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와 홍콩 음식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중국와 홍콩 음식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작성일 2021.11.29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중국와 홍콩 음식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중국 음식에는 어떤 음식들이 있고, 홍콩의 딤섬 종류에는 몇 종류가 있나요? 사이트와 동영상이 아닌 사진하고 설명으로 정확하게 알려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에서 중동, 이슬람, 아랍어 관련 답변을 주로 달고 있는 swastika3입니다.

참고로 전 중동 지역학/아랍어 전공자이며 전공을 살려 중동/아랍 19개국에서 21년

이상 공관/대기업/개인 사업 경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사업차 베이징의 왕푸징 쪽에서 거점을 두고 사업을 한 바 있었습니다.

질문자님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 중국와 홍콩 음식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중국와 홍콩 음식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중국 음식에는 어떤 음식들이 있고, 홍콩의 딤섬 종류에는 몇 종류가 있나요? 사이트와 동영상이 아닌 사진하고 설명으로 정확하게 알려주세요.

-> 중국 음식들이 워낙 종류가 많기 때문에 대표적인 음식들만 지역 구분에 따라 소개해 드릴 예정입니다.

질문자님의 질문은 간단해도 답변자 입장에서는 이건 제대로 답변을 단다면 몇 년을 걸려도

답변 못달 정도로 음식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일단 중국의 8대 요리 지역은 산동(북경 포함), 사천, 광동, 강소, 절강, 안휘, 복건, 호남 음식들입니다.

그리고 8대에는 안들어가도 지역적인 이미지로 그 외 북경이나 상해 요리도 있습니다.

또한 기타 소수민족들의 음식들도 많으나

8대 요리 기준으로 언급하겠습니다.

(1) 산동요리

-> 베이징(北京), 톈진(天津), 지난(济南), 칭다오(靑島), 자오저우(胶州), 자오둥(胶东), 공푸(孔府),

더저우(德州) 등 산둥성 및 인근 지역에서 소비되는 음식입니다. 쉽게 말해 중국의 동북부 지방

(동북 3성 제외) 요리입니다. 간장을 많이 쓰는 편이라 맛이 농후하다. 그래선지 파와 마늘이 굉장히

많이 들어갑니다. 만두 같은 걸 먹을 때 생마늘을 그대로 갈아 얹어먹을 정도로 거리낌이 없기도

합니다. 탕요리와 각종 동물 내장 조리법도 풍부합니다. 특징은 맛이 순수하며, 대체적으로 소금기가

있고, 신선함, 연함, 향기로움, 바삭함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칭탕(清汤 멀건 국물)과 나이탕(奶汤 뽀얀

국물)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며, 멀건 국물은 색이 맑고 신선하며, 뽀얀 국물은 색이 하얗고 진합니다.

산동요리는 원재료의 질을 중요하게 여기며, 소금으로 신선함을 잡고, 탕으로 신선함을 무장 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 북경오리구이(산둥요리)

<사진 출처(구글) : 북경오리구이>

-> 원나라 때부터 생겨나 현재까지 이어져 내려온 '베이징 카오야'입니다. 겉에 설탕 혹은 물엿 옷을 입힌

후 껍질과 속살 사이엔 펌프로 공기층까지 만들어서 바싹 말리는 과정을 거친 후 구워내기 때문에

껍질이 과자처럼 바삭바삭하게 씹힙니다. 이를 통째로 내놓든지, 아니면 먹기 편하게 조각조각 썰어서

내 주는데, 일반적으로는 얇게 썰어서 첨면장 소스를 찍어 오이채를 비롯한 채소와 함께

'바오빙(薄饼)'이라는 밀 전병에 싸서 먹습니다. 우리나라의 보쌈과 비슷한 개념의 음식입니다.

참고로 중국역사에서 청나라 건륭제랑 서태후가 즐겨 먹었던 음식이기도 합니다.

(서태후는 오리 요리가 맛없으면 그 요리사를 죽이기도 했었습니다.)

베이징 내에서도 전취덕, 계공부 등 북경 오리 구이 요리를 잘하는 식당들이 많습니다.

#. 카오양(러우)(산둥요리)

<사진 출처(인민 일보) : 카오양러우>

-> 청나라 시대 자금성 북쪽에는 왕qn가 많았고, 만주인들은 카오러우를 즐겨 먹었습니다.

카오러우지의 카오양러우는 엄선된 재료를 사용하여 조미하고 절여낸 양고기를 특별 제조한 번철에

익혀 육즙이 고소하고 부드러우며 냄새가 나지 않습니다. 카오러우를 먹는 방법은 문인처럼 우아하게

먹는 ‘문흘(文吃)’과 무인처럼 씩씩하고 호탕하게 먹는 ‘무흘(武吃)’의 두 가지가 있습니다.

#. 탕추(산둥요리)

<사진 출처(구글) : 탕추>

-> 탕추는 식초와 설탕을 활용한 중국의 새콤달콤한 양념입니다. 저것을 넣어서 상기사진처럼

양념통닭 비슷하게 돼지고기나 닭고기 넣고 볶으면 탕추러우가 됩니다.

#. 탕추리지(산둥요리)

<사진 출처(구글) : 탕추리지>

-> 등심 부위를 손가락처럼 긴 모양으로 잘라 전분 반죽을 묻혀서 튀깁니다. 녹말이 들어가서 걸쭉한 탕추

소스를 사용하지만 한국식 탕수육과 달리 소스에 양파, 오이 등의 야채가 들어가지는 않으며 신 맛이

강한 편입니다. 한국 탕수육의 기원이 되는 음식으로 여겨집니다.

#. 러우모하이선(산둥요리 - 산둥지방 끝 교동의 복산의 자오둥 요리)

<사진 출처(구글) : 러우모하이선>

-> 향신료와 더불어 잘게 다진 해삼 요리입니다.

#. 파웬커바오위(산둥요리 - 산둥지방 끝 교동의 복산의 자오둥 요리)

<사진 출처(구글) : 파웬커바오위>

-> 푹 삶은 전복요리인 파웬커바오위입니다.

#. 주좐다창(산둥요리 - 황하강 인근 지난시에서 발전한 지난요리)

<사진 출처(구글) : 주좐다창>

-> 돼지의 대장을 삶은 다음 튀겨서 다시 조리하는 요리입니다.

#. 탕추황허리위(산둥요리 - 황하강 인근 지난시에서 발전한 지난요리)

<사진 출처(구글) : 탕추황허리위>

-> 황하에서 나는 잉어를 소금으로 간한 후 땅콩기름에 튀긴 요리입니다.

#. 바셴궈하이나오뤄한(산둥요리 - 곡부시 공부 요리)

<사진 출처(구글) : 바셴궈하이나오뤄한>

-> 곡부시는 공자를 위한 음식을 내놓는 그런 지역인데 음식이 정교하기로 유명합니다.

해당 음식은 '8명의 신선들이 바다를 건너며 소란을 피우면서 나한들을 성가시게 하다'란

의미를 지닌 요리입니다. 채소 위주로 만들어진 음식입니다.

#. 이핀서우타오(산둥요리 - 곡부시 공부 요리)

<사진 출처(구글) : 이핀서우타오>

-> 이건 '화장을 한 찐빵'의 의미를 지닌 산동성 공부 요리입니다.

#. 바오차오야오화(산동요리 - 복건성 요리)

<사진 출처(구글) : 바오차오야요화>

-> 중국 8대 요리들 중 으뜸으로 쳐주는 요리입니다. 이 요리는 돼지의 신장이 주 재료이며,

센 불에 볶는 과정을 거칩니다. 특징은 육즙이 진하고 맛이 강하며,입에 넣는 순간 신선함과 향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칭탕리우예엔차이(산둥요리 )

<사진 출처(구글) : 청탕유엽채>

-> 이게 유명한 중국의 한족이 먹는 제비집 요리입니다. (중국식)소세지, 비둘기 알 등으로 만들어

냅니다.

#. 더조우파지(산둥요리 - 산둥 덕주의 요리)

<사진 출처(구글) : 더조우파지>

-> 이건 '천하제일계'라고도 불리는 덕주배계라는 산둥 닭요리입니다.

오향으로 조리하여 겉면이 붉그스름하고 윤기가 있는게 특징인 요리입니다.

과거에 중국 제후나 황족들이 즐겨 먹었던 음식이기도 합니다.

(2) 사천요리

-> 사천요리는 중국의 특색 있는 전통 사대요리(혹은 팔대 지역요리) 중 하나이며, 수많은 요리 방식이

존재합니다. 여러 음식의 장점만 골라 만드는 요리라 할 수 있으며, 사천요리만의 독특한 스타일과

요리법, 절묘한 마라(麻辣)의 양념은 중국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중국의 가장 특색 있는 요리로 여겨지는 사천요리는 재료를 고를 때 대부분 일상에서 접할 수 있는 것들로

고릅니다. 얼얼함, 매콤함, 향기로움, 짠맛, 신선함 등 다양한 맛 안에서 약간의 매콤함을 중시합니다.

#. 단단몐(사천요리)

<사진 출처(구글) : 단단면>

-> 단단면은 중국 사천의 대표적인 면요리이자 간식거리입니다. 1841년 사천의 진포포라 불리는

자공의 작은 행상이 단단면을 만들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딘딘면은 과거에는 면을 면멜대에

메고 판매를 했기에 거기서 이름이 유래된 것입니다.

단단몐은 면발이 가늘고 쫄깃하며, 색깔과 광택이 불그스름하여 곁들이는 양념으로는 붉은 고추기름,

다진 고기, 쓰촨 동채(冬菜), 새싹채소, 화자오(花椒 화초)가루, 붉은 간장, 다진 마늘, 완두콩과

송송 썬 파 등이 있습니다. 동채(冬菜)가 들어가고, 마장(麻酱 깨장)의 진한 향기와, 마라와 새콤한

맛이 뚜렷한 면요리입니다.

#. 후이궈러우(사천요리)

<사진 출처(구글) : 회과육>

-> 후이궈러우의 기원은 쓰촨의 농촌 지역에서부터 생겨났다. 특징은 맛이 독특하며, 색깔과 광택이

붉그스름하고, 기름기가 있어도 느끼하지 않으며,입안에 넣었을 때 진한 향이 퍼지고, 신장과 피,

정력을 보양 시켜주는 효능이 있습니다. 쓰촨의 대부분의 가정들은 후이궈러우를 만들어 먹습니다.

#. 마포또우푸(사천요리)

<사진 출처(구글) : 마파두부>

-> 청나라 때 생긴 음식으로 성도의 만복교에 위치했던 진흥성식당에서 당시 주인장 아주머니인

천리우가 만들었습니다.

소고기 가루와 매운양념과 두부, 마늘 등이 들어가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중화요리 집에서 사람들이

즐겨먹는 메뉴입니다.

#. 꽁바오지딩(사천요리)

<사진 출처(구글) : 궁보개정>

-> 이건 청나라 말기 명신인 정보정이 만든 음식에서 유래된 음식입니다. 닭고기, 붉은 고추, 땅콩들을

중화요리 냄비에 넣고 볶아낸 요리입니다.

#. 똥포조우즈(사천요리)

<사진 출처(구글) : 동파주자>

-> 동파주자는 중국 북송(北宋)의 저명한 문학가, 서예가, 화가였던 쑤동포(苏东坡소동파)의 부인

왕푸(王弗 왕불)가 만들어낸 유명한 요리입니다.

소동파가 이 음식을 좋아하였다 하여 얻은 이름입니다.

동파주자를 먹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멀건 국물과 같이먹는 방식으로, 쪄서 익힌

돼지고기를 꺼내 사발에 담고, 닭을 고운 국물을 붓습니다.

만약 닭을 고운 국물이 없다면, 뜨거운 물이라도 괜찮습니다.

소량의 소금과, 소량의 파를 넣고 함께 먹으면 됩니다. 가장 좋은 건, 다른 그릇에 간장을 담아두어,

먹을 때마다 간장에 찍어먹으면, 더 맛있게 먹을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양념 식으로. 쪄서 익힌돼지고기를 꺼내 그릇에 놓고, 잘 만들어둔 양념을 위에 부어 바로

먹으면 됩니다.

#. 쉐이주로이피엔(사천요리)

<사진 출처(구글) : 수자육편>

-> 수자육편은 중국 한족의 유명 요리이며, 사천 요리에서도 유명한 가정식에 속합니다.

중국 20세기 30년대 사천 쯔공(自贡 자공)의 유명한 요리사 판지안(范吉安 범길안, 1887-1982년)

이 만들어낸 뛰어난 풍미의 음식이기도 합니다.

이 요리는 고기가 기름을 두른 웍이나 후라이팬에 볶아지거나 조리하지 않고,물로 끓여 익혀진다 하여

수자육편 이라 불립니다. 얇게 썬 돼지고기와 계란이 주 재료이고, 식물성기름으로 채소의 매운맛을

살려내 만드는 매운맛의 요리입니다.

(3) 광동요리

-> 유에차이 즉 광동차이(广东菜 광동요리)를 말합니다. 중국 8 대 요리 중 하나이며, 광조우차이

(广州菜 광주요리), 차오조우차이(潮州菜 조주요리), 똥쟝차이(东江菜 동강요리)를 포함하고 있고,

그 중 광주요리가 대표적입니다.

광동요리가 추구하는 것은 색, 향, 맛, 형태이며 양이 정교하고 섬세하며, 질과 맛을 중시합니다.

맛은 비교적 담백하며, 담백함 속에서 신선함과 아름다움을 찾습니다.

조미료는 종류가 많으면서 정교하고, 장식은 아름다우면서 화려하다. 요리의 종류가 굉장히 많습니다.

#. 바이치에지(광동요리)

<사진 출처(구글) : 광동요리인 백절계>

-> 백절계는 중국 광동의 매우 유명한 가정식이며, 광시(广西 광서) 전역에서 매우유행하는 요리입니다.

특히 농촌에서 경조사가 있을 시 빠질 수 없는 요리이기도 합니다.

백절계의 국물은 진국이라 불리며, 닭 껍질은 쫄깃하고 육질은 부드럽다. 맛은 담백하고 좋은 게,

큰 자리건 작은 자리건 모두 어울린다 할 수 있습니다.

백절계의 색깔은 새하얗고 약간의 노란 기름을 띄고 있으며, 파 기름의 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 탕추구루러우(광동요리)

<사진 출처(구글) : 광동 탕수육>

-> 광둥의 한 요리사가 탕추파이구(糖醋排骨 탕수갈비)를 좋아하는 외국인들이 갈비뼈를 발라내는데

익숙하지 않는 것을 보고 뼈 없는 고기를 큼직하게 썰어 간을 하고 전분을 묻혀 기름에 바삭바삭하게

튀겨낸 다음 그 위에 설탕과 식초, 소금, 간장, 오향 등으로 만든 양념소스를 뿌린 음식입니다.

중국인/외국인 불문하고 유명하게 알려진 중국요리입니다.

#. 빠바오똥과총(광동요리)

<사진 출처(구글) : 중국의 팔보동과중>

-> 이 요리는 향기와 색이 맑고, 동과(冬瓜)의 육질은 신선하고부드러우며 연합니다.

맛과 국물 또한 맑고 깨끗한 여름철의 탕 요리입니다.

이 요리의특이한 점은 요리사가 동과중의 껍질에 각종 그림과 꽃무늬를 매우 정교하게 새겨 넣어,

맛을 보는 것 이외에 사람들의 눈을 즐겁게 해줍니다.

동과중은 찌는 방식을 이용해 요리하는데, “빠바오(八宝 팔보)”라고 불리는 8가지 식 재료를 전부

동과중의 안에 넣은 음식입니다.

#. 샹화위치우(광동요리)

<사진 출처(구글) : 중국의 향활어구>

-> 요리를 할때 생선토막에 칼을 이용해 꽃무늬를 새겼는데, 고기가 다 익고 나니 생선토막이 자연스레

말려지면서, 마치 공의 모양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의 요리입니다.

비록 근래에 들어제조법이 바뀌면서 이미 꽃무늬를 새기지 않게 되었는데, 이렇게 되니 생선토막이 익고

나서도 공의 형상이 아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위치우 라고 부르는 게 습관이 되어 아직도

그렇게 부르고 있습니다. 광동 고급 요리에 꼭 들어가는 메뉴이기도 합니다.

#. 라오훠량탕(광동요리)

<사진 출처(구글) : 중국의 로화정탕>

-> 라오훠탕, 광푸탕(广府汤 광부탕)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중국 광동지역의 유명요리이자 광동요리

계통입니다. 약한 불로 오랜 시간 충분하게 끓이고 삶는 로화정탕은 중국의 음식으로 보양하는

수천 년의 비법을 계승한 요리입니다.

불의 세기는 충분하고길게, 한번 끓이면 약 몇 시간 정도는 끓여야 하며, 이 과정을 거친 다음 탕을

먹으면 약으로 보신하는 것 같은 효능을 얻을 수 있고, 입에 넣었을 때에는 약간의 감칠맛과 달콤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샹위커우로우(광동요리)

<사진 출처(구글) : 중국의 향우구육>

-> 향우구육은 중국 광동 주쟝(珠江 주강)싼지아오조우(三角洲 삼각주)의 전통 요리이며,

각종 자리의 식탁에서 자주 보이는 요리입니다. 평상시 광동 지역 국민들의 상에 오르는고기 요리이며,

국빈연회의 메뉴 판에 올라오기도 하는 요리이기도 합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이요리를 좋아하고 있습니다.

요리의 주 재료는 토란과 돼지고기이며, 요리의 순서는 데치고-튀기고-찌는 순입니다.

제작 방법이 번거로우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만큼, 토란이 삼겹살의 기름과 맛을흡수하고, 삼겹살은

느끼하지 않고 되려 달콤하고 향기로운 감칠 나는 맛으로 변하게 됩니다.

(4) 강소요리

-> 강소 요리는 중국 전통 8대 요리 중 하나이며, 쑤차이(苏菜 강소 요리)라고 불립니다.

찐링차이(金陵菜 금령요리), 화이양차이(淮扬菜 회양요리), 쑤시차이(苏锡菜 소석요리),

쉬하이차이(徐海菜 서해요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국내외에서 큰 영예를 누리고 있습니다.

강소 요리는 짠맛 안에 약간의 달콤함이 있고, 본 재료의 맛과 국의 간을 중시하며, 재료의 원 맛을

유지하여 맛이 깨끗하고 신선합니다.

요리기술은 삶고 뜸들이고 굽고 데우는데 능하며, 재료를 고를 땐 구애 받지 않고 모든 재료의 용도를

극대화 시킵니다.

강소 요리는 중국 궁정요리 안에서 두 번째로 속해있는 요리이며, 현재 중국 국가연회에서도 강소

요리가 여전히 주가 되어 올라옵니다.

강소 요리의 스타일은 참신하며 우아합니다.

외관이 대체적으로 아름다우며, 이런 점들은 모두 칼 솜씨의 정교함에서 반영된다. 칼 쓰는 법이 변화가

많고, 에피타이저를 공예 할 때나, 요리에 장식을 할 때, 과일에 조각을 하거나 뼈에서 살을 바를 때 모두

훌륭한 칼 솜씨 기술이 나타납니다.

#. 슬즈토우(강소요리)

<사진 출처(구글) : 중국의 사자두>

-> 사자두는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양조우(扬州 양주)의 유명 요리 중 하나이며, 중국 강소성 양주

등 지역의 화이양(淮阳 회양)요리계열 중 하나인 전통 요리입니다.

사자두를 양주 사투리로 애기하면 따로우(大肉 큰 고기)이고, 중국의 북쪽 사투리로 애기하자면

따완즈(大丸子 큰 완자) 입니다.

사자두는 비계 7, 살코기 3인 돼지 갈빗살을 석류 알갱이만하게 다져 완자로 만든 다음 만들어집니다.

조리 방법은 약 불에 푹 삶아 익히는 방법이 있고, 삶은 후에보면 완자 표면의 비계가 대체적으로 녹게

되는데 이때 살코기가 상대적으로 튀어 나온 것처럼 보입니다.

#. 빠왕비에지(강소요리)

<사진 출처(구글) : 중국의 패왕별희>

-> “패왕별희”는 중국 강소성 쑤첸(宿迁 숙천)지역 한족의 전통 요리이며, 강소요리 계통입니다.

원래 이름은 롱펑후이(龙凤烩 용봉회)이며, 자라와 닭고기로 만드는요리입니다.

맛이 대단히 좋고, 초봄과 겨울철 높은 등급의 진미이기도 합니다.

패왕별희의 탕은 맑고 깨끗하며, 맛은 신선하고 깔끔하며 진합니다.

닭과 자라의 육질은 신선함과 동시에 연하고 쫄깃하며, 생긴 것은 우아하고 아름다운 것이, 향기가

진하고 영양이 풍부하여 연회요리 중 최상품으로 분류됩니다.

많은 연회 자리에서자주 올라오는 요리 중 하나입니다.

#. 옌수이야(강소요리)

<사진 출처(구글) : 중국의 염수압>

-> 옌수이야는 재료 선정을 중시하며, 만드는 과정이 꽤나 까다롭습니다.

조리과정은 오리를 소금에 절이고 삶은 후 걸어 말린 다음, 육수를 넣고 끓이는 등의 과정을 거칩니다.

염수압은 먹는 법이 여러 가지가 있는데, 신선하고 부드러우며 씹으면 씹을수록 맛이 나는 오리 위,

이상할 정도로 연하고 부드러운 오리 허리살, 또다른 별미가 있는 끓인 오리발 등이 있습니다.

이외에도, 오리 심장, 오리 피 등 모두 반찬으로 들이기도 합니다.

#. 쏭슈꾸이위(강소요리)

<사진 출처(구글) : 중국의 송서궐어>

-> 송서궐어는 중국 강소 지역 한족의 전통 유명 요리이며, 강소 요리 계열에 속합니다.

이 요리는 만들어졌을 때부터 지금까지 약 200년의 역사가 있으며, 강남(江南)각지 에서는 연회석에

줄곧 올라가는 고급의 진미이기도 합니다. 보통 조미료를 쓰지 않고 찌거나, 간장 등 조미료를 넣어서

졸이는 방법을 위주로 만들어집니다.

#. 수이징야오로우(강소요리)

<사진 출처(구글) : 중국의 수정효육>

-> 수이징야오로우, 밍수이징야오티(名水晶肴蹄 명수정효제), 쩐쟝야오로우(镇江肴肉 진강효육)

이라고도 불리며, 중국 강소성 쩐쟝(镇江 진강)시의 전통 유명 요리 중하나입니다.

강소 요리계열에 속하며, 오늘날까지 약 300여년의 역사가 있습니다.

이 요리는 돼지 족발이 주 재료로, 족발을 무두질을 거쳐 소금에 절입니다. 후에파, 생강, 황주

(黄酒)등 여러 가지 재료들과 어우러져 넓은 냄비에 약한 불로 족발이 물렁해질 때까지 삶고,

다시 냉동과 응결을 거쳐 만들어집니다.

#. 찡샹또우푸(강소요리)

<사진 출처(구글) : 중국의 경상두부>

-> 경상두부는 중국 강소성의 우시(无锡 무석)지역 한족의 전통 유명 요리이며, 강소 요리계열에

속합니다. 이 요리는 무석의 잉빈로우(迎宾楼 영빈루) 식당의 유명 요리사

리우쮠잉(刘俊英 유준영)으로부터 만들어졌습니다.

무석의 특산품인 “샤오시앙(小箱 작은 상자)” 두부로 요리하여 만들어지며, 두부의 생김새가 마치

경상(镜箱 여자들이 치장할 때 쓰는 상자) 같다 하여, 경상두부 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5) 절강요리

-> 저장차이(浙江菜 절강요리), 줄여서 저차이(浙菜) 라고도 부릅니다.

중국 전통 8대요리 중 하나이며, 강남(江南)의 특색을 가지고 있습니다.

굉장히 오래된,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는 중국의 유명 지방요리입니다.

절강 요리는 재료의 종류, 제철 재료에 신경을 많이 씁니다.

사용되는 해산물, 과일, 채소 등은 제철재료가 아닌 것이 없고, 충분히 신선하고 살아있는 것을 사용합니다.

사용되는 가금과 가축들은 특산물이 비교적 많고, 요리를 보면 재료가 싱싱하고 부위를 신경 쓰는걸

충분히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사시사철”의 원칙에 따라 재료를 선택하는걸 준수합니다.

절강 요리는 조리기법이 풍부하고 다채롭기로 국내외에서 소문이 나있으며, 자주 사용하는 조리 기법은

30여가지가 됩니다.

조리 방법은 볶고, 튀기고, 볶은 후에 소량의 물과 전분을 넣어 걸쭉하게 끓이고, 음식물을 튀기거나

삶거나 찐 후에, 양념•전분 등을 갠 액즙을 골고루 입혀 가열하고, 찌고, 굽는 이 6가지 방법에 가장

능합니다. 조리기법을 쓸 때는 주로 이용되는 양념과의 배합을 중요하게 여기며, 맛은 변화가 풍부합니다.

#. 둥포러우(절강요리)

<사진 출처(구글) : 중국의 동파육>

-> 둥포러우(东坡肉 동파육)는 홍샤오러우(红烧肉 홍소육), 군러우(滚肉 곤육), 둥포먼러우(东坡焖肉

동파민육) 이라고도 불리며, 내려 전해오는 이야기로는, 중국 송(宋)시기의 대문호(大文豪)

소동파(苏东坡)가 만들어낸 요리라고 합니다.

후에 사람들은 소동파를 기념하기 위해, 그가 만들어낸 이 요리에 “동파육”이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둥포러우는 저장 요리, 쓰촨 요리 등의 계열에 전부 존재하는데, 각 지역의 조리법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먼저 삶고 굽는 곳이 있는가 하면, 삶고 찌는 곳이 있고, 삶고 바로 뜸을 들여 졸이는 곳이 있습니다.

하지만 주 재료와 모양은 같고, 디테일한 면에서 조금씩 다릅니다.

둥포러우의 주 재료는 반은 비계, 반은 살코기인 돼지고기를 이용하며, 사용되는 고기는 마노처럼

반짝반짝 붉은색이 감돕니다. 완성된 요리는 껍질은 얇고 속살은 연하며, 붉은 광택이 돌고 육즙이

진합니다. 형태는 흐물흐물 하지만 부서지지 않고, 찰기가 있으며 느끼하지 않습니다.

#. 시후추위(절강요리)

<사진 출처(구글) : 중국의 서호초어>

-> “시후추위”는 중국 저장성 항저우의 유명 요리이며, 이 요리의 역사는 중국 송(宋) 시기 때부터

시작되어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전해오는 이야기로는, 중국 북송(北宋)시기의 요리사 송오수(宋五嫂)가 병을 앓고 있는 작은 삼촌의

입맛을 돋우기 위해, 한 그릇의 생선 요리에 직접 만든 설탕과 식초를 부어 만든데서 유래 되었다고 합니다.

“시후추위”는 서호(西湖)의 엄선된 산천어(草鱼)를 원재료로 사용합니다.

조리 전에 먼저 산천어를 어장에서 하루 굶긴 다음, 산천어의 안에 있는 불순물이나 진흙을 최대한

제거합니다. 조리 시에는 불 조절에 대한 요구가 매우 엄격하며, 반드시 딱 알맞은 온도를 잡아내야

요리의 완벽한 맛을 낼 수 있습니다.

#. 깐쟈샹링(절강요리)

<사진 출처(구글) : 중국의 간작향령>

-> 간작향령은 중국 절강의 유명 요리에 속합니다. 두부피로 정교하게 다진 고기를 감싼 다음 약 3센치

정도로 토막낸 후, 기름으로 튀겨내어 만들어지는 요리입니다.

다 만들어진 간작향령은 황금색의 광택을 띄고 있고, 신선하고 향기로우며 맛있으며 입안에 넣었을때는

소리가 방울처럼 낭랑합니다.

항주 특색의 별미로 추천되며, 대중의 환영을 받고 있는 요리입니다.

또한 1956년 항주 36종류 유명요리 중 하나로 선정 되었습니다.

간작향령의 주 재료로 사용되는 두부피는 쓰샹도우푸피(泗乡豆腐 사향두부피)라고 불립니다.

#. 요우먼춘순(절강요리)

<사진 출처(구글) : 중국의 유민춘순>

-> 유민춘순은 중국 항주의 전통 요리 중 하나인 요리이며, 요리에 사용되는 춘순(春笋 봄 죽순)은 청명절

전후에 나온 연한 죽순을 사용합니다.

조리 방법은 죽순을 길게 쪼개어 부드럽게 두드려준 다음, 다시 5센치의 길이로 자른 후, 화자오

(花椒)와 기름을 넣고 볶은 후에, 간장, 백설탕, 조미료와 멀건 국물을 이용하여 끓입니다.

끓기 시작하면 약불로 걸쭉하고 농해질 때까지 끓인 후에, 참기름을 뿌리면 요리가 완성됩니다.

완성된 요리는 붉은색 광택을 띄고 있고, 맛은 신선하고 개운하며, 짭짤하고 달콤합니다.

#. 시후춘차이탕(절강요리)

<사진 출처(구글) : 중국의 서호순채탕>

-> 시후춘차이탕, “지훠춘차이탕(鸡火莼菜汤 계화순채탕)”이라고 불리기도 하며,절강 요리에 속합니다.

이 요리는 항주 서호의 특산물인 순채(莼菜)와 채 썬 닭가슴살 채 썬 소시지, 고품질의 멀건 국물과

정제염, 조미료, 닭을 데친 기름을 이용하여 만듭니다.

#. 룽징샤런(절강요리)

<사진 출처(구글) : 중국의 용정하인>

-> 룽징샤런은 룽징차(龙井茶)의 새싹과 생새우살로 조리하는 요리이며, 중국 저장 항저우 지역의

특색이 넘치는 한족 유명 요리입니다.

요리에 쓰이는 룽징샤런의 주요 재료인 룽징차는 “고운 비취색으로, 향이 깊고,맛이 진하며, 모양 또한

아름답다”고 이름나 있으며, 중국 청나라시대 때 황제에게 바치는 “공물(贡品)”에 속했습니다.

“룽징샤런”을 만들 때 요리사는 살아있는 대하를 골라, 청명절 전후로 나온 룽징차의 새싹, 이 두 가지의

정수를 정성 들여 배합하여 요리합니다.

(6) 복주(복건)요리

#. 쭈아파이구(복건 요리)

<사진 출처(구글) : 중국의 취배골>

-> 취배골은 갈비로 만드는 하나의 특색 있는 전통 요리이며, 주로 중국의 복건성 푸조우(福州 복주)등

지역에서 유행하고 있습니다. 완성된 요리의 색깔은 오렌지색이며, 식감은 바삭바삭하며 부드러우며,

맛은 순수하고 달콤하며 진하고, 새콤함과 달콤한 동시에 약간의 매콤함도 가지고 있습니다.

겉은 바삭 하고 안은 신선하고 연한 것이, 술안주로 딱 적당한 맛있는 요리입니다.

취배골은 중국 복주시에서는 모르는 사람이 없고, 싫어하는 사람이 없는 요리이다. 매 중국 춘절

(春节) 시기가 다가오면 복주 사람들이 만들어 먹기도 하는 요리입니다.

#. 바이잔허톈지(복건요리)

<사진 출처(구글) : 중국의 백참하전계>

-> 백참하전계는 복건성의 한족 객가(客家 하카)의 유명 요리이며, “팅조우(汀州,창팅의

또 다른 이름) 제일 요리” 라고 불립니다.

중국 창팅(长汀 장정)의 민가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닭을 요리하는데, 생강즙을 이용하여 요리한

백참계가 비교적 보편적입니다.

연회석에 반드시 준비되어야 하는 요리이기도 하며, 백참계 요리 중에선 백참하전계가 제일로

유명합니다. 완성된 요리는향기롭고 바삭하며 개운하고, 연하며 반들반들하고 뼈도 쉽게 바를 수 있어

매우 깊은 사랑을 받습니다.

#. 리즐로우(복건요리)

<사진 출처(구글) : 중국의 여지육>

-> 여지육은 중국 복주의 집집마다 다 알고 있는 전통 유명 요리이며, 들어가는 재료 중 하얀색의

비치(荸荠)와 십자 모양으로 잘린 돼지고기가 들어가서, 조리 후봤을 때는 외형이 마치 여지

(荔枝, 리치)같다 하여 얻어진 이름입니다.

여지육의 제작 과정은 고로육(咕噜肉)을 만들 때와 비슷하며, 다른 점은 칼질과 간을 맞추는 것에

있습니다. 그 밖에, 조미료도 아주 독특한 점이 있는데, 중국 복주만의 독특한 주조(酒糟)를

사용하여야만 완벽한 여지육을 만들 수 있다는 점입니다.

요리의 제작 방법은 돼지 살코기 위에 칼을 이용해 블록 형태로 십자 모양을 새기는데, 새기게 된 깊이와

넓이가 딱 맞아 떨어지게 되면, 튀기고 난 후 보면 고기가 마치 여지(리치)처럼 오그라들게 됩니다.

다음 케첩, 향초, 백설탕, 간장 등 양념들을 이용하여 완성하면 새콤달콤하며 입맛에 딱 맞는 여지육이

탄생됩니다.

#. 차이깐커우로우(복건요리)

<사진 출처(구글) : 중국의 채간구육>

-> “차이깐(菜干 채간)”은 중국 복건성 용띵(永定 용정)현의 특산물이며, 제작 기술은 지금까지 400년의

역사가 있습니다. 성 내 그리고 동남아 일대에서 두루 알려져 있습니다.

채간구육은 삼겹살 혹은 소량의 살코기와 용정현의 채간 등을 재료로 심혈을 기울여 요리됩니다.

요리가 완성된 요리는 굉장히 농후한 향기를 가지고 있고, 고기는 부드럽고 야채는 연하며, 맛은

깔끔하고 진해 감칠맛이 좋습니다.

채간의 제작 과정은 매우 정교하며 섬세합니다. 매 청명절(清明节) 전 후에, 본 고장의 경치가

수려한 산과 냇가의 근처에서 재배한 우수한 품질의 청경채를 골라서껍질을 벗기고 손으로 주무른다음

염지 한 후, 쪄서 익힌 다음 햇볕에 말리는 등의복잡한 과정을 거칩니다.

후에는 채간을 항아리에 잘 담은 뒤 막걸리를 뿌려 밀봉하고,3년이란 시간을 저장 후, 항아리를 열어

바로 먹으면 됩니다. 완성된 채간은 향기가 코를 찌르고 색깔과 광택은 검은색과 갈색이 반질반질 하며,

맛은 짭짤하고 향이 짙고,식감은 연하여 감칠맛이 납니다.

#. 포티아오창(복건요리)

<사진 출처(구글) : 중국의 불도장>

-> 불도장, 만탄시앙(满坛香 만담향), 푸쇼우췐(福寿全 복수전) 이라고도 합니다.

복건성 복주의 유명 요리이며 복건성 요리계열에 속합니다.

“불도장”은 몇 십 가지 재료들을 한 단지 안에 넣고 삶기 때문에 단지 안의 재료들은 공통적으로 육류의

맛을 가지게 됩니다. 또한 재료 각자의 특색을 유지하여 먹었을 때 부드럽고 연하며 윤택하고, 고기의

향이 농후하며 느끼하지 않습니다. 각 재료들이 서로에게 스며들어 맛 안에맛이 있고, 동시에

영양가치가 굉장히 높습니다.

#. 치싱위완(복건요리)

<사진 출처(구글) : 칠성어환>

-> 칠성어환은 중국 복건성 복주시의 유명한 특색 있는 전통 탕 요리 중 하나이며,기원은 청초(清初)

시기부터 시작하여, 지금까지 약 300여년의 역사가 있습니다.

완성된 칠성어환의 색깔과 광택은 하얗고, 탕은 맑고 맛은 신선하며, 완자의 살결은 연하면서 맛있는 게,

아무데서나 맛볼수없는 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재료를 고를 때는 매우 정성을 들여 색은 깨끗하고 질은 좋은 재료를 엄선합니다.

제작 방법 또한 독특한데, 생선의 살로 완자피를 만들고, 돼지고기로 소를 넣습니다.

마치 호두만한 크기의 새하얀 완자들이 한알 한알 열기가 후끈후끈한 탕 위에 떠다니는 것이, 별들이

하늘에 가득 찬 것처럼 보인다 하여, 한 해외 화교가 “칠성어환”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합니다.

칠성어환은 장어나 상어, 혹은 민물고기를 부드럽게 다져서, 고구마 분말(전분)을 이용하여 충분히

섞은 뒤 완자피를 만들고, 다시 돼지 살코기나 새우 등 소를 넣고 싸면 완성됩니다.

(7) 호남요리

-> 샤오시앙(潇湘 소상, 호남성의 별칭)은 호남요리를 대표하는 말로서, 줄여서 “시앙차이 湘菜”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중국 8대 요리 중 하나입니다.

호남요리는 제작 과정이 정교하고 섬세하며, 사용되는 재료는 비교적 광범위하여, 맛이 다양하고 종류

역시 풍부합니다. 색깔과 광택은 진하며 기름기가 있고, 실리를 추구합니다.

맛에 있어서는 주로 매콤함, 신선함, 부드러움을 중시합니다.

조리 방법은 굽기, 삶기, 훈제, 찌기, 볶기 등 여러 방법이 정평이 나 있습니다.

호남 요리의 주 특징은 반찬을 곁들여서 밥을 먹는 것입니다.

사실 많은 호남 사람들은 매운걸 무서워하는데, 되려 매운걸 먹으려 하다 보니, 매운맛을 없애는

목적으로 밥을 찾게 되었습니다.

호남 요리는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한(汉) 시기 때 이미 호남 요리 계통이 형성이 되었다고

합니다. 요리 기법은 당시에도 이미 상당히 높은 수준을 가지고 있으며, 새콤함과 매콤함의 맛을 내는

것에 능하고, 진한 시골의 풍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 중 창샤(长沙 장사), 헝양(衡阳 형양) 이 두 지역의 맛을 위주로 요리하고, 요리 안에 내포 되어있는

뜻과 외관의 아름다움, 색깔, 향, 맛, 그릇, 품질 의 모든 게 조화롭게 통일 되는 것을 중시합니다.

#. 코우웨이셔(호남요리)

<사진 출처(구글) : 중국의 구미사>

-> 구미사는 중국 호남성 전통의 한족 유명 요리이며, 호남 요리계열에 속합니다.

신선하고 연하며, 매콤하고 소스 맛이 짙은 알차고 통통한 뱀 고기 토막들은 접시에 새빨갛게 가득 담긴

고추와 어우러져 사람들의 식욕을 자극합니다.

빨갛게 잠겨 빛나는실한 뱀 고기는 투명하고 반질반질한 것이 윤기가 돌며, 한입 깨물면 뱀 고기의 뼈가

자연스레 빠져 나오며 감칠맛이 나는 게 신선하고 연합니다. 먹고 나면 찾아오는 매운맛에 깜짝 놀랄 수

있지만 이미 먹는걸 멈추려 해도 멈출 수 없을 것입니다.

구미사는 이미 3번의 변화를 통해 매운맛이 달라졌는데, 현재 요리를 할 때에는대부분 먼저 동백 기름,

마늘, 늙은 생강에 살짝 튀겨낸 뱀 고기를 한줌의 마른 고추 가루와 함께 넣고 삶아 졸인 다음,

후에 가루가 아닌 신선한 빨간 고추들을 두 토막씩 내어 통째로 한 냄비에 넣고 삶습니다.

최근 몇 년 사이 요리사들은 새로운 방식으로 풋고추를 넣고 요리를 하게 되었는데, 풋고추의 매콤함,

알싸함이 다시 한번 사람들의 입맛을 돋구었고 구미사는 호남 요리 식당의 간판 요리가 되었습니다.

#. 두어지아오위토우(호남요리)

<사진 출처(구글) : 중국의 타초어두>

-> 타초어두는 중국 호남성 샹탄(湘潭 상담) 그리고 샹간 (湘赣 상감) 접경 지역의 한족 전통 유명 요리이며,

호남 요리 계열에 속합니다.

생선 머리의 “신선한 맛” 과 잘게 다진 고추의 “매운 맛”이 하나가 되는 요리입니다.

보기만해도 얼얼한 다진 홍고추를 희번지르르한 생선 머리 살에 덮으면, 뜨끈뜨끈한 향기를 사방으로

내뿜습니다.

타초어두를 쪄낼 때는, 생선 머리는 신선함과 육질, 맛이 최대한 살아있도록 잘 유지시킵니다.

후에 잘게 다진 고추의 매운 맛이 아주 적절하게 생선 살에 스며들게 되는데, 먹게 되면 곱고 부드러운

투명한 생선살이, 한줄기의 온화하고 교양 있는 매운맛을 가져오며, 굉장히 특별한 맛을 선사합니다.

완성된 요리의 색깔과 광택은 붉으스름하며 맛이 진하고, 육질이 곱고 부드러우며 기름기가 있지만

느끼하지 않고, 식감이 차지며 사람들의 입에 딱 맞는 매운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영양이 높고 맛이 좋으며,혈지(血脂)를 내려주고 뇌 건강과 노화방지에 이로워, 사람들의 많은 환영을

받습니다.

#. 라웨이허정(호남요리)

<사진 출처(구글) : 중국의 납미합증>

-> 납미합증은 호남의 전통 유명 요리 중 하나이며, 조리 방법은 납육(腊肉 훈제 돼지고기),

납계(腊鸡 훈제 닭고기), 납어(腊鱼 건어물)를 한 사발에 담고, 마른 고춧가루를 두시(豆豉 말린 메주)와

솥에 넣은 다음 조미료를 넣지 않고 찐 후에, 참기름등을 조금 둘러주면 완성됩니다.

이 3가지 건육, 건어물을 제외하고, 납압(腊鸭 훈제 오리), 납우육(腊牛肉 훈제 소고기), 납장(腊肠

훈제 소시지), 납향간(腊香干 훈제 두부)등 모두 위와 같이 쪄서 먹을 수 있습니다.

설날에는 집집마다 남은 건육, 건어물들을 다 같이 모아서 납미합증을 만들어 먹습니다.

완성된 요리는 훈제 향이 강하고, 짭짤하며 달달한 게 입맛에 꼭 맞습니다.

부드러우면서 질기고 느끼하지 않으며, “밥 반찬으로는 으뜸”이라는 말에 손색이 없습니다.

#. 깐궈페이창(호남요리)

<사진 출처(구글) : 중국의 간과비장>

-> 간과비장은 매우 정통적인 호남요리 중 하나이며, 중국의 (湖南省 호남성), 호북성(湖北省),

강서성(江西省), 사천성(四川省), 중경(重庆) 일대에서 유행하는 요리입니다.

간과 비장은 대장 밑에 있는 직장을 사용하는데, 직장을 균일하게 자른 다음, 고품질의 간장과 중국 호남

본토의 고추장을 넣어 구워 만듭니다.

짭짤하고 매콤하며 신선한 특징을 가지고 있고, 색깔은 붉은빛에 윤기를 띄고 있습니다.

게다가 씹으면 씹을수록 고소하며, 매콤한 게 입에 딱 맞습니다.

색, 향, 맛 전부 구비되어있는 요리로, 냄새를 맡으면 침을 흘릴 만큼 훌륭한 요리입니다.

#. 샤오차오로루(호남요리)

<사진 출처(구글) : 중국의 소초육>

-> 소초육은 호남 요리계열에 속하며, 호남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특색 있는 전통 한족 요리입니다.

이 요리의 맛은 마라(麻辣)맛이 신선하고 향기로우며, 식감이 매끈하고 부드럽습니다.

소초육의 주요 재료는 삼겹살, 풋고추, 홍고추이며, 주 조리 방법은 볶는 것입니다.

소초육의 제작 방법은 먼저 삼겹살을 얇게 썬 후 썰어둔 풋고추와 홍고추를 준비합니다.

다음 웍 안에 소량의 기름을 두른 다음, 화자오와 마자오를 향기 나게 볶습니다.

후에 삼겹살을 기름에 볶고, 마른 고추도 함께 넣어 볶습니다.

계속해서 파, 생강,다진 마늘을 넣고 볶은 다음 소금, 맛술, 간장, 조미료를 넣고 간을 합니다.

마지막으로 풋고추와 홍고추를 넣어 익을 때까지 볶은 다음, 접시에 담아 소량의 식초를 더해먹으면 됩니다.

#. 마오술홍샤오로우(호남요리)

<사진 출처(구글) : 중국의 모씨홍소육>

-> 모씨홍소육은 모가(毛家)홍소육이라 불리기도 하며, 호남 요리계열에 속합니다.

색, 향, 맛 이 전부 구비되어 있는 전통 요리입니다.

모씨홍소육의 주 재료는 삼겹살이며, 백설탕, 맛술로 간을 하여 끓여 만들어집니다.

완성된 요리는 색깔과 광택이 황금색을 띄며, 기름기가 있지만 느끼하지 않습니다.

게다가 조리할 시 소량의 고추를 추가하여 맛에는 달콤함과 짭짤한 동시에 매운맛이 섞여 있습니다

(8) 안휘요리

-> 안휘 요리는 “후이빵차이(徽帮菜 휘방채)”, “후이조우펑웨이(徽州风味 휘주풍미)”라고 불리기도 하며,

중국 8대 요리 중 하나입니다.

안휘 요리는 끓이고 삶고 찌는 것에 능하고, 튀기거나 볶는 요리의 비중은 비교적 적습니다.

기름과 불의 세기, 그리고 색깔을 중시하며, 중국의 의식동원(医食同源 음식과 의약은 본래 그 뿌리가 하나)

전통을 계승하여, 몸보신을 중시합니다. 바로 이런 점들이 안휘 요리의 두드러진 특징입니다.

안휘 요리의 요리방법 중 큰 특징중에 '홍샤오(红烧)'란 방법이 있는데, 여기서 말하는 '홍(红)

'이란, 당색(糖色, 설탕을 기름에 볶아 황적색이 된 상태에서 간장을 넣어 끓인것)의 표면 색깔을

말하며, 홍샤오는 불 조절에 대한 요구 또한 각별히 높습니다.

안휘 요리는 요리를 할 때 직접 제배하고 짜낸 채유를 사용함과 동시에, 대량의 목재들을 연료로 씁니다.

숯불로 찜을 하고, 급하게 볶아야 할 때는 땔감을 이용하고, 천천히 끓일 때는 나무 토막을 사용하는 등,

굉장히 신경을 많이 써야 하는 요리입니다.

안휘성의 독특한 인문지리 환경이 안휘 요리를 특별하게끔 하였는데, 안휘 요리 중 주 대표 요리는

훠투이뚠쟈위(火腿炖甲鱼 화퇴돈갑어), 홍샤오궈즈리(红烧果子狸 홍소과자리), 후피마오또우푸

(虎皮毛豆腐 호피모두부), 황샨뚠거(黄山炖鸽 황산돈합)등의 요리가 있습니다.

#. 후피마오또우푸(안휘요리)

<사진 출처(구글) : 중국의 호피모두부>

-> 호피모두부는 중국 후이조우(徽州 휘주)의 전통 유명 요리 중 야채요리의 진미이며, 그 특유의 풍미는

호피모두부를 500여년동안 안휘요리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게 했습니다.

이 요리는 두부를 스틱 형식으로 잘라 인공 발효를 거치는데, 발효를 거치고 나면 두부의 표면에 한층의

흰색 솜털이 자라게 됩니다.

그 다음 기름에 지지고 튀기고 굽는 과정을 거치고 나면 두부가 마치 호피 무늬처럼 변한다 하여

“호피모두부”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습니다.

오늘날 전해 내려온 호피모두부는 대부분 기름에 부쳐서 만들어지는데, 기름은특별히 카놀라유를

사용합니다.

양면을 노릇노릇하게 부쳐 주름이 생기면, 파, 다진 생강, 고기육수, 소금, 미원, 백설탕, 간장 등으로

양념을 한 후 몇 분 끓인 다음 꺼내면 완성됩니다.

상에 올라갈 때 고추장과 같이 곁들여 먹게 되면, 그 맛은 신선하고 순수하며 상쾌하고, 냄새와 향기가

매력적이어서, 먹을 때 또 다른 정취를 느낄 수 있습니다.

#. 칭뚠마티비에(안휘요리)

<사진 출처(구글) : 중국의 청돈마제별>

-> 이 요리는 중국 휘주의 전통 수산물 요리이며, 휘주 계곡의 모래밭에서 사는 자라를 이용하여

요리합니다. 자라가 생긴 것이 마치 말발굽 크기만큼 4냥(200g)정도 되어, 마티비에(马蹄鳖 말발굽 자라)

라고 불립니다.

말발굽 자라의 품질은 아주 뛰어나며육질이 연하고 신선하며 젤라틴이 풍부합니다.

흙 비린내 또한 전혀 없습니다.

중국 명(明) 시기에, 휘주의 인사들은 이 요리를 공납품으로 여겨 쭈위엔짱(朱元璋 주원장) 황제에게

바쳤고, 그의 깊은 호감을 얻었다고 합니다. 후로 이 요리는 진미라 불리게 되었습니다.

청돈마제별은 모래밭에서 사는 말발굽 자라가 주 재료이며, 햄 혹은 햄을 만들고 나서 남은 뼈와 같이

조합하여 맛을 내며, 청돈(清炖 간장을 넣지 않고 푹 삶는) 조리방법을 이용하여“청돈마제별”이라고

불리며, “훠투이뚠쟈위(火腿炖甲鱼 화퇴돈갑어)”라고도 불립니다.

먹을 때는 뚝배기 채로 식탁에 올리는데, 향기가 코를 찌르며국물은 맑고 진합니다.

또한 자라고기는 부드럽고 연하고, 햄은 짭짤합니다.

정말“진국”이라고 할만하며, 안휘 요리가 요리를 할 때 불 조절을 얼마나 중시하는지를 충분히 보여주는

요리입니다.

#. 황샨뚠거(안휘요리)

<사진 출처(구글) : 중국의 황산돈합>

-> 황산돈합에 사용되는 재료는 황산의 명물인 황산 산약(山药 마)과 황산 야생 비둘기인데,

이 요리는 중탕의 조리 방법을 통해 완성됩니다.

현지 주민들은 이 요리를 장수 할 수 있는 훌륭한 보양식 요리로 보고 있습니다.

다 만들어지고 난 후의 황산돈합은 국물이 깨끗하고 신선하며, 탕 안의 비둘기 고기는 신선하고

맛있습니다. 또한 영양이 풍부하고 소화가 잘되며 뇌와 신장을 건강하게, 기억력을 증강 시켜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산약은 말랑하고 부드러우며 약간 달콤하고, 충분한 전분기를 함유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정력을 왕성 하게하고 신장을 보양시켜주며, 사람들에게 야채 중 보양식으로 여겨지는,

신체를 튼튼하게 해주는 하나의 훌륭한 요리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 팡라위(안휘요리)

<사진 출처(구글) : 중국의 방납어>

-> 방납어는 “따위투이삥쟝(大鱼退兵将 대어퇴병장)”이라고도 하며, 고품질의 중국 쏘가리를 이용하는

요리입니다.

쏘가리의 세 부위 (머리, 몸통, 꼬리)를 나눈 다음,머리와 꼬리는 홍샤오(红烧 홍소)방법으로 요리를

해준 후, 긴 접시 양쪽 끝에 놔줍니다.

생선의 몸통 부분은 밑간을 한 후 기름을 이용해 튀기고, 살만 떼낸 후에 뼈는 제거해줍니다.

잘 발라낸 생선살에 칼로 꽃 모양을 내준 후, 소금, 맛술, 파, 생강 등양념을 이용해 밑간을 해준 다음

기름에 노릇노릇하게 튀깁니다.

마지막으로 토마토소스에 설탕, 식초, 멀건 국물을 같이 넣고 끓인 소스와 곁들입니다.

완성된 방납어 요리는 짭짤하며 신선하고 연하고 부드러우며, 새콤달콤한 맛을가지고 있습니다.

#. 양메이유엔즈(안휘요리)

<사진출처(구글) : 중국의 양매원자>

-> 양매원자는 중국 휘주의 대표적인 전통 육류 요리입니다.

요리의 색깔과 형태가 마치 현지의 양메이(杨梅 양매)와 매우 흡사하고, 조리 시 양매즙과 양매소스로

간을 하여, “양매원자”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조리방법은, 돼지 살코기와 비계살을 7:3비율로 나눠 잘고 촘촘하게 다진 다음그릇에 넣고 소금, 미원,

파즙, 생강즙, 달걀흰자를 넣고 잘 섞어줍니다.

그 다음 손을 이용하여 양매 크기만하게 완자로 만들고, 빵 부스러기를 묻혀 잘 달궈진 끓는 기름 솥에

넣어 노릇하게 튀깁니다.

다음 물과 백설탕, 식초와 양매즙을 이용하여 졸인 다음 소금물이나 간장에 오향 등을 넣은 액즙을

완자위에 끼얹거나 혹은 완자에 “양매간수”를 입혀도 됩니다.

완성된 요리는 붉은색 장미처럼 붉은빛을 띄고 있고, 완자는 딱 먹기 좋은 크기이며, 생김새는 양매와

매우 흡사합니다. 맛은 새콤달콤하니 입에 딱 맞는 맛입니다.

#. 샹구반리(안휘요리)

<사진 출처(구글) : 중국의 향고판률>

-> 향고판률은 안휘의 전통 한족 유명 요리이며, 노화를 막아주는 보양 요리이기도 합니다.

표고버섯을 사용하여 만드는 조리법은 굉장히 많은데, 그 중 향고판률의 맛은 짭짤함과 동시에 달콤함을

가지고 있어, 남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조리법은 먼저 표고버섯과 껍질을 잘 깐 왕밤을 얇게 자릅니다.

다음 기름을 두른 웍에서 잘 볶은 다음 설탕, 생강, 간장과 돼지나 닭을 곤 곡물을 넣고 약불에 3분간

뜸을 들입니다.

계속해서 센불로 바꾼 다음 미원과 녹말을 푼 물을 가미하고 볶아줍니다.

마지막은 참기름을 둘러 완성합니다.

이 요리는 표고버섯의 맛이 신선하고 맛있으며, 왕밤의 식감은 부드럽고 찰져 사람들의 깊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이외에 향고판률은 굉장히 풍부한 영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표고버섯에는 고단백질, 저지방 그리고 다양한 아미노산과 비타민이 있습니다.

인체에 칼슘의 흡수를 촉진 시켜 줄 뿐만 아니라, 자주 먹으면 암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왕밤은 풍부한 비타민과 미네랄,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고혈압과 동맥경화 등의 질병을

예방해줍니다.

@. 홍콩의 딤섬

-> 홍콩의 딤섬은 소의 종류가 워낙 다양해서 종류 또한 다양합니다. 어느 홍콩 식당의 경우

식사할 수 있는 딤섬의 종류만 150여가지 이상이 넘기도 합니다.

여기서는 일일히 딤섬 종류들을 언급할 수 없기에 중요한 것들만 언급하겠습니다.

#. har gow(찐새우 딤섬)

<사진 출처(구글) : 딤섬의 일종인 하가우>

-> 찐새우 딤섬이고 원래 광동요리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 siu mai(돼지고기 딤섬)

<사진 출처(구글) : 돼지고기 딤섬인 사오마이>

-> 간 돼지고기랑 새우, 버섯을 섞어 밀가루 반죽에 소로 넣고 찐 딤섬입니다. '슈마이'라고도 합니다.

#. cha siu sou(돼지고기 바베큐 소 딤섬)

<사진 출처(구글) : 딤섬의 일종인 차시우바우>

-> 차시우바우 또는 차사오바오는 바오쯔에 차시우를 채워 만든 음식이며, 광둥 요리의 일종입니다.

주로 딤섬의 일종으로 취급되며, 중국 요리 관련 식품점에서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 pei guen(튀긴 두부 껍질 딤섬)

<사진 출처(구글) : 딤섬인 푸페이권>

-> 푸페이귄 또는 더우피쥐안은 딤섬 요리 중 하나입니다.

홍콩과 전세계 화교 식당에서 찾아볼 수 있는 요리로, 작은 접시에 두세개 정도 담아 서빙됩니다.

속재료는 다양하지만 겉껍질은 항상 두부껍질로 만듭니다.

#. coeng fan(새우 딤섬의 일종)

<사진 출처(구글) : 딤섬의 일종인 청판>

-> 광동요리에서 파생되어 홍콩요리가 되었고 주로 새우를 활용한 딤섬입니다.

#. xiao long bao(샤오롱 바오)

<사진 출처(구글) : 딤섬의 일종인 소룡포>

-> 샤오룽바오는 중화권 전역과 전 세계의 중국 요리 레스토랑에서 먹을 수 있는 중국식 만두요리입니다.

다진 고기를 소맥분의 껍질로 싸서 찜통에 찐 딤섬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는 홍콩식은 아니지만

서울 가리봉동에 위치한 월래순 교자관에서 이 소룡포가 유명하기도 합니다.

#. gow choi gau(새우 부추 딤섬)

<사진 출처(구글) : 딤섬의 일종인 고초이가우>

-> 이 딤섬은 소에 부추와 새우를 가득 채운뒤, 소가 보일 정도로 얇은 밀가루 반죽 피를 싸서 찝니다.

그래서 고기의 느끼함을 부추의 향으로 잡아내는 풍미가 일품입니다.

#. Zongzi(짭잘한 연잎밥 딤섬)

<사진 출처(구글) : 딤섬의 일종인 로마이까이>

-> 양념된 고기를 찹쌀에 넣어 그것을 연잎에 싸서 쪄낸 딤섬요리입니다.

#. naai wong baau(커스터드 찐빵 딤섬)

<사진 출처(구글) : 딤섬의 일종인 나이웡바오>

-> 나이웡바우 또는 나이황바오는 중국 광둥과 홍콩의 바오쯔입니다.

소가 커스터드여서 커스터드 찐빵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딤섬의 일종입니다.

#. ham sui gik(돼지고기와 채소를 넣고 찹쌀 도넛으로 튀긴 딤섬)

<사진 출처(구글) : 딤섬 요리의 일종인 함소이꿕>

-> 양념된 돼지고기와 채소를 넣고 찹쌀 도넛 반죽 안에 넣고 튀긴 딤섬 요리입니다.

답변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답변확정 부탁드립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과제는 직접 웬만큼 해놓고 수정을 부탁하세요.

홍콩 여행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 홍콩은 요리의 천국인 만큼 맛있는 음식이 많으나... 간혹 향에 민감하신분들... 못먹는 향채(쑥잎비슷하게 생긴...탕종류에 많이 들어감)가 있으니.. 조심하세요. 상비약...

홍콩대해서 알려주세요 ㅠㅠ

... 영어선생님이 홍콩대해서 조사하라고해서... 두번째.홍콩에서는 어떤음식을먹나요?... 부탁드립니다... >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9...

홍콩대해서.

... 여러분께 질문합니다.ㅠㅠ 홍콩의 문화에 대해서... 부탁드립니다ㅠㅅㅠ 내공 100 걸어요!! 최대한 빨리... 구정세일과 경마, 전통음식 및 계절요리와 함께 새해 행운을...

홍콩<->마카오, 터보젯 예약 질문입니다~~

... 1:1 질문 드립니다~~ 어제 터보젯 인터넷 사이트에서 홍콩 <-> 마카오간 페리를 예약 했습니다. 홍콩에... 100096612 *********************** < 홍콩여행에 대해서는 아래...

홍콩 여행 질문입니다

... 홍콩에서 하룻밤 잘려고 하는데 몇가지 질문을 드리고 싶네요 첫째, 홍콩에서 두명이서 묵을 숙소에 대해서... 가격이랑 이용방법 부탁 드립니다. 다섯째로 제가 묵을...

홍콩 겨울메가세일 기간 질문 드립니다!!

... 다 드립니다... 세일시간일이 매년 달라지고... 100096612 *********************** < 홍콩여행에 대해서는 아래... d1id=9&dirId=90206&docId=121283269 < 2011 홍콩 와인 & 음식 축제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