있습니다.

퀘백주

 

캐나다 10개 주 중 최대의 면적을 갖고 있고 중세 프랑스의 분위기가 곳곳에서 풍겨 나오는 퀘백주는 인구의 약 80%이상이 프랑스계로 구성되어 있어 ‘캐나다 속의 프랑스’로 독특함을 지니고 있습니다. 영어권이 대부분인 캐나다에서 유일하게 프랑스어를 쓰고 있는 곳이기도 해서 자국 내에서 상당히 독립적인 존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 퀘백주는 프랑스에 이어 제 2의 불어권으로, 퀘백의 활기참과 풍요로움은 바쁜 도시 몬트리올이나 세인로렌스강의 고풍스런 예도시 가스펠 마을 어디서나 느낄 수 있고 초 현대적 빌딩들이 운집한 신시가지와 성벽으로 둘러싸인 올드 몬트리올이 공존하는 몬트리올은 퀘백의 모습을 대변하며, 수도 퀘백시는 좁은 길과 오래된 성벽으로 이루어진 낭만적인 도시이기도 합니다. 교육제도도 타 주와는 상당히 달라 대학진학 희망자는 중등교육 수료 후 CEGEP라고 하는 단대에 입학하지 않으면 안되는 등 특별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영어인구도 늘어 Bilingual 교육의 거점이 되고 있습니다.

 


캐나다가 세상에 알려진 것은 10세기경 노르만인(人)에 의해서이며, 14세기 전반까지는 덴마크인이 거주하였으나 그 후 소멸하였는데요. 1497년 영국 국왕의 명을 받은 이탈리아인 존 카보트가 뉴펀들랜드 등 캐나다 동해안을 탐험하였다. 당시 캐나다에는 소수의 인디언이 살고 있었으며, 실제 캐나다라는 지명은 인디언 이로코이족(族)의 말에 있는 카나타(Kanata:부락이라는 뜻)가 어원(語源)이라고 합니다.
캐나다에 대한 영국인의 진출은 1628년 노바스코샤 식민지의 설립과 동시에 본격화하였으며, 그 뒤 150년간 뉴펀들랜드, 뉴브런즈윅, 프린스에드워드섬, 허드슨만 지방에 많은 식민지가 만들어졌습니다. 이들 식민지는 아메리카의 13개 식민지와 마찬가지로 사실상 독립해 있었습니다.

한편, 프랑스인의 진출은 1608년부터 세인트로렌스강 연안에 퀘벡·몬트리올 등의 식민지 설립을 통해 전개되었는데요. 이들 영국·프랑스 양 식민지간의 투쟁은 유럽에 있어서의 본국 간 항쟁의 반영으로, 1756∼63년의 7년전쟁에서 영국군이 퀘벡·몬트리올을 점령하여 캐나다에 있어서 영국의 승리가 최종적으로 확정되었습니다.

1763년의 파리조약에서 영국은 프랑스로부터 캐나다에 있는 식민지와 미시시피에서 동쪽의 루이지애나에 이르는 지역을 빼앗았습니다. 이리하여 캐나다는 완전한 영국의 식민지 지배하에 놓였으나, 영국은 그 뒤 아메리카 식민지에서 일어난 독립운동에서 캐나다를 떼어놓기 위하여 1774년의 퀘벡법(法)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였습니다. 이는 퀘벡주의 구(舊)프랑스령 식민지에서 지주와 교회의 특권을 승인하는 대가(代價)로 프랑스계 주민이 미국 독립운동에 참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목적이 있었습니다.

한편, 구(舊)아메리카 식민지의 제국왕당파(帝國王黨派) 등 보수분자가 아메리카에서 쫓겨나 노바스코샤, 온타리오주(州) 등으로 이주하여 그 지역의 지배층을 형성하였으므로 캐나다 사회의 보수성은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그러나 미국의 탄생, 점점 거세어지는 서점(西漸) 운동, 급속한 경제발전 등은 캐나다의 식민지를 고립·분산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영국은 미국측으로부터의 합병운동을 두려워하여 캐나다 식민지의 정치적 통합에 나서게 되었습니다. 1867년의 '영국령 북아메리카 조례(The British North America Act:BNA ACT)'에 따라 캐나다는 자치령으로서 정치적 통합이 인정되었습니다. 처음에는 퀘벡 ·온타리오 ·노바스코샤 ·뉴브런즈윅의 4개주만으로 구성되었으나 그 후 매니토바(1870)·브리티시컬럼비아(1871)·프린스에드워드섬(1873)·앨버타(1905)·서스캐처원(1905)·뉴펀들랜드(1949)가 합쳐져 현재는 이상 10개주와 유콘 및 노스웨스트의 2개 준주(準州)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926년의 영국제국회의는 캐나다 및 기타 자치령의 완전자치를 인정하였고, 1931년에는 웨스트민스터 조례에 의하여 주권국가로서 영연방을 구성하는 것이 법제화되었습니다. 1949년에 캐나다 헌법인 '영국령 북아메리카 조례'가 수정되어 캐나다의 완전독립이 법적으로 완성되었으며 1951년 12월 정식 국명을 캐나다자치령에서 캐나다로 변경하였습니다. 1982년 4월 17일 캐나다 최초의 헌법이 선포되어 영국과의 법적 예속 관계에 종지부를 찍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지금 퀘백주 독립할려고 하고있죠 퀘백주에는 프랑스어를 더 많이 사용합니다

캐나다 퀘벡에 대해서

캐나다 퀘벡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좀 해주세요 특히 위도,경도,기후,그리고 그지역의 행사등을 알려주세요!! 캐나다 퀘백주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인구 는 약 7,300...

캐나다 퀘벡 이민에 대해서

... 그리고 이왕이면 이민, 취업에 유리한 전공을 공부한다면, 캐나다 퀘벡, 프랑스 모두 이민 가능성은 충분히 있습니다. 이민 자체만 놓고보면 프랑스보다는 캐나다 퀘벡이...

캐나다 퀘벡 대학 유학

... 그런데 요즘에 취업도 생각을 하다 보니 캐나다 쪽도... 퀘벡 쪽에 대학을 진학하려면 delf b2가 필수인지?... 어떤 루트토 받게 될지에 대해서는 님이 결정하셔야겠죠?^^

퀘벡 캐나다 프랑스

... 영어사용하는 캐나다인하고 싸워서 국민투표했다는데 이해가 잘 안되서요... 이 사건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우선 퀘벡주는 프랑스가 식민지로 삼았던 지역이고 그 외의...

캐나다 퀘벡 영주권 받고나서

캐나다 퀘벡 영주권 받고나서 거주기간없이 바로 다른 주(영어권)로 이사갈수 있나요?... 행위에 대해서는 퀘백에서 주정부 이민이후에 막지를 못합니다. 다만, 이런 이유가 아닌...

캐나다 퀘벡 이민방법..

... 그러다 캐나다 퀘벡 PEQ? 를 알게 되었는데 거기서 인정해주는 대학을 아무학과나... 퀘백주 이민에 대해서 예를 또 들어드리면... 사실 위에도 말했지만 캐나다의 경제주권은...

캐나다 퀘벡이민 질문이요

... 거기에대해서 상세한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그리고 다른 조언과 필요한사항... 그냥 한국에서 허접한(?) 학교, 학위 등만 잘 마무리해도 얼마든지 캐나다 퀘벡 기술이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