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에 관련된 엣 조상들의 생활모습

계절에 관련된 엣 조상들의 생활모습

작성일 2007.03.15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저 솔비라눈 5학년 학생인게요,,

계절에 관계있는 우리 조상님들의 생활모습 조사인데요 >_<(부끄부끄)

조금 적어주시면 안될까요?? 시간이 없으면,,, 괜찮아요 >.< 점점점점점점하하하^^;; 그래도 보고 알고 있으면 적어주시길 바랍니다..귀찮아도 이 정보를 알아야할 새삭 들을 버리지 말아주세요 ㅠ_ㅠ(~흥분~) 나쁜사람은 시러시러요,,,,>ㅠ<흐응............제가 너무 흥분을,,, 여러분들은 다 착한뎅,, 제가 나쁜거죠,,,ㅠ_ㅠ아앙..(ㅈㅅㅈㅅㅈㅅㅈㅅㅈㅅㅈㅅㅈㅅㅈㅅ)

좌송합니다,,, ㅠㅠ 하이튼,,,,이미지,, 사진,, 글,,많이많이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여러분,,,  어서어서 올려주세요~ 잘 부탁드립니당 ~


#계절에 관련된 속담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저는 겨울나기 물건과 옷감 등등을 올려 드리겠습니다 ^^

우리 조상들의 겨울나기 물건
방한용 모자:남바위,조바위,풍차,굴레 등이 있다.
ㆍ남바위:주로 부인과 노인이 겨울철 나들이할 때 쓰던 모자이다.속에는 털이 붙은 가죽을 대고 겉은 비단 등의 천으로 만들었다.앞은 이마를 덮고 뒤는 귀를 거쳐 목과 등을 덮으 며,위쪽에는 구멍을 뚫었다.부인용에는 수,구슬 등의 장식을 달았는데 조바위는 이것이 변 형된 것이다.
ㆍ조바위:여자들이 착용한 방한용 모자이다.
ㆍ풍차:남녀 모두 사용하였으며,귀와 뺨,턱을 가리는 볼끼가 달려 있다.
ㆍ굴레:조선 후기 상류층 가정의 어린이들이 쓰던 수놓은 모자이다.
1겨울용 신발:목화,둥그니신,설피 등이 있다.
ㆍ목화:사슴가죽으로 만든 반장화 모양의 방한용 신발이다.
ㆍ둥그니신:짚으로 엮어 만들었으며,서민층의 남녀 모두가 사용하였다.

2. 한복 재료:무명 비단

.이유:따뜻하고 올의 간격이 촘촘하여 바람이 들어오지 않음.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이게 도움이 됄지 머르겠눈제요

요게 죽부인 이에요

글구 이건 겨울특징^^

 

겨울철 한복의 특징

 

(1) 목화의 보급으로 두겹의 천 사이에 솜을둔 핫바지와 핫저고리

와 같은 솜옷을 입었다.

 

(2)겨울 한복의 제료:무명,비단

무명과 비단이 겨울한복 제료로 좋은 이유

-따뜻하다

-바람이 잘 들어오지 않는다

-두겹의 천 사이에 솜을 넣어 입기도 하였다

 

(3)조상의 겨울나기 물건:조바위,풍차,굴레,겨울토시,버선,둥그니신등

-버선:지금의 양말과 같은 것으로 겨울에는 천과 천 사이에 솜을 넣은

솜버선을 신어 발을 따뜻하게 하였다.

-풍차:외출용 방한모사의 하나로,남녀가 모두 썼다

-토시:겨울철 손목 방한구 로써 원래는 남자용이였으나 개화기 이후로

부녀자들도 외출시 착용하였다

-조바위:조선 후기부터 서양의 목도리가 등장할때까지 부녀자들이 사용한

방한모,겉은 검정 비단 속은 남색비단이나 무명이 대부분이며,겹으로 만들었다.

 

도움이 됐나여?

만약안됐다믄 좨성^^

친추 하구 싶음 친추 눌러주333

내얼굴 보구 싶픔 잡동사니 우경이의 깜찍한까페라거 해주333^^

byby^^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겨울철 한복의 특징☟

1.겨울을 이겨내기 위해서 무명과 비단으로 만들었다.

2.따듯하게 이겨내기 위해 따뜻하게 바지,저고리,두루마리

등에 솜을 얇게 넣어 입었다. ♉

3.추위를 막기위해 여러번 옷을 걸쳐 입었다.*^ˇ^*

4.겨울에 옷 입는 순서

남자:속고의→바지→저고리→버선→대님→조끼→마고자→두루마기
ㆍ여자 윗옷:속적삼→속저고리→저고리→배자→두루마기
ㆍ여자 아래옷:다리속곳→속속곳→바지속곳→단속곳→너른바지→무지기 치마

무명과 비단
1.무명
!고려 말 공민왕 때 문익점에 의해 우리 나라에 들어왔다.
목화에서 씨를 발라 내고 솜만을 거두어 실을 뽑아 내어 옷감을 짠다.
!천이 부드럽고 손질하기가 쉬워서 어느 계절에나 사용되었다.
겨울에는 두겹의 목화 사이에 목화솜을 넣어 누빈 옷을 입기도 하였다.
!만들어지는 과정:목화가꾸기→말리기→씨빼기→고치를 말아 다발묶기→실뽑기→베틀로 옷 감짜기→옷만들기

*비단
ㆍ누에가 만든 누에고치에서 실을 뽑아서 옷감을 짠다.
ㆍ광택과 촉감이 우수하며 부드럽고 따뜻하여 겨울철 옷감으로 많이 이용되었다.
ㆍ누에를 키우기가 까다롭고 옷감을 만드는 과정이 어려워서 주로 귀족층에서 입었다.
ㆍ만들어지는 과정:누에키우기→누에고치에서 실뽑기→실내리기→베틀로 옷감짜기→옷만들기
*우리 조상들의 겨울나기 물건
1.남바위,조바위,(무엇인지 잘 모름.)풍차,굴레,목화,둥근니신,설피,목도리,버선,토시가 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의(衣)

; 계절에 따라 한복으로 사용된 옷감의 원료를 바꾸어 입었다.

  봄 - 무명을 비롯해서 국사, 갑사, 은조사, 항라 등

  여름 - 모시, 삼베

  가을 - 자미사, 비단, 숙고사, 국사, 등의 견섬유

  겨울 - 비단과 무명(대부분의 서민층에서는 무명으로 옷을 만들어 입었다)

여름철 한복의 특징

몸과 옷 사이를 헐렁하게 하여 바람이 통하도록 하였다.

웃옷과 아래옷이 분리되어 있어 평상시에는 웃옷을 벗고 있거나 웃옷 안에 등등거리를 만들어

달라붙지 않도록 하였다.

등등거리는 적삼 밑에 입어 땀이 옷에 스며들지 않도록 등나무 덩굴을 가늘게 하여 만든 것이다.

하지만 외출에는 의례용으로 두루마기를 걸쳐 입었다. 시원한 삼베와 모시를 원료로 흩저고리를

지었다. 속이 훤하게 비치므로 여름에도 속옷을 잘 갖추어 입어야 했다.

더위를 이겨내기 위한 것으로 대나무로 둥글 게 걸어 만든 기구를 삼베나 모시 이불 속에 넣고

자면서 바람을 통하게 한 죽부인(여자들이 사용한 것은 죽노)을 사용하였다.

겨울철 한복의 특징

솜을 누빈 옷이 특징이다.

목화의 보급으로 두 겹의 천 사이에 솜을 둔, 핫바지나 핫저고리와 같은 솜옷을 입었다. 외출할

때는 방한용과 의례용으로 솜두루마기나 누비 두루마기를 입었다.

추위를 막기 위해 여러 벌 겹쳐 입었다.

옷의 종류는 겉옷과 속옷으로 나눌 수 있다. 겉옷은 여자인 경우 치마와 저고리, 남자인 경우 바

지와 저고리를 입었으며, 외출할 때에는 두루마기를 입었다. 속옷으로는 여자의 경우 속속곳,

바지 속곳, 단속곳, 무지기, 대슘치마 등 여러 개의 속옷을 겹겹이 입어 추위를 이겨 냈다.

<남자 한복>

속고의 → 바지 → 저고리 → 버선 → 대님 → 조끼 → 마고자 → 두루마기

<여자 한복>

상의 : 속적삼 → 속저고리 → 저고리 → 배자 → 두루마기

하의 : 다리 속곳 → 속속곳 → 바지 속곳 → 단속곳 → 너른바지 → 무지기 → 대슘치마

- 다리속곳 : 가장 밑에 입는 옷

- 속속곳 : 바지 밑에 입는 옷

- 바지 속곳 : 단속곳 밑에 입는 옷(고쟁이)

- 단속곳 : 바지 위에 입는 속옷, 길이가 약간 길다.

- 너른 바지 : 단속곳 위에 입음

- 무지기 : 귀족들의 속치마

- 대슘치마 : 왕족들의 속치마

<그밖에 추위를 이겨 내기 위한 것들>

- 방한용 모자 : 마래기, 조바위, 굴레, 풍차, 휘향, 남바위 등

- 목도리 : 목 부분의 추위를 막음

- 겨울용 버선 : 남쪽 지방은 발 위쪽에만 솜을 두었음.

                     북쪽 지방에는 발 위, 아래 모두 솜을 두었음.

- 토시 : 손목에서 팔꿈치까지 솜을 두었음.

식(食)

; 4계절 및 명절에 주로 먹던 음식

정월초하루 - 세찬인 떡국과 세주인 술

대보름날 - 호두, 은행, 잣 등의 부럼

                오곡밥과 아홉 가지 나물

봄철의 시식 - 새로 돋는 나물을 캐 먹으며 봄을 맞이하는 풍속

                    진달래꽃전, 두견주, 쑥떡

여름철 시식 - 단옷날의 수리취떡

                    유월 유둣날에는 수단, 밀쌈

                    삼복에는 삼계탕, 육개장

가을철의 시식 - 햅쌀로 빚은 송편

                        9월9일 중양절에는 국화전과 화채

겨울철의 시식 - 전골, 신선로 등의 따뜻한 음식, 동치미 국물의 메밀 국수,

                        냉면, 수정과, 여러 가지 강정, 김장, 동칫날의 팥죽 등

주(住)

더위와 추위에 대비한 한옥의 모습

리나라는 겨울은 춥고 여름에는 덥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집은 더운 날에는 시원하게

하여주고 추운 날에는 따뜻하게 지낼 수 있는 구조여야 합니다.

그래서 우리 조상들은 겨울을 위해서는 온돌을 만들었고 여름을 위해서는 대청을 만들었습니

다. 이것은 우리나라만의 독특한 집 구조입니다.

온돌은 바닥을 가열하여 난방을 하는 것인데, 이렇게 온돌로 집 전체를 난방을 하는 것도 우리

나라가 유일하다고 합니다. 온돌은 간접 난방방식 인데 이렇게 간접 난방을 하는 것은 인체에

가장 쾌적한 느낌을 줄뿐만 아니라 혈액순환 등에도 좋다고 합니다.

이러한 난방을 하기 때문에 우리는 방에 신을 벗고 들어가는 생활 방식으로 집 구조가 바뀌게

된 것입니다. 이러한 난방방식과 신을 벗는 생활 습관이 집안의 청결에는 매우 도움이 됩니다.

또한, 한옥의 지붕은 처마가 많이 빠져 나와있어 여름의 햇볕이 집에 들이지 않도록 되어있고,

마루라서 바닥이 시원하고, 앞뒤가 개방되어 있어 맞바람이 치도록 되어있어 여름에 매우 시

원합니다.온돌은 방바닥에 넓고 평평한 돌(구들장)을 놓아 만듭니다.아궁이에 나무를 때면

그 뜨거워진 공기가 구들장 밑을 지나가면서 방을 따뜻하게 해주고 굴뚝을 통해 연기가 나가게

됩니다. 즉 대청 마루가 여름을 시원하게 보내기 위한 한옥의 구조라면 온돌은 추운 겨울을 위

난방 시설에 해당됩니다.

지방별 기후 조건과 지붕의 모습

지붕의 모습은 집의 기본 형태를 알 수 있다. 지방별 지붕의 모습은 남부 지방의 경우 개방적인

형태이고, 북부 지방의 경우 폐쇄적인 형태이다. 이렇게 집의 기본 형태가 다른 이유는 나름대

로기후 조건에 적응한 결과이다. 남부 지방은 무더운 여름날을 견디기위해 바람이 잘 통하는

구조로 집을 지었다. 북부 지방의 집은 추운 겨울을 지내기 위한 구조를가졌다. 그리고 중부 지

방은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의 절충형이다.

지형과 기후 조건에 따른 집의 모습

해안 지방의 가옥 경관이 가지고 있는 특수성을 가진 집을 보면 자연환경에 영향을 받아서 집

주위에 방풍림이 형성되어있다.

돌과 바람이 많아 시련을 겪어야 했던 제주사람, 열악한 환경을 개척하고 땅을 다스리는 슬기

를느낄 수 있는 돌담!!!바람의 영향 때문에 돌담을 집 높이 만큼 올린 돌담도 있다.

이와 같이 자연 환경에 따라 집의 형태가 약간씩 특수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계절에 관련된 엣 조상들의 생활모습

... 같아서 조상들의 계절에 따른 생활 모습을 퍼왔습니다. ♠기후와 생활 우라 나라 사계절 기후의 특징을 알아보자. 계절관련된 일기와 속담을...

조상들의 계절에 따른 생활모습

제가 5학년인데요, 조상들의 계절에따른 생활모습에 대한 숙제인데요... 되도록 빨리... ♠기후와 생활 우라 나라 사계절 기후의 특징을 알아보자. 계절관련된 일기와 속담을...

계절에 따른 조상들의 생활모습사진...

... 전5학년인데염,쌤님께서 계절에따른 조상들의 생활모습 사진을 뽑아오라해섬...... *3한4온 현상이 나타남 날씨에 관련된 속담 봄 1.봄비는 쌀비다.:건조한 봄철에 비가...

계절에 따른 조상들의 의식주생활...

... 사계절 기후의 특징을 알아보자. 계절관련된 일기와 속담을 통해서 기후의 특징을... 계절에 따른 우리 조상들의 생활 모습 - 옛날에는 계절의 변화에 순응하는 생활을...

계절에따른농촌의생활모습~♥

... 우리 조상들의 생활 모습 - 옛날에는 계절의 변화에 순응하는 생활을 하였기 때문에... 날씨와 관련된 일기와 속담 - 날씨와 관련된 일기와 속담을 보면 각 계절의 특징이 잘...

계절의 변화에 따른 우리조상의지혜

... 사계절 기후의 특징을 알아보자. 계절관련된 일기와 속담을 통해서 기후의 특징을... 계절에 따른 우리 조상들의 생활 모습 - 옛날에는 계절의 변화에 순응하는 생활을...

남아있는 조상들의 의식주 생활모습 좀...

... ♠기후와 생활 우라 나라 사계절 기후의 특징을 알아보자. 계절관련된 일기와... 계절에 따른 우리 조상들의 생활 모습 - 옛날에는 계절의 변화에 순응하는 생활을 하였기...