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종계량의 쯧은 뭔가요? 최대한 빨리

품종계량의 쯧은 뭔가요? 최대한 빨리

작성일 2018.11.10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품종계량의 쯧은 뭔가요? 최대한 빨리 답변 부탁드립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품종개량

[breeding음성듣기, ]

요약 농작물 또는 사육하고 있는 가축의 유전적 특성을 개량하여 보다 실용가치가 높은 품종을 육성 ·증식 ·보급하는 농업기술.

넓은 의미로는 육종()이라고도 한다. 같은 종류의 작물이라도 개체군에 따라서는 형태적 또는 생리적으로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이와 같은 특성의 차이에 따라 세분된 단위로 나누어 놓은 개체군을 품종이라 한다. 품종간의 특성 차이는 극히 작은 경우도 있고 또 매우 큰 경우도 있으며 이는 유전적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인류는 오래 전부터 보다 유용한 품종을 만들려는 노력을 해 왔다.

품종개량이란 엄밀한 의미로는 현재의 농작물이나 가축을 대상으로 그들 각각의 품종의 특성을 개량하는 것이고, 육종이란 새로운 품종의 육성은 물론 새로운 농작물이나 가축을 개발 육성한다는 보다 넓은 범위의 뜻을 가지고 있으므로, 품종개량이란 육종의 한 분야로 취급될 수 있다. 품종개량의 목표는 농작물이나 가축의 수확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품질을 개선하며 생산의 안정성을 증대시키고, 재배한계의 확대를 도모하며 경영의 합리화를 조장하여 경제적 효과를 높임으로써 생산자인 농민의 수익을 증대시키고 소비자인 모든 인류의 욕구를 충족시키며 복지를 향상시키는 데 있다.

품종개량을 통하여 만들어진 우수한 새로운 품종은 현재 재배되고 있는 품종에 비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우수성을 지녀야 한다. 또한 모든 개체들이 실용면에서 지장이 없는 정도의 균등성()을 갖추어야 한다. 이와 같은 우수성과 균등성이 계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영속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또한 우수한 특성의 발현이나 적응되는 정도가 되도록 넓은 지역에 걸쳐 나타나야 한다.

이와 같은 구비조건의 특성을 갖춘 새로운 우수품종을 만들어내기 위한 육종기술로서, 변이()의 탐색 및 창성(), 변이체의 선발 및 고정, 신품종의 증식 및 보급 등의 3단계 과정을 거쳐야 한다. 모든 생물은 자연상태에서도 여러 종류의 변이를 나타낸다. 이들 변이 중에는 물론 환경의 영향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며 유전자의 차이에 의하여 나타나는 영속성 있는 변이도 있는데, 그 중에서 품종개량에 이용될 수 있는 것은 유전변이이다.

따라서 품종개량을 위해서는 먼저 품종개량의 목표에 합당한 변이체를 자연계에서 찾아내거나 인위적으로 유전변이를 만들어내야 한다. 우선 자연계에서 널리 변이체를 탐색할 수 있으나 이러한 유전자원이 점차 사라져 가므로 유용유전자원의 수집보존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자연계에서 유용변이의 탐색에는 어려움과 한계가 있으므로 인공교잡이나 인위돌연변이의 유발 등으로 품종개량의 목표가 되는 변이를 창성하여야 한다.

다음 과정은 자연계에서 찾아냈거나 인위적으로 창성한 새로운 변이체들을 개체 또는 개체군별로 특정한 처리 또는 방법에 의한 검정과정을 거쳐 품종개량에 이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변이체가 환경변이인지 또는 진정한 유전변이인지를 밝히기 위해서는 후대검정()이 필요하며 특히 유전적인 우수특성임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특정 변이체의 후대에 대하여 몇 세대에 걸쳐 계속 검정이 되어야 한다.

다른 한편 돌연변이체나 교잡변이의 개체들은 특히 초기 세대에 있어 유전자 조성이 잡박한 상태이므로 변이체들 중에서 선발된 개체 또는 개체군은 우량품종으로서의 요건이 되는 우수성, 균등성 및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유전적으로 순수한 순계()의 유전자 조성으로 만들어져야 하는데 이렇게 순계를 만들어가는 과정을 고정()이라 한다. 그런데 자식성() 작물은 세대를 진전시키면서 목표형질에 대하여 계속 선발해가면 순계를 쉽게 얻을 수 있으나, 타식성() 작물의 경우에는 순계를 얻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목표형질의 고정은 후대에서 분리현상이 최소가 될 수 있는 범위에서 만족해야 한다.

그러나 타식성 작물의 경우에도 영양번식 작물이나 1대 잡종이용의 경우에는 유전적 순계가 아니더라도 그 우수성, 균등성 및 유전성이 실용적으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선발 이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최종으로 신품종의 종자증식 및 보급과정을 거치게 된다. 개량된 품종의 수량, 목표형질 및 기타 형질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우수성이 인정되면 장려품종으로 결정되는 동시에 각각 알맞은 증식방법에 따라 빠른 기간내에 대량증식되어 공급해주어야 한다.

[ 지식백과] 품종개량 [breeding, 品種改良] (두산백과)

품종계량의 쯧은 뭔가요? 최대한 빨리

품종계량의 쯧은 뭔가요? 최대한 빨리 답변 부탁드립니다 품종개량 [breeding, 品種改良] 농작물 또는 사육하고 있는 가축의 유전적 특성을 개량하여 보다 실용가치가 높은 품종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