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에 대해서

말레이시아에 대해서

작성일 2011.12.12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말레이시아에 대한 발표를 해야 하는데 말레이시아에 대해서 장황해도 좋으니까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욕, 내공냠냠등은 신고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말레이시아(말레이어: Malaysia)는 동남아시아에 있는 연방제 입헌 군주국이다. 말레이시아는 13개의 주와 3개의 연방 직할구로 구성되어 있고, 남중국해로 나누어진 말레이 반도지역과 보르네오 섬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타이, 인도네시아, 브루나이와 국경을 맞대고 있고, 해상국경은 싱가포르베트남, 필리핀과 맞대고 있다. 연방정부는 푸트라자야에 있지만, 수도는 쿠알라룸푸르이다.

말레이시아의 역사는 18세기부터 대영 제국의 식민지가 된 말레이 왕국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처음 영국의 식민지가 된 곳은 해협식민지로 불리었고, 다른 곳들은 보호령이 되었다. 1946년, 말레이 반도의 주들이 연합하여 말라야 연합을 세웠다. 1948년, 연방은 재편성되어 말라야 연방이 설립되었고, 1957년 8월 31일 독립을 하게 되었다. 1963년 9월 16일, 말라야 연방사바 주, 사라왁 주, 싱가포르와 연합하면서 Malaya란 이름에 si를 추가해 Malaysia가 되었다. 그러나 2년도 채 지나지 않은 1965년, 싱가포르는 연방에서 탈퇴하게 되었다. 말레이시아는 독립 이후 아시아에서 최고의 경제적인 기록을 가지고 있는데, 거의 50년동안의 GDP 성장률이 평균 6.5%라는 것이다. 말레이시아의 경제는 전통적으로 천연 자원에 거의 의존하고 있었으나, 최근에 과학, 관광, 무역, 의료관광등의 산업이 성장하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입헌군주국이며, 국가 원수는 9개 주의 세습군주들이 5년마다 투표를 해서 그들 가운데 선정하며, 지금 군주는 양 디 페르투안 아공이다. 정부의 장은 수상이다. 정부체제는 웨스트민스터 체제에 가깝고, 법체계는 영국의 법에 기초한다. 말레이시아는 민족과 문화가 다양하고 그 다양성이 정치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국교이슬람교이지만, 헌법상 종교의 자유는 인정되고 있다.

말레이시아에는 유라시아의 최남단 지역인 탄중피아이가 있고, 적도근처에 위치하고 있어 열대 기후의 국가이다. 다양한 동식물군이 있어 생물 다양성이 큰 국가이다. ASEAN, 이슬람 회의 기구의 창립멤버이며, APEC, 영국연방, 비동맹 운동의 회원국이다.

목차

 [숨기기

[편집] 역사

이 부분의 본문은 말레이시아의 역사입니다.

인도양과 남지나해 사이의 말레이 반도는 옛부터 동서양 무역상 및 여행객들의 장소였다. 5-6세기 유입된 힌두 문화와 불교 문화는 말레이시아 북서 지역에 빠르게 보급되었고, 14세기 무렵 아랍 상인들이 이슬람교를 소개하였다.[1] 말라카 해협(Straits of Malacca)을 중심으로 13세기까지 상업과 무역의 중심지로 번성한 말레이시아는 식민 열강들이 향료가 풍부한 말라카에 침범하기 시작하면서 외세의 지배를 받기 시작했다. 16세기 포르투갈의 침공 이후 네덜란드의 말라카 점령을 거쳐, 18세기 영국이 페낭(Penang)을 점령하면서 말레이시아 지역은 20세기 초까지 외세의 지배를 받았다. 바다 건너 보루네오 섬에 있는 사라왁주는 1841년 이후 영국 모험가인 제임스 브룩(James Brooke)과 후손들에 의해 통치되었으며, 1888년 사라왁주와 북 보루네오(추후 사바로 개칭됨)는 영국의 보호령이 되었다. [2]

1957년 8월 31일 말라야 연방(Malayan Union)이 대영제국에서 독립하였다. 사바 주, 사라왁 주싱가포르와 함께 1963년 9월 16일에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여 현재의 말레이시아 연방을 성립하였다.[3] 2년 후인 1965년 8월 9일에 싱가포르가 말레이시아 연방에서 탈퇴(분리, 독립)하였다.

2011년 현재 말레이시아는 싱가포르, 브루나이, 인도네시아, 필리핀, 미얀마, 태국, 라오스, 캄보디아 베트남으로 구성된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 10개 회원국 중 하나로 활동하고 있다.

[편집] 자연 환경

[편집] 지리

말레이시아는 남중국해를 사이에 두고 크게 말레이 반도의 서 말레이시아, 보르네오 섬 북부의 동 말레이시아 두 부분으로 나뉜다. 국토는 329,758km2로, 3/4가 밀림 및 습지대로 구성된다.

[편집] 기후

말레이시아는 적도와 가까워서 4계절이 없고 우기건기가 있는 고온다습열대성 기후에 속한다. 열대지역에 속하는 말레이시아의 기후는 연중 고온 다습한 편이다. 연평균 기온이 21~32℃로 연평균 강우량 2,000~2,500mm, 평균 습도는 63~80%이다. 최저 기온과 최고 기온의 기온 차는 9~12℃ 전후로 낮에는 30℃를 웃돌다가도 저녁과 밤에는 매우 선선한 기후를 유지한다. 건기와 우기는 지역마다 차이가 있으며, 우기라도 일시적인 열대성 소나기의 횟수가 증가하는 것이므로 여행에는 불편함이 없다.[4]

[편집] 정치

말레이시아는 입헌 군주국으로서 페낭, 말라카, 사바, 사라왁을 제외한 9개 각 술탄(Sultan) 중에서 교대로 선출되어 5년의 임기를 가진 헌법상 국가원수인 국왕(Yang Di-Pertuan Agong)직을 수임한다. 그리고 실권은 국민이 선출한 의회와 총리가 쥐고있다. 말레이시아 국왕은 총리와 내각을 임명할 권리와 군대 최고 사령관으로서의 통솔권 등을 갖는다.

말레이시아의 정당으로는 민중운동의 성과인 말레이시아 사회주의당(PSM) 등이 있다.

[편집] 행정 구역

이 부분의 본문은 말레이시아의 행정 구역입니다.

말레이시아는 13개 주와 3개의 연방지구(혹은 연방직할령)로 구성되어 있다. 1959년 14개 주로 독립한 후, 1965년 싱가포르가 탈퇴하여 13개로 줄어들었다. 연방지구로는 쿠알라룸푸르, 푸트라자야, 라부안이 있다.

[편집] 대외 관계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동시수교국이다. 압둘라 아흐마드 바다위 총리에게 정권을 넘겨주기 전 총리였던 마하티르 빈 모하마드(Mahatir Bin Mohammad)가 주도한 향동학습정책(向東學習政策, Look East Policy)을 통해 말레이시아 정부가 장학생을 대한민국에 있는 대학으로 보내고 있다. 말레이시아와 필리핀사바 주 일부 지역에 관한 분쟁을 외교문제화하지 않기로 합의하였다. 또한, 브루나이와는 분쟁 중인 대륙붕 지역에서 가스 및 석유채굴 작업을 중단하기로 2003년에 합의하였다. [5]

[편집] 대 타이 관계

라마 1세(재위 1782년 - 1809년)는 타이 세력을 크게 확장해 말레이반도의 켈란탄까지 지배하였다.

[편집] 경제

주로 주석, 팜유, 석유를 생산.수출하며, 제조업관광업을 주요 산업기반으로 삼고 있다. 이 나라는 1997년 외환위기를 겪었으나 자체적으로 극복하였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1998년 9월 초 환율을 고정시키는 조처와 함께 자본통제에 들어갔다. 자기나라 통화인 링깃화의 달러화 환전을 못하게 하고, 나라 밖에 있는 링깃화는 2달 안에 모두 국내로 갖고 들어오도록 하여, 외국에 그냥 놔 둔 링깃화는 그 가치를 인정하지 않기로 했다. 또 국내 증권을 산 외국인이 그 증권을 다시 팔려면 1년을 기다리도록 했다. 자본통제는 국내경제를 해외 금융·외환시장과 차단한 뒤 경기부양 정책을 펴기 위한 사전조처였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이런 조처 뒤 통화량 확대공급, 금리인하, 공공지출 확대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경기부양 정책들을 단계적으로 취해 나갔다. [6]

IMF의 통계에 의하면, 말레이시아의 2008년 국내총생산(GDP)은 2216.06억 달러이다. 영국의 식민지 시대부터 고무의 플렌테이션과 주석의 채굴, 천연가스의 채굴 등 특정한 농작물과 광물의 생산이 번성하였으나, 마하티르 빈 모하마드 전 총리가 내세웠던 "와와산 (말레이어로 비젼의 뜻) 2020"(비젼 2020, Vision 2020) 정책에 따라, 종래의 농작물과 광산물의 수출, 관광업에 의존하였던 체질로부터 탈피하여 2020년까지 말레이시아의 정치.경제.문화 각 방면을 선진국 대열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2010년 6월, 경제발전과 현대화를 위해인프라 프로젝트에 700억달러 규모의 자금 투입과 연 경제성장률 6% 달성 등을 핵심으로 하는 향후 5년간의 제10차 말레이시아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나지브 총리는 “말레이시아는 해외 투자자들을 더 많이 유치할 수 있도록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면서 “재능있는 말레이시아인들이 싱가포르나 홍콩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현지에서 일할 수 있도록 장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7]

[편집] 통화

말레이시아의 통화 단위는 말레이시아 링깃(RM)으로, 1링깃은 약 300원 정도이다. 보조통화는 센(SEN)이라고 하며, 1링깃은 100센에 해당한다. 지폐는 100링깃, 50링깃, 10링깃, 5링깃, 2링깃의 5종류가 있고, 동전은 50센, 20센, 10센, 5센, 1센의 5종류가 있다. 말레이시아에서는 공항이나 시중 은행, 호텔에서 환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생수 500ml의 경우 약 1링깃(300원 정도), 택시의 기본 요금은 2링깃(600원 정도)이다.[8]

[편집] 산업

경제는 전적으로 농업, 광업 등 1·2차 산업에 의존하고 있다. [9] 말레이시아는 세계최대 주석, 천연 고무, 팜유 생산국으로 1960년대 만 해도 주요수출품이 주석과 팜유였다. 이후 정부의 강력한 경제정책으로 말레이시아는 동남아국가 중 3번째로 국민소득이 높은 나라가 되었으며, 주요 산업도 관광업제조업으로 전환되었다. 농업에 있어서는 주산물이 쌀, 고무, 코프라 등이다. 쌀은 국민의 주식이지만, 쌀 자급률이 30%에 불과해, 자급자족하지 않고 매년 다량의 쌀을 수입한다. 따라서 정부는 관개사업 실시, 벼의 품종 개량 등을 통해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데에 주력하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세계최대의 고무 생산국으로, 수출품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합성고무의 발달, 고무 농원 노동자 등의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10]그 외에도 열대과일 재배, 도시근교 채소, 원예농업이 발달되어 있다. 광업에서는 주석광(錫鑛)과 철광이 압도적으로 중요하다. 말레이시아는 세계 최대 주석 생산국으로 주석광은 서해안 몬타를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충적토를 준설(浚渫)하여 채굴하며 주석을 가공하는 산업이 발달되어있다. 철광은 동해안에 있으며 그 대부분이 일본으로 수출된다. [11] 그리고 석유산업도 사라와크주에서 소량 산출되었으나, 그 후 사바주·사라와크주에서 대규모 해양유전이 개발되면서 석유채취, 가공산업도 주요산업이 되었다. 제조업은 1970년대 말부터 개발하기 시작해 지금은 동남아시아에서 제조업이 발달한 국가 중 하나가 되었으며 주로 전기·통신기계와 수송기계 생산을 하고 수출을 하고 있다. 그리고 관광업도 이 나라의 주 수입원이다. 고무, 주석광, 철광석은 수출하며 식량과 공업제품을 수입한다. 따라서 경제는 고무, 주석, 철의 국제가격의 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약간의 1차 산품만을 생산하는 산업구조는 식민지 경제의 유산이다.[12]

[편집] 교통

육상교통은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들보다 잘 발달해 있다. 특히 서해안을 따라 포장도로와 철도가 잘 정비되어 있다. [13] 말레이시아의 도로망은 98,721㎞에 달한다. 그 중 1,821㎞는 고속도로이다. [14]

[편집] 철도

말레이 반도 지역에는 말레이 철도의 노선망이 있다. 일반 철도(고속 철도 포함), 경전철(LRT), 모노레일 그리고 케이블 카가 있다. 일반 철도는 대부분 도시간 승객 수송과 화물 운송, 그리고 일부 시내 대중교통으로 사용된다. 긴 반도의 서해안 끝의 조호바르(Johor Bahru)에서 타이 접경의 파당 베사르(Padang Besar)까지 서해안 950km를 연결하고 있으며 동해안선은 쿠알라룸푸르와 싱가포르의 중간지점에 자리잡은 게마스에서 타이 동해안쪼 접경 툰팟까지 528km를 잇고 있다. 서해안선과 동해안선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 사이의 고산지대와 열대우림지대를 버스가 연결시켜 주고 있다. [15]:54경전철은 시내 대중교통이나 공항 내 청사 간의 승객 수송과 같은 특별한 용도로 사용된다.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쿠알라룸푸르 시내를 잇는 고속철도 노선도 있다. 이 노선에는 2가지 열차편이 운행 중이다. 말레이시아에서 유일한 모노레일 노선은 쿠알라룸푸르의 대중교통으로 이용되는 것이고, 유일한 케이블 카는 페낭에 있다. 쿠알라룸푸르 주변에는 모노레일을 위시한 각종 통근 철도가 발달해 있다.

[편집] 도로

영국의 식민 통치 시기부터 도로가 정비되어 왔다.

[편집] 항공

이 부분의 본문은 말레이시아의 공항입니다.

말레이시아 항공에어아시아 등에서 국내외 항로에 취항하고 있다. 특히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은 유럽과 오스트레일리아를 잇는 항로의 주요 경유지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파이어플라이가 합세하였다.

[편집] 사회

[편집] 인구

말레이시아의 인구는 약 2,500만 명으로 인구의 60% 이상이 말레이 반도에 살고 있다. 다민족 국가인 말레이시아는 여러 종교를 축으로 각각의 국민성을 지니고 있다. 말레이시아의 말레이인(부미푸트라, Bumiputra)이 인구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이슬람교에 기반을 둔 계율을 따른다. 중국계가 약 25%, 인디아계가 약 8%, 전통 가옥에 살면서 각 부족들의 삶의 방식을 고수하며 독특한 전통 문화를 지키고 보존하는 원주민들인 오랑아슬리(Orang Asli)들을 포함한 기타가 약 10% 정도이다. 중국인과 말레이인의 혼혈 인종인 페라나칸인, 그리고 유럽계의 다양한 인종들이 살고 있다. 유럽계는 주로 포르투칼, 네덜란드, 영국의 후손들이며 대부분 말라카에 있는 주거 지역 내에 살고 있다. 각각의 지역 사회를 형성하고 있으면서도 말레이시아 만의 조화로운 공존을 도모한다.[16]

[편집] 언어

말레이시아의 공용어는 말레이어(Bahasa Melayu, Bahasa Malaysia)이며 영어가 널리 통용된다. 중국어, 타밀어, 아랍어, 이반어(사라왁의 원주민인 이반족의 언어)도 사용된다. 말레이시아는 적어도 70여 개의 다른 어족(語族)에서 생성된 다양한 언어들을 사용하고 있다. 말레이시아의 국어인 ‘바하사 멜라유(Bahasa Melayu)’ 외에도, 영어는 말레이시아의 공용어로써 상업과 공업에서 널리 쓰이며 말레이시아 학생들은 초등학교 시절부터 영어 교육을 받는다. 말레이시아에서의 영어는 말레이어와 함께 말레이시아 국민들이 능숙하게 사용하는 언어이며, 집에서 자라날 때부터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약간의 영어를 구사한다면 의사소통에 별다른 불편함 없이 말레이시아를 여행할 수 있다. 말레이어와 영어 이외에도 만다린(중국어), 타밀어(인도어)가 사업, 여행, 산업, 라디오, TV 뿐만 아니라 교육기관 등에서 쓰이고 있어 최근 말레이시아를 자녀들의 유학 목적지로 선택하는 부모들이 늘고 있다.[17]

[편집] 문화

말레이시아는 다민족국가이다. 주류 민족인 말레이족 뿐만 아니라, 중국계 말레이인, 인도계 말레이인도 거주한다.

[편집] 종교

말레이시아의 국교는 이슬람교이지만, 실제로는 여러 종교가 혼재하는 다종교 국가이다. 일반적인 종교는 이슬람교, 불교, 도교, 힌두교, 그리고 기독교 등이 있다. 2000년의 정부 인구조사 통계에 따르면 전체의 60.4%가 무슬림 (수니파, 시아파 전부)이며, 불교 신자가 19.2%, 힌두교 신자가 6.3%, 기독교인이 9.1%(이 가운데 대부분은 동 말레이시아에 거주)를 차지한다. 말레이시아에서는 이슬람교가 국교이며, 종교의 자유는 허용되지만, 국민, 특히 이슬람 교도에 대한 선교활동은 할 수 없다. 이슬람을 위한 모스크, 불교신도를 위한 절, 힌두교의 힌두사원, 그리고 교회와 성당까지 쉽게 찾아볼 수 있음은 물론 각 종교의 축제마다 타종교인들은 물론 관광객들도 함께 초대하여 즐기는 ‘오픈 하우스(Open House)’라는 행사를 개최한다. 종교 관련 축제 시기에 말레이시아를 방문하는 여행객들은 말레이시아 특유의 성숙된 관용의 문화를 실제로 관찰할 수 있다.

말레이시아에 대해서

말레이시아에 대한 발표를 해야 하는데 말레이시아에 대해서 장황해도 좋으니까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욕, 내공냠냠등은 신고합니다. 말레이시아(말레이어: Malaysia)는...

말레이시아 유학 진로상담..

... 말레이시아 유학을 향한 작성자님의 열정과 계획에 대해서 듣게 되어 정말 기쁩니다. 작성자님의 꿈은 명확하고, 말레이시아에 대한 애정과 확신 또한 매우 인상적이네요....

말레이시아 팜유 수입국에 대해서...

인도네시아하고 말레이시아가 팜유를 수출하는데...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팜유 주요 수출 국가... 4%) 말레이시아 중국 (31.2%) 유럽연합 (15.5%) 인도 (12.8...

말레이시아 대학 입학에 대해서..

... 뭐, 말레이시아에 대해서 물었는데, 간단히 틀만 이야기 해 드리겠습니다. 대학에 진학하는데 있어서는, 대략 2가지 정도의 길이 있습니다. 첫번째가, 한국에서 고등학교를...

말레이시아에 대해서

저희가 창특시간에 말레이시아 발표하는데요 말레이시아의 역사 음식 문화 좀... 100이요 말레이시아또는 말련은 동남아시아에 있는 연방제 입헌 군주국이다. 말레이시아는...

말레이시아에 대해서

말레이시아의 문화, 문화재, 역사에 대해서 가르켜 주세요. 1. 위치 동남아시아 말레이 반도이며 북쪽으로는 태국과 접하여 있고 남으로는 말레이시아에서 독립된...

말레이시아에 대해서

말레이시아 유명한 분들3명 알려주세요 그리고 그분들에대해서도 알려주세요 제가 진짜급해요 욕하지 말고 이상한 답변 하지말세요 마하티르 마하티르 모하마드 전...

말레이시아에 대해서

... 문화도 말레이시아 문화의 다양성에 크게 기여하였다. ☞지리 수도 쿠알라룸푸르가 있는 말레이 반도의 서말레이지아와 보루네오섬 북부의 동말레이지아 등 두...

말레이시아 성(이름)

... 말레이시아에 대해서 수행평가로 조사하고 있는데요. 말레이시아에서 유명한(많은) 성이 있을까요? 그리고 어떻게 말하는지도 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당 ㅎㅎ 말레이시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